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재
light
불빛
광
빛
전등
화난
d라이브러리
"
불
"(으)로 총 2,417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 규슈의 지질과 화산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고스란히 유지하고 있는데 반해 이나즈미동굴은 인공이 많이 가미돼 있었다. 아미타
불
문주보살 등 그럴싸하게 이름붙여진 석회암 종류석들이 눈길을 끌었고 산호석도 주목의 대상이 되었다.동굴탐사 후 온천관광도시 벳푸로 이동했다. 소문대로 벳푸는 아름다운 항구도시였다. 관광객들도 꽤 많이 ... ...
우뚝 선 메히코의 피라미드 나우아 문명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비롯한 여러 식물을 심어 길렀다. 아스테카사람들은 이것을 치남파스(Chinampas)라고
불
렀다.그러나 주변국들을 점령함으로써 영토가 확장되고 그에 따라 농토를 확보하게 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경작에 종사하게 된다. 그들은 주로 옥수수 콩 호박 고추 고구마 토마토 용설란 담배 면화 등을 ... ...
갈릴레이를 부끄럽게 한 기체 온도계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③ 충분히 준비되면 마지막에 끓는 물 쪽에서 얼른 꺼내 적당한 길이(속에 담긴 알코올이
불
에 안정할 만큼)를 유지하면서 버너로 끝을 막는다.이렇게 자신이 만든 온도계로 여러가지 물질의 온도를 재 보자. 아울러 학교의 온도계와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도 알아보자.(4) 알코올 온도계를 만드는 ... ...
PARTⅠ마이크로파에서 레이저과학으로 첨단과학에 빛을 더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인류의 문명이
불
의 발명으로 시작된 이래 구석기시대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를 통하여 수천년 동안 과학문명의 발전은 거의 정체상태에 있었다. ...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모든 첨단과학의 개발에 '꿈의 빛-레이저'는 필수
불
가결한 요소로 존재하는 것이다 ... ...
성 호르몬 과다가
불
임 부른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연구가 생리주기의 전반기에 관한 최초의 고찰이라는 것을 강조했다. 지금까지의
불
임문제에 대한 연구는 거의 생리주기 후반기에 초점으로 두고 진행됐다 ... ...
PARTⅣ 인류로의 진화 침팬지에서 호모 사피엔스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조선 개국은 12월 31일 23시 59분 50초우주력으로 따지면 인간의 역사래야 고작 5분에
불
과하다.우주의 나이는 얼마나 될까. 빅뱅(Big Bang)이후 현재까지 얼마나 세월이 흘렀을까. 천문학자들은 이에 대해 아직까지 명확한 해답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1929년 에드윈 허블이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 ...
촛
불
앞에서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놓으면 소금덩어리의 틈 사이로 알코올이 딸려 올라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불
도 붙일 수 있다. 4 ③ 필자가 양초를 직접 만들면서 맞부딪친 문제 중 가장 해결하기 힘들었던 난제가 심지였다. 양초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심지다. 심지가 녹은 파라핀을 잘 흡수하게 하려면 무명실로 ... ...
금성─
불
동반관계로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불
사의 우수한 기술력을 흡수할 수 있게 됐다.구체적인 내용을 보면 먼저 1단계로
불
사는 컴퓨터판매와 기술이전을 위한 조직을 정비하여 한국에 기술지원을 강화하며 2단계로 양사가 공동으로 아시아지역 공동조사팀을 구성하여 전략제품을 판매한다. 마지막 3단계에 가서 양사는 세계적으로 ... ...
PARTⅣ 생명과학자들의 최대고민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또 전쟁후엔 남아의 출생률이 자동적으로 현저히 높아져서 전몰희생으로 생긴 성비의
불
균형이 교정되는 현상 등이 바로 자연의 내재율을 보여주는 산 증거다. 분자생물학에 기반을 둔 유전공학기술은 이러한 자연의 섭리에 순응하며 개척돼 나가야 할 것이다. 이를테면 태아의 성감별이 자연의 ... ...
외래해충에 파괴되는 생태계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주로 항구도시에서 이 해충이 처음으로 발견된 이후 긴급 방제령 발동등 대책수립에도
불
구하고 점차 그 분포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이 해충은 주로 애벌레가 벼의 뿌리에 붙어서 뿌리를 갉아먹어 벼의 생육을 억제한다. 논쪽이나 산기슭의 잡초, 나무밑 흙속에서 겨울을 지낸 성충이 이른 ... ...
이전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