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하야부사 2호] 왜 류구를 찾아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멋진 미래를 만들어요!”김명진(한국천문연구원 우주위험감시센터 선임연구원) Q우리나라도 하야부사 2호의 임무에 참여했나요? JAXA의 요청으로 한국천문연구원에서는 2011년부터 2012년까지 지상에서 류구를 관측했어요. 이 관측 자료로 류구의 자전 주기가 7.6시간임을 확인했습니다. 류구가 ... ...
- [통합과학 교과서] 전설의 나무 방패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연대 측정한 결과, 운석 충돌이 약 5만 년 전에 발생했을 가능성을 확인했어요. 그동안 우리나라에도 운석이 충돌한 흔적이 몇 번 발견됐지만, 진짜 운석 충돌에 의한 것이라는 직접적인 증거를 찾은 건 이번이 처음이에요. 연구팀은 적중-초계분지가 운석 충돌구라는 사실이 밝혀진 건 ... ...
- [수학뉴스] 화산폭발 규모, 우산 모양 화산재 구름으로 추정한다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에너지가 쌓이면 화산활동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과거에 존재했던 화산활동을 추적하면 우리가 밟고 있는 지각의 변화를 유추할 수 있죠. 로버트 콘스탄틴스쿠 미국 사우스플로리다대학교 지구과학과 연구원팀은 화산이 폭발할 때 나타나는 우산 모양의 화산재 구름을 분석해 과거의 화산폭발 ... ...
- [매스크래프트] #14. 수학으로 표현한 사랑방정식, 나의 마음을 받아줘!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있죠. 그래도 사랑하는 사람에게 사랑을 표현하는 것은 그 자체로 아름다운 일이잖아요? 우리는 사랑을 수학 공식으로 나타내 볼까요? L.O.V.E를 방정식으로 나타내보자!사랑을 뜻하는 영어 단어 L.O.V.E를 식으로 표현해볼게요. 하나씩 살펴보면 대표적인 반비례 함수식인 y=로 L을, 원 방정식인 x2+y2= ... ...
- [코로나19 업데이트] 불안한 겨울에서 회복의 일상으로 코로나 블루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사람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허지원 고려대 심리학과 교수는 “온라인 모임만으로도 우리의 마음 건강을 위한 충분한 지지와 통찰을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허 교수는 최근 온라인 자조모임의 효과에 대한 연구를 했다. 자조모임이란, 비슷한 문제를 경험하고 있는 사람들이 전문가 없이 모여 ... ...
- [KAIST 50년] KAIST 탐구보고서, 괴짜라고 불린 최초의 시도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기계가 나올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사람의 창의성을 더 키워주는 등 우리가 상상하지 못한 기계가 등장하는 데 보탬이 되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하지만 지금은 일단 저 자신의 창의성을 자극할 수 있는 재밌는 연구를 계속하는 것이 목표”라며 웃었다. 두 분야 접목해 새 영역 ... ...
- 식물이 만든 독극물이라고요? 하지만 지금은 제 점심이죠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널리 재배되고 있다.카페인은 커피 외에도 초콜릿이나 차 등에도 포함돼 있다. 카페인은 우리 몸에서 억제성 신호를 전달하는 아데노신 수용체에 결합해 억제 기능을 떨어뜨린다. 또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촉진해 각성 효과를 일으킨다. 덕분에 바쁜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했다.카페인의 ... ...
- [논문탐독] 뇌로 떠나는 신경세포의 섬세한 화학언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예를 들면 안내 신호의 유무뿐만 아니라 농도 변화까지 인식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 몸이 움직임이나 속도뿐만 아니라 속도가 변하는 정도인 가속도까지 감지할 수 있는 것과 비슷합니다.연구팀은 이를 확인하기 위해 ‘줄무늬 카펫 분석’이라는 실험을 활용했습니다(아래 사진). 시개 앞쪽 ... ...
- [이공계 잡터뷰] 종합예술가 건축사 │ 예술과 인문학, 공학까지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하루는 건물에서 시작되고 건물에서 끝난다. 건물은 우리에게 편안한 안식의 공간이 되기도 하고 길을 찾는 이정표가 돼주기도 한다.국내 대표적 건축사사무소인 정림건축종합 건축사사무소에서 건축설계를 담당하는 오정근 소장(왼쪽)과 윤은주 소장을 1월 13일 서울 종로구 정림 사무실에서 만나 ... ...
- 단백질 퍼즐 맞추기, AI가 대신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난제가 풀렸다며 열띤 반응을 보였죠. 과학자들이 왜 이렇게 흥분했을까요?단백질은 우리 몸을 이루는 주성분이에요. 장기 기관을 이루고, 효소처럼 몸속 화학 반응을 조절해요. 이런 기능은 단백질의 3차원 구조에 따라 달라져요. 즉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알아야 단백질의 기능을 파악할 수 있는 ... ...
이전2072082092102112122132142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