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각 분야 최고의 수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하셨어요. 어른이 된 지금은 수학을 좋아하고 잘한답니다. 별과 우리 사이의 거리는 1pc이랍니다. 심채경 한국천문연구원 과학자지구로부터 별까지의 거리는 우주 공간의 거리를 나타내는 단위인 ‘파섹(pc)’으로 표현합니다. 1pc은 대략 206,265AU예요. 1AU는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인 약 3.2 ... ...
- [신비아파트] 오싹오싹 귀신, 수학으로 퇴치!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로봇을 만든다면 3m 75cm의 30배인 112m 5cm를 뛸 수 있을 거야! 곰팡이의 번식을 막자! 우리가 마주할 두 번째 귀신은 곰팡이로 공격하는 ‘포자귀 노부부’야. 입에서 내뿜는 곰팡이로 주변을 곰팡이 천국으로 만드는 무서운 능력을 갖췄지. 하지만 안심해! 물에 젖지 않는 소재로 방어복을 만들면 ... ...
- [특집] 추천 AI에 벡터가 필요한 순간수학동아 l2021년 01호
- 각 정보가 같은 방향에 있는지 아닌지 알 수 있죠. 단어를 예로 들면 컴퓨터는 나와 너, 우리라는 단어만으로 정보가 유사한지 아닌지 알 수 없지만, 거리와 각도 계산을 통해 세 단어가 밀접하다는 것을 학습할 수 있죠.최 교수는 추천 AI도 이런 벡터 개념을 바탕으로 작동한다고 설명했습니다. ... ...
- [기획] 코로나19 비켜! mRNA 백신 납신다~수학동아 l2021년 01호
- 과정이 훨씬 간단하다”고 말했죠. 그럼 왜 그동안 mRNA 백신을 개발하지 못했을까요? 우리 몸속에는 RNA를 분해하는 효소가 많습니다. 그래서 RNA의 한 종류인 mRNA 백신도 분해될 위험이 있죠. 모더나와 화이자는 mRNA가 쉽게 분해되지 않도록 mRNA 백신을 보호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 ...
- [방구석 과학×음악 콘서트] 수학으로 악보를 그리다!수학동아 l2021년 01호
- 그리 오래되지 않았습니다. 피타고라스, 레오나르도 다 빈치,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등 우리가 알고 있는 많은 과학자가 과학과 음악을 모두 가까이했죠. 여러분도 편의상 나눠진 분야에 자신을 가두지 말고 하고 싶은 걸 하길 바랍니다. 안성민 작곡가의 ‘L.A.S.S.14’, ‘L.A.S.S.1-20’소설 속 수학이 ... ...
- 코로나도 물리칠까? 단백질 구조 예측, 이렇게 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신약 개발에 쓸 수 있어요. 우리 몸에 세균이나 바이러스 같은 ‘항원’이 침입하면, 우리 몸은 이를 제거하기 위해 항원에만 달라붙는 ‘항체’ 단백질을 만들어요. 그런데 이런 항체를 항원에만 달라붙게 인공적으로 디자인해서 신약으로 이용하는 거죠. Q. 만든 항체가 효과가 있는지 어떻게 알 ... ...
- [과학뉴스] 공전주기 1만 5000년 외계행성 존재… 태양계 9번째 행성 힌트 될까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튕겨 나갔다고 주장한다. 연구팀의 로버트 드 로사 유럽남방천문대(ESO) 연구원은 “우리가 관측한 행성은 목성과 비슷한 형태를 가지며 내행성의 공전궤도보다 상대적으로 기울어진 공전궤도를 갖는다”며 “플래닛 나인이 존재한다면 이와 같은 공전궤도를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 ...
- [이공계 잡터뷰] 약국 근무 약사의 하루, 상담부터 공부까지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빼곡한 처방전을 꼼꼼히 살핀 뒤 필요한 약을 조제해 환자에게 전달한다. 여기까지가 우리가 알고 있는 약국 근무 약사의 업무다. 하지만 환자의 건강을 위해 약사가 해야 하는 업무는 이보다 훨씬 더 많다. 경기도 용인에서 약국을 운영하는 약사 신지연 씨를 만나 약사의 하루를 들어봤다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3화. 수학자의 새해 다짐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사람이기도 하고요. 이런 하디조차 이룰 수 없는 목표를 새해 다짐으로 정했던 걸 보면 우리의 새해 계획이 지켜지지 않는 건 어쩌면 당연한 일일지도 모른다는 자기 합리화를 하게 됩니다. 제 주위 여러 수학자에게 2021년 수학과 관련한 새해 다짐을 물어봤습니다.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
- [가상 인터뷰] 라디오돈트의 눈 덕분에 진화가 뿜뿜.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모양 이빨로 먹이를 먹었단다. 약 100년 전 처음으로 라디오돈트의 화석이 발견되면서 우리의 존재가 세상에 드러났어. Q. 너의 눈이 그렇게 좋다면서?호주 뉴잉글랜드대학교 존 패터슨 교수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작년 12월 2일 호주 캥거루섬의 에뮤 베이에서 라디오돈트의 화석을 찾아내 화석의 ... ...
이전2092102112122132142152162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