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JOB터뷰] 과학책방 '갈다' 이명현 대표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책방을 운영해 보기로 결심했지요. Q. 왜 하필 책방을 열기로 결심하셨나요?맨
처음
동료들과 얘기할 때는 도서관이나 비밀클럽을 만들어 보자는 얘기도 나왔어요. 그런데 그 중에서 가장 먼저 망할 게 무엇일지 고민했어요. 모두 책방이 가장 먼저 망할 거라고 생각했죠. 요즘 사람들이 책을 많이 ... ...
[통합과학] 40인의 도둑이 살아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5호
보물을 훔쳐갈까 봐 전자식 도어락으로 바꾼지 오래됐다고 설명했지요. 40인의 도둑을
처음
만나는 꿀록과 개코는 잠시 긴장했지만, 도둑의 모습을 보고 안도했어요. 도둑이 상상하던 모습과 너무도 달랐기 때문이에요. 알리바바의 이야기만 들었을 땐 각진 얼굴에 검은 턱수염을 기른 험상궂은 ... ...
[혀의 진화] 400개 근육의 최종 지휘자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설명했다. 다만 다른 근육의 움직임까지 자연스럽게 구사하려면 시간이 걸린다.
처음
외국어를 배울 때 어눌하게 발음을 하는 이유도 근육의 훈련이 덜 됐기 때문이다.발음이 근육의 훈련과 관련이 있다면 랩은 어릴 때부터 하는 게 좋을까. 최근 ‘중등 래퍼’와 ‘고등 래퍼’의 등장도 이와 ... ...
[혀의 진화] 영장류에서 인간으로 자유를 얻은 혀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단어를 떠올리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1874년 독일의 신경정신의학자 칼 베르니케가
처음
발견했으며, 베르니케 영역에 이상이 있으면 실어증이 생긴다. 단어들을 여러 개 연결해 의미가 있는 문장을 만드는 영역은 대뇌피질 하측전두엽에 위치한 브로카(Broca) 영역에서 담당한다. 브로카 영역은 ... ...
과학은 이해다_정종태 교사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함성이 월드컵 한일전을 방불케 했다. 이 군은 “열기구날리기 대회를 준비하면서
처음
으로 종단속도의 개념을 알게 됐다”고 뿌듯해 했다. 낙하하는 물체의 중력과 공기의 저항이 같아지면 물체가 등속운동을 하는데, 종단속도는 이 때의 속도를 말한다. 이 군은 물리 과목에 자신감을 얻으면서 ... ...
[수학뉴스] 고등학생이 만든 외계행성 찾는 수학 모형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수 있는 지역은 96개라는 것을 알아냈습니다.험프리 양은 라틴 아메리카 출신으로는
처음
1등을 차지했는데요, “가능한 최고의 연구를 하고, 최고의 과학자가 되는 게 목표”라고 소감을 전했습니다 ... ...
[정수론 어벤져스] 편지에 기록된 수학난제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골드바흐의 추측은 논문이 아니라 편지에서
처음
언급된 수학 난제입니다. 18세기 러시아 수학자 크리스티안 골드바흐와 스위스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주고받은 편지에 적힌 내용이었죠. 편지가 남아 있지 않았다면 둘 사이의 이야기로만 남을 수도 있었습니다. ...
[수동TV] 수프라이즈~수학자들은 24가족?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생각해볼 사례로 2006년 필즈상을 받은 그리고리 페렐만을 들었다. “페렐만이
처음
푸앵카레 추측을 증명했을 때 아무도 관심을 두지 않았어요. 소위 ‘톱클래스의 수학자 그룹’에 속하지 않았으니까 덜 알려진 거지요. 하지만 결국 증명이 맞다는 것이 밝혀지자 그 자체로 가치를 인정받게 ... ...
[알고리듬 시그널] 해밀턴 회로 문제를 푼다! 백트래킹 알고리듬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하는데 ‘백트래킹’이라는 용어는 미국 수학자인 데릭 헨리 레머가 1950년대에
처음
으로 사용한 뒤 컴퓨터 과학에 널리 쓰이게 됐어요.백트래킹 알고리듬은 모든 경우의 수를 따져보는 방법이기 때문에 다른 알고리듬에 비해 다소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지만, 해가 있는 문제라면 근사해가 ... ...
이것도 주기율표라고? 주기율표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장점은 원소의 흐름이 끊기지 않는다는 거예요. 모든 원소가 한 줄로 붙어있어
처음
부터 끝까지 차례로 읽을 수 있지요. 또 다른 대안은 ‘입체 주기율표’예요. 기존의 종이 주기율표를 잘라 양 끝이 만나도록 붙여요. 이렇게 하면, 원소의 흐름을 끊김 없이 읽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따로 분류하던 ... ...
이전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