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재
light
불빛
광
빛
전등
화난
d라이브러리
"
불
"(으)로 총 2,417건 검색되었습니다.
(2) 바이러스와 백신의 영원한 숨바꼭질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공격적인 양상 마저 보이고 있다. 또 최근에는 자신의 존재형태를 계속 바꾸는 정체
불
명의 바이러스가 발견돼 백신개발자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정보사회의 필요악' 컴퓨터 바이러스와 백신프로그램의 쫓고 쫓기는 싸움은 앞으로도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 ...
일반상대성이론의 중흥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헬륨량은 별내부와 별사이의 공간에서 관측된 헬륨의 총량과 일치한다. 다른 관측과 더
불
어 이러한 두가지 결론은 결국 '정지이론의 사멸'이라는 조종을 울리게 했다.오늘날 우주의 일반상대론이라 할 수 있는 대폭발 모델은 폭넓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우주론자들은 지금 그들의 관심을 좀 더 ... ...
1. 핵무기와 원자로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분명히 할 것은 원자로에서 순간적으로 이 이상의 에너지가 방출되는 것은 이론상
불
가능할 뿐만 아니라, 현재 상업용으로 운전되고 있는 원자력발전소에서는 이러한 현상조차 일어날 수 없다는 점이다.정말로 원자로에서 문제가 되고 관심의 대상이 되는 것은 폭발여부가 아니라, 냉각재의 상실로 ... ...
걸프전 환경테러 후유증 심각하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거대한 검은구름을 보면서 자신들의 작전명을 '검은 폐 여행'(Black Lung Tour) 이라고 고쳐
불
렀다.최소한 내년 봄까지는 계속 될 것으로 보이는 이 유전 화재는 과연 어느 정도로 이 지역에 사는 사람들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을까.지난 4월만 해도 미국환경보호청은 유전화재 스모크의 인체유해성이 ... ...
인류최초의 언어는 어떻게 생겨났나?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과학분야의 연구가 언어의 기원을 밝힐 수 있는 여러가지 연구업적을 보이고 있음에도
불
구하고 아직 큰 진전을 보지 못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따라서 언어의 기원을 밝히려면 인간의 조상이 어디에 사는 누구였는지부터 학자들간에 합의를 이루어 내는 일이 필요할 것 같다 ... ...
사나운
불
길들이기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염소산칼륨이 진한 황산과 섞일 때 폭발적으로 반응하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이 성냥에
불
편했던 점은 액체인 진한 황산을 갖고 다니기 어려웠다는 점이다. 게다가 진한 황산은 위험하기 짝이 없었을 뿐더러 습기를 흡수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오래되면 묽어져서 사용할 수 없었다 ... ...
잘못 쓰이고 있는 과학기술용어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 지동설실제로 지구도 태양도 우주의 중심이 아니다. 따라서 천동설 지동설 등으로
불
러야 옳은 표현이 된다.이렇게 잘못 사용되고 있는 용어들은 그 뜻을 정확하게 알지못하고, 어렴풋이 짐작에 의해 사용하기 때문이라고 본다. 따라서 정확한 뜻을 새기는 습관이 필요하다고 본다 ... ...
(3) 「발등의
불
」 전산서체 개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글자를 알아볼 수만 있으면 되는' 정도로 치부하고 있는 한에서는 한글 서체의 발전은
불
가능하다. 서체도 하나의 상품이며 그것을 만드는 데 많은 노력이 든다는 사실, 미래의 컴퓨터 산업에서 서체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투자를 해야만 제대로 된 한글 서체가 나올 수 있다 ... ...
왼손잡이「로키」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지나친 부담을 안게 되는 반면 우뇌는 빈둥거리는 상태가 되므로 양쪽 대뇌의 업무량이
불
균형상태에 이르게 된다.오른손잡이도 가끔 왼손을 쓰는 것이 좋다. 우뇌의 지배를 받는 직관력과 창의력을 이끌어 내려면 그 말단부위부터 길들여 놓아야 하기 때문이다.요컨대 왼손잡이는 결코 열등한 ... ...
울릉도의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기존의 논문들은 이 섬의 전체높이가 약 3천m이며 그중 해수면 위에 솟아있는 것은 1천m에
불
과하다고 밝힌다. 즉 동해상에 우뚝 솟아있는 형태로서 울릉도 해안에는 모래사장이 없고 수심이 급속히 깊어져 헤엄을 칠만한 얕은 곳도 흔치 않다. 대신 바닷물은 글자 그대로의 '초록빛 바다'로 ... ...
이전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