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초파리의 짝짓기에서 인간의 뇌를 보다 - 분자신경행동학 연구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알아내야 한다. 교미후 먹이 가리기, 알 낳기 등 다른 짝짓기 행동과 관련된 신경
세포
까지 파악하면 ‘짝짓기 뇌 회로’가 완성된다.“전체 뇌 회로를 완성하는 것은 아직 먼 일이지만 조각조각 나온 결과도 중요해요. 특히 짝짓기 행동은 쓸모가 많죠.예를 들어 모기의 교미를 막는 약을 만드는 데 ... ...
한국인이 앓기 쉬운 5가지 마음병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김경진 교수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스트레스를 없애는 호르몬(코티졸)을 만드는
세포
가 낮과 밤을 구별하는 생체리듬 분자를 갖고 있다. 코티졸은 낮에는 왕성히 분비되다 밤이 되면 현저하게 감소한다. 생체리듬이 깨지면 코티졸이 제대로 분비되지 못해 불면증이 생긴다. 불면증이 길어지면 ... ...
인공 난소 개발…암 환자 불임 치료길 열리나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넣었다.며칠 뒤 실제 난소처럼 난포막
세포
가 과립막
세포
와 난모
세포
를 감쌌고, 난모
세포
는 그 안에서 난자로 성숙했다. 인공적으로 배양한 조직이 실제 난소의 역할을 해낸 것이다.카슨 교수는 “3차원 조직 배양 기술을 이용해 난자를 인공적으로 성숙시킨 첫 번째 성공 사례”라며 “건강한 ... ...
박테리아의 성장패턴 수학으로 밝히다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적은 곳과 죽은
세포
가 많은 곳에서 나타나는데 박테리아 밀집도를 보면 죽은
세포
는 동심원 고리 모양으로 존재합니다. 따라서 동심원 고리 모양으로 박테리아가 증식 한다는 것입니다.앞으로 이 수학 모형을 통해 다른 미생물의 성장패턴도 밝힐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
1993년 빅터 앰브로스 박사의 마이크로RNA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많은 영역이 마이크로RNA를 고려하지 않으면 제대로 해석할 수 없다. 불과 959개의
세포
로 이뤄진 눈에도 잘 보이지 않는 선충의 발달과정을 집요하게 관찰해 베일에 가려져 있던 생명의 비밀을 밝혀낸 앰브로스 교수의 이야기는 ‘행운은 준비된 사람의 몫’이라는 격언에 딱 맞는 예가 아닐까 ... ...
긍정의 힘으로 만든 나노 고분자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과에 있는 박태현 교수와 함께 바이오 전자코를 만들었다. 박 교수가 배양한 후각상피
세포
를 고분자재료연구실에서 만든 전도성 폴리머와 연결했더니 기존에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할 때보다 감응도가 100배 이상 좋아졌다. 장 교수는 이 연구로 올해 7월 ‘이달의 과학기술자상’을 수상했다 ... ...
‘바이러스’의 두 가지 정의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파괴하는 시기다. 용원회로는 숙주에 바이러스의 유전물질이 끼어들어 잠복기를 갖고,
세포
내부에서 잠재적 요소로 숨어 있다가 언제든지 용해회로를 통해 바이러스가 표현될 수 있는 상태다. ③ 백신 : 우리의 몸은 외부에서 침입한 항원에 저항할 수 있는 항체를 생성한다. 또한 침입한 항원을 ... ...
생명의 타임캡슐 씨앗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튼튼한 구조물을 만들 때 이용되지요.아주 작은 씨앗의 경우 이처럼 종피의 바깥쪽
세포
벽이 떨어져 나간 경우가 많은데, 씨앗 무게를 최소화해 좀 더 멀리, 오랫동안 바람을 타고 퍼지게 진화한 결과라고 하는군요. 이런 친구들에 비하면 크기가 1cm가 넘는 저희 같은 씨앗(또는 열매)은 확대해도 ... ...
그래핀, 신발 악취 없앤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성장시킨 결과 박테리아가 그래핀 산화물과 반응해 죽는 것을 관찰했다. 하지만 인간
세포
에는 어떤 부작용도 나타나지 않았다.연구팀은 그래핀의 이런 특성을 활용한다면 악취를 없애거나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천하이 교수는 “이 연구에서 그래핀의 대량생산 ... ...
감쪽같은 소금 흉내로 뇌 속인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그런데 매운 맛은 기본 맛으로 분류되지 않고 있다. 자극으로 인해 톡 쏘는 느낌은
세포
에게 통증으로 인지되기 때문이다. 이런 통증 속에 다른 미묘한 맛이 조화를 이뤄 매운 맛이 완성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5월부터 통각에 대한 식품성분의 연구를 시작했다. 또 일본 도쿄대, 이탈리아 ... ...
이전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