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변천
변고
이변
변전
변형
이상
뉴스
"
변이
"(으)로 총 2,452건 검색되었습니다.
돌연
변이
DNA 찾아 고치는 새로운 효소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5.21
않은 새로운 DNA 복구 시스템이 있음을 알 수 있다"며 "이 연구성과를 활용해 돌연
변이
로 발생하는 암 치료나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연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팀이 밝혀낸 UdgX와 DNA 간의 공유결합.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 ...
김성훈 서울대 교수 "다양한 약물 표적 발굴하는 타깃 팩토리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5.15
치료제에 대해 내성을 갖기 때문에 다른 약물과 병행 치료해 극복해야 한다"며 "특정
변이
(EGFR exon20
변이
)는 구조적으로 독성을 일으켜 아직 치료제가 없어 신약을 개발하기 위한 새로운 시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글로벌프론티어사업으로 의약바이오컨버전스연구단장을 ... ...
마흔 넘어 갑자기 변비가…"대장내시경 해봐야"
연합뉴스
l
2019.05.15
늘리는 식이다. 또 평소 물과 식이섬유도 많이 먹는 게 좋다. 검사 결과 특별한 병
변이
없는 상태에서 2∼3일에 1번 정도 배변을 보는 경우는 정상으로 생각해야 한다. 변비 치료를 위해서는 의사와 환자 간에 돈독한 신뢰 관계 형성도 중요하다. 생활습관의 교정과 1차 치료 약제에도 호전이 ... ...
"새 자폐·발달장애 진단법 기존보다 3배 더 정확"
동아사이언스
l
2019.05.07
연구에 참여한 환자 중 8.3%(51명)는 아직까지 임상적 의미가 확실하게 알려지지 않은 돌연
변이
가 발견됐다. 16번 염색체의 짧은 팔 부분(단완)의 미세 결실이나 15번 염색체 긴 팔 부분(장완) 중복 등이었다. 연구팀은 염색체 마이크로어레이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71.4%의 환자에게 최적의 진료 ... ...
국내 연구팀, 암세포 자살 유도하는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30
23일자에 발표했다. 암 환자 중에는 항암치료로 종양을 제거한 뒤에도 다른 유전자가
변이
된 탓에 항암제가 듣지 않아 재발하는 경우가 있다.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암 억제 유전자인 p53의 기능이 파괴돼 암이 재발하는 것으로 추측했다. 하지만 최근 p53의 기능을 복구시켜도 이미 발생한 암은 ... ...
5000만명 숨진 ‘스페인독감’ 독성 비밀 101년 만에 풀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9
독감과 유사한 유전적
변이
를 지닌 바이러스가 좀처럼 등장하지 않다 2016년 일부 비슷한
변이
를 지닌 바이러스가 갑자기 나타났다”며 “그에 의한 중증 감염도 일어나고 있는 만큼 이번 연구 결과가 만에 하나 있을지 모를 대유행을 막는 데 보탬이 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 ...
"임신 중 빵·과자 많이 먹으면 아이 식품알레르기 위험 1.5배"
연합뉴스
l
2019.04.09
알려진 단일염기다형성(SNP)을 분석했다. SNP는 사람에 따라 특정 부위의 DNA 염기서열이
변이
된 것을 말한다. 예컨대 질병이 있는 환자와 정상인을 비교했을 때 특정 SNP가 나타나는 빈도가 유의하게 다르다면 그 SNP는 질병과 관련된 것으로 본다. 이 결과, 전체 조사 대상 영아 중 9.0%(147명)가 ... ...
유전자
변이
로 생기는 '혼합형 백혈병' 발병 메커니즘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08
비정상적인 재배열로 인해 발병한다. MLL이라는 유전자와 AF4라는 유전자가 합쳐진 돌연
변이
에 의해 DOT1L이라는 단백질이 과다하게 활성화된 것이 요인으로 꼽힌다. 이에 따라 DOT1L을 억제 표적으로 하는 치료법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연구팀은 DOT1L의 혼합형 백혈병 발병 메커니즘을 ... ...
“에이즈 완치 낙관 일러... 백신개발 통한 예방이 우선돼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4.05
이식받은 골수 속에서 혈액세포와 면역세포를 만드는 줄기세포인 조혈모세포에 유전자
변이
가 있었다. HIV가 면역세포에 침투할 때는 세포 표면에 마치 안테나처럼 튀어나와 있는 신호 감지 단백질을 표적으로 이용한다. 그런데 브라운 씨가 이식받은 골수 속 조혈모세포는 이 표적 안테나 단백질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냉매 안 쓰는 냉장고·에어컨 시대 열리나
2019.04.02
자기장이나 전기장, 압력 같은 장(field)의 변화를 줄 때 엔트로피가 크게 변하는 상
변이
가 일어나면서 열을 흡수하거나 방출하는 화합물이다. 엔트로피(S)는 무질서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이다. 외부에서 장을 걸면 칼로릭 재료의 무질서도가 작아지면서 온도가 올라가고 열을 방출하면서 원래 ... ...
이전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