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끌채
픽
d라이브러리
"
채
"(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우스 조작을 눈으로?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아이포인트(EyePoint)라는 소프트웨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키보드의 단축 키를 누른
채
모니터를 보면 응시하는 곳의 화면이 부분적으로 확대된다. 이어 확대된 곳 가운데 원하는 위치를 바라보며 단축 키에서 손가락을 떼면 클릭이 되는 방식이다.사실 과학자들은 1990년대 초부터 눈추적 기술을 ... ...
광우병, '뼛조각'만 문제인가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광경이 목격됐다. 아홉 달 된 수소의 한쪽 뇌가 도려지고 생식기와 눈, 혀까지 사라진
채
죽어있었다. 주변에는 발자국이나 타이어 자국도 없었다. 세간에는 외계인의 소행이라는 말까지 나돌았다. 그리고 몇 개월 뒤 북미 대륙 최초의 광우병(狂牛病) 소가 발견됐다.세계적으로 광우병이 처음 발견된 ... ...
'미사일 킬러'에 떠는 러시아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결정질 구조로 되돌아 가지만, 매초 10만∼1백만℃ 정도 초고속냉각을 시키면 비결정질인
채
굳어버린다 이와 같은 아모퍼스 금속은 인장강도 마모성 자기특성이 뛰어나 활용 범위가 넓다 그래서 꿈의 금속재료라고도 불리며, 합금시켜 용도에 맞는 좋은 재료를 얻을 수 있다소립자 등의 기본 성질을 ... ...
[제 1 화]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차례였다. 입가에 미소를 머금은 그 역시 연설 원고를 펼쳤다가 접었다. 눈을 꼭 감은
채
시 한 수를 암송했다.누굴 보듬어 안을 만큼팔이 길었으면 좋겠는데팔이 몸통 속에 숨어서나오기를 꺼리니손짓도 갈고리마저 없이견디는 날들은 끝도 없는데매사에 다 끝이 있다 하니기다려 볼 수밖에한 달 ... ...
30초만에 30층 오르게 도와주는 로프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하더라도 이 천구가 실재하는 것으로 생각되어 모든 천체가 이 천구위에 고정된
채
로 돌고 있다고 믿어졌다 현재에도 천체까지의 거리와는 관계없이 천구상에서의 천체의 위치를 생각하는 구면천문학이라는 분야가 있다케플러가 세운 행성운동에 관한 세가지 법칙 즉 행성은 태양을 한 초점으로 ... ...
지구 중심을 들여다보기 위한 항해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나눈다 PC통신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종류는 1천2백bps급인데 비동기방식을
채
택하고 있으므로 하나의 데이터는 10비트 따라서 1천2백bps는 초당 1백20바이트를 전송한다는 뜻이다 이 경우 흔히 쓰는3백60KB의 525인치 디스켓 1장을 전송하기 위해서 50분이란 시간이 소요된다DDD용 공중전화기에서 ... ...
비스타 반길 것인가, 외면할 것인가?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문제다.그렇다면 비스타 자체는 어떨까? 겉모습만 번지르르해진 XP는 아닐까? 2년도
채
안 돼 나온 윈도XP는 ‘윈도 2000’의 버전 2 정도일 뿐이라고 봐도 될지 모른다. 하지만 윈도 XP 이후 6년만에 나온 윈도 비스타는 그만큼 충격도 크다. 소프트웨어 무궁무진 응용 가능해대표적인 충격은 역시 ... ...
대체 에너지 '에탄올'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결합을 일으킨다 파인세라믹스의 경우는 원료 분말을 용해시키지 않고 고체상태인
채
소결시킨다램제트보다 한 걸음 앞선 극초음속 여객기용 제트엔진 음속을 넘어선 압축공기의 흐름 속에서 안개 상태의 액체수소를 태워 추진력을 얻는다 이 엔진은 초음속에서만 작동하며, 현재 ... ...
PART2 굿바이 미네랄워터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알프스의 지하암석층에서 끌어올린 천연광천수’ ‘수만년 전 만들어진 빙하에서
채
취한 물’처럼 같은 생수라도 물의 태생은 모두 다르다. 생수의 종류는 크게 광천수(mineral water)와 용천수(spring water), 정제수(purified water)로 나눈다.광천수는 땅속 깊은 곳에서 끌어올린 물로 미국 식품의약국에 ... ...
우주인이 두려워하는 질병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우주인의 사생활이기 때문에 누가 우주적응증후군을 앓았는지 공개하지 않은
채
우주인의 약 50%가 이 증상을 보인다고만 밝혔다.MIT의 항공공학과 찰스 오만 교수는 “우주인들은 멀미로 헤롱거리는 자신의 모습을 감추려 하기 때문에 우주적응증후군이 보고되는 경우는 드물다”고 덧붙였다 ... ...
이전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