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안"(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영국유학일기] 시험공부, 과제, 인턴십 쉴 틈 없이 바쁜 방학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컨설팅 기업에서 진행한다. 이 분야로 진로를 잡은 학생이라면 절대 이 기회를 놓쳐서는 안 된다. 졸업 직전인 3, 4학년이 끝나자마자 인턴으로 들어가려면 스프링 위크에 참여했다는 ‘스펙’이 있는 게 좋다. 임페리얼칼리지는 이공계 대학이지만, 은행이나 컨설팅 기업에 취업하는 학생들이 ... ...
- 150만 년 전 지구의 기록 빙하코어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주기를 바꾼 원인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현재 지구온난화의 원인과 해결방안을 마련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선도하는 곳은 유럽이다.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영국 등 유럽 국가들이 참여하는 ‘Beyond EPICA’ 프로젝트가 2016년 시작됐고, 마침내 올해 6월부터 ... ...
- [10대의 약] 상처나면 소독약 꼭 발라야 한다 VS. 아니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하며, 밴드가 많이 부풀어서 진물이 흘러나올 정도가 아니라면 자주 교체해서는 안 됩니다. 또 감염 위험이 있는 상처에는 절대 사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밀폐된 공간에서 세균이 더 많이 증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Q. 화상용 연고가 따로 있다?헤어 스타일러(일명 고데기)나 여름철 자외선으로 ... ...
- [세상을 바꾼 원소] 금...세상을 이끌어온 노란빛, 인류의 영원한 보물과학동아 l2019년 12호
- HCG)이 분비되는데, 이 호르몬을 감지해 임신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테스트기 안에 들어있는 호르몬 감지 물질이 항체가 붙은 금 나노입자다. 만약 소변 속에 HCG가 존재한다면 테스트기 내의 항체에 HCG가 결합하면서 항체에 붙은 금 나노입자로 인해 붉은 띠가 나타난다. 또 인플루엔자나 일부 암 ... ...
- 아폴로부터 아르테미스까지, 우주복의 진화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환경에도 견딜 수 있다. 헬멧 부위에 있던 헤드셋 모양의 통신 시스템은 제거했다. 헬멧 안에서 땀이 나면 우주 비행사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대신 우주복 위쪽에 마이크를 내장했고, 이 마이크는 우주 비행사의 목소리를 자동으로 포착해 우주선이나 지구와 통신할 수 있게 만들었다 ... ...
- [SF에 묻는다] 200살을 맞은 사나이 vs. 블레이드 러너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비교해 보겠습니다. 중국어 방은 인간과 똑같아 보이는 안드로이드 몸이 됩니다. 그 안에 있는 사람과 지침은 소프트웨어가 되겠지요. 중국어 질문과 답변은 각각 외부의 자극과 그에 대한 반응입니다. 같은 논리로 보면, 겉모습이나 행동이 아무리 인간과 똑같다고 해도 인공지능 로봇이 인간처럼 ... ...
- 알고 리의 나 혼자 산다수학동아 l2019년 12호
- 플레이’, 패션 추천 플랫폼 ‘스티치픽스’는 신생 회사임에도 큰 성공을 이루며 안정적인 기업으로 거듭났습니다. 제 강연을 듣고 추천 알고리듬의 매력에 빠졌다면 여러분도 이 알고리듬을 어디에 적용하면 좋을지 상상해보세요~. 참고 강대현 ‘데이터 마이닝과 집단 지성 기법을 활용한 소셜 ... ...
- 수동의 크리스마스 교통지옥 돌파기, 빅데이터 히어로가 탄생하다!수학동아 l2019년 12호
- 혹시 시간 괜찮으면 오늘 내 파티에 오지 않을래? 전에 말했다고 생각했는데 전송이 안 됐었나 봐. 와 준다면 기쁠 거야.’세상에! 태형이 보낸 초대장이었다! 심장이 쿵쾅거렸다. 파티 시간은 앞으로 1시간! 옷도 마땅치 않고 선물도 준비하지 않았는데 제시간에 태형의 집에 갈 수 있을까? 현관문을 ... ...
- [섭섭박사 실험실] 데굴데굴 물방울 구슬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않고 물을 싫어하는 성질을 ‘초소수성’이라고 부르지요. 이건 초소수성 코팅제 안에 수십nm(나노미터. 1nm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실리카 알갱이’가 들어 있기 때문이랍니다. 실리카 알갱이는 물과 잘 결합하지 않거든요.한편 액체는 표면을 최소한으로 줄이려는 ‘표면장력’이 작용해 둥그런 ... ...
- ‘배민 떡볶이 마스터즈’ 결선에 가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아히의 학명은 카프시쿰 바카툼(Capsicum baccatum)으로 한국 고추인 카프시쿰 안눔(Capsicum annuum)과는 종 자체가 다르다”며 “수십만 년 전부터 한반도에 고추가 자생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고추가 임진왜란 이후 일본에서 수입됐다는 가설은 시기적으로도 맞지 않는다. 보통 ... ...
이전2082092102112122132142152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