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때
사례
실례
지위
처지
기회
케이스
d라이브러리
"
경우
"(으)로 총 12,899건 검색되었습니다.
건국대 상허1급 장학생 백하나 - “백지 노트와 오답 노트 덕 봤어요”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많은 학생이 오답 노트를 통해 자신의 약점을 보완하려고 하지만 뜻대로 잘 되지 않는
경우
가 많다. 하다 보면 오답 노트의 본질을 잊기 때문이다. 그는 “오답 노트는 틀린 이유를 정리해 다시 반복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만드는 것”이라며 “문제별로 과목과 단원, 문제 유형부터 틀린 원인과 ... ...
이원희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교장 - “과학과 인문학 아우르는 하이브리드형 인재”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융합적 소양을 평가하는 인문예술융합 소양평가의
경우
,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쌓을 수 있는 인문 학적 소양을 바탕으로 자신의 생각을 더해 문제를 이해하고 있음을 보여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3단계 융합역량다면평가는 1박 2일 캠프로 진행된다. 다면평가라는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0] 전기에너지와 발전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유도 기전력이라고 한다. 유도 기전력과 유도 전류는 코일을 통과하는 자기장이 변할
경우
에만 흐른다. 패러데이는 이외에도 수많은 실험을 반복하며 다음과 같은 규칙을 발견했다. 이 규칙을 수식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고, 이를 ‘패러데이 법칙’이라고 한다. 패러데이 법칙은 전자기 유도에 ... ...
[매스미디어] SHOW ME THE MONEY 777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이득을 보고, 지면 손해를 본다. 그런데 ‘팀 배틀 디스전’에서는 이기고도 손해를 보는
경우
가 생겼다. 팀 배틀 디스전은 심사위원 4팀이 두 팀씩 짝을 이뤄 승부를 가리는데, 각 팀에 속한 참가자 3명이 1명씩 나와 총 3번을 겨뤄 2번 이상 이긴 팀이 최종 승리한다. 팀 배틀 디스전에 적용한 베팅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둘레도 넓이도 같은 두 삼각형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같습니다. 또 이 도형의 각 변에 정수를 곱해도 여전히 둘레와 넓이가 같죠. 그럼 이런
경우
를 제외하고 둘레와 넓이가 같은 직각삼각형과 이등변삼각형이 있을까요? 놀랍게도 답은 ‘아니오’입니다. 좋은 수학 문제를 발굴하는 방법연구팀은 6쪽짜리 짧은 논문으로 답을 밝혀냈는데요. 논문도 ... ...
Part 3. 참고래, 골격표본이 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군데군데 끼워져 있는 이유는 모양을 유지하기 위해서랍니다. 크기가 작은 뼈들의
경우
복원 과정에서 접착제를 사용하기도 해요. 예를 들어 가슴지느러미뼈는 원래 여러 개의 뼈가 연골로 연결돼 있어요. 하지만 매장 과정에서 연골이 썩어 없어지면 여러 개의 뼈들이 흩어지지요. 이 뼈들 ... ...
공부 잘하는 약 ‘스마트 드럭’의 유혹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인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는 기억개선 효과가 작거나 플라세보(위약) 효과인
경우
가 많았다”고 발표했다. doi: 10.1002/brb3.782013년 미국 펜실베이니아대의 연구 결과도 이를 뒷받침한다. 건강한 성인 46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서 애더럴과 리탈린 등 스마트 드럭의 복용이 인지기능에 ... ...
노벨상 5대 트렌드- 연령 높아지고, 여성 증가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20세기 기초과학에 투자한 결실이 21세기에 이뤄졌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의
경우
1990년대부터 정부의 기초연구 지원이 본격화된 만큼 기초 연구가 제대로 이뤄진 건 30년도 되지 않았다. 일각에서는 노벨 과학상 수상이 수십 년 전 연구 업적에 대한 공로로 수여되는 만큼 향후 일본에서도 ... ...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모아 밀의 연속적인 염기서열과 10만7891개의 유전자, 400만 개의 분자 마커(변이가 생길
경우
기능이나 형태에 변화가 일어나는 DNA 염기)를 밝혀냈다. 밀의 전체 염기서열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팀은 방대한 데이터를 해석하는 바이오인포메틱스 기술을 사용했다. 밀 게놈을 평균 길이가 76개 염기쌍인 ... ...
'땅 위의 인공태양' 건설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사용하며 겪어 왔던 일들을 또 다시 반복하게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또 재생에너지의
경우
기존 에너지원을 대체하기에는 전력 생산효율이 너무 낮다고도 지적했다.현재 핵융합에너지는 기술 검증에만 수십 년 이상 걸려 언제 완성될지 모른다는 불안감이 팽배해 있다. 1억~2억5000만 도의 초고온 ... ...
이전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