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모의평가와 EBS 꼼꼼히 분석해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반고리관에서의 회전감각과 막전위의 관계, 중추에서의 시각 성립 과정, 그리고 생식
세포
의 비분리에 따른 염색체 돌연 변이 문제를 눈여겨 익혀둘 필요가 있다. 이밖에도 실생활 소재를 활용한 응용문제가 새롭게 출제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기본개념을 활용하는 유형으로서, 관련 개념을 ... ...
아다 요나트 박사와 과학 꿈나무들의 만남!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약해서 결정으로 만들 수 없었답니다. 그런데 어느 날, 북극곰이 겨울잠을 잘 때
세포
속 리보솜을 한데 뭉쳐 결정처럼 만든다는 기사를 우연히 읽었어요. 그리고 생각했죠. 리보솜 결정을 아주 낮은 온도에 얼리면 되겠다고 말이에요. 북극곰이 추운 곳에 사는 데에서 힌트를 얻은 셈이죠.그래서 ... ...
그 곳에 생명이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동물이 질산염 호흡을 하면 항상성을 유지하게 위해 에너지가 많이 들어간다”며 “
세포
내에서 이를 해결하는 방법이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염소로 호흡할 수 있다는 주장도 있지만 가능성은 낮다.SF영화나 소설에서 가장 흥미롭게 다루는 소재는 규소로 이뤄진 생명체다. 지구생명체를 ... ...
‘시험관 아기’로 신의 섭리 넘어서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등이 개발됐다. 서울대 인구의학연구소의 오선경 박사와 김희선 연구원은 인간 배아줄기
세포
주를 확립해 국내에서도 재생의학을 연구할 수 있는 길을 개척했다. 현재는 여성 암환자가 난자 또는 배아를 냉동 보관했다가 암 치료가 끝난 뒤에 아기를 갖도록 하는 시험관 아기 시술법도 활발히 진행 ... ...
암은 과거에 없던 현대병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영국 맨체스터대의 로잘리에 데이비드 교수팀은 최대 3000년 전의 미라 수백 구에서
세포
조직을 채집하고 특수 처리해 현미경으로 관찰했다. 연구진은 과거에는 외과수술이 거의 이뤄지지 않았으므로 악성종양인 암이 있었다면 흔적이 남아 있을 것이라 예상했다. 관찰 결과 수백 구 중 오직 한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수소이온으로 바꿔주는 효소로
세포
막에 존재한다. 흥미롭게도 Car4와 PKD2L1는 같은
세포
에 분포한다. 그러나 주커 박사팀이 찾은 PKD2L1가 진짜 신맛 수용체인가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있다.아무튼 지난 10여 년 동안 주커 교수는 오랜 친구인 리바 박사와 함께 미각의 신비를 밝히는 데 헌신해 왔다. ... ...
[생물] 물질은 순환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CO2와 결합할 수 있다. 즉 C4식물의 경우 C4 경로는 엽육
세포
에서, 캘빈 회로는 유관속초
세포
에서 일어나도록 공간을 분리했다. CAM식물은 선인장과 같은 사막 식물로서 수분 손실을 막기 위해 낮에는 기공을 닫고 밤에만 기공을 열어 CO2를 흡수하고 고정한다. 이때 C4 유기물 상태로 액포에 저장했다가 ... ...
부정적인 허물 벗어버리는 마음 웰빙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선사한다. 세로토닌 신경에는 자기 억제 회로가 있어 분비량이 지나치게 많을 때는 원래
세포
로 다시 흡수해 균형을 맞춘다.이 박사는 “몸속에서 자연적으로 분비되는 세로토닌은 극소량이지만, 이것을 최대한 활용하면 정신을 행복하게 유지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박사에 따르면 세로토닌이 ... ...
긍정의 힘으로 만든 나노 고분자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과에 있는 박태현 교수와 함께 바이오 전자코를 만들었다. 박 교수가 배양한 후각상피
세포
를 고분자재료연구실에서 만든 전도성 폴리머와 연결했더니 기존에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할 때보다 감응도가 100배 이상 좋아졌다. 장 교수는 이 연구로 올해 7월 ‘이달의 과학기술자상’을 수상했다 ... ...
당신이 감각에 속고 있다면?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감각수용기를 대체할 수 있다. 만일 신경
세포
에도 문제가 있다면 이용할 수 없다. 신경
세포
의 문제가 있는 경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인공 감각수용기를 뇌와 직접 연결하는 방법을 도입한 경우도 있다. 뇌와 기계를 연결하는이러한 기술을 BMI 기술이라 한다().와우(달팽이관)가 손상된 ... ...
이전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