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日, 사지마비 환자 일으켜 세우나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조합은 발견자인 야마나카 교수의 이름을 따 ‘야마나카 칵테일(OSKM)’이라고 부른다.처음에 야마나카 교수팀은 OSKM을 발현하는 유전자(OSKM 유전자)를 바이러스의 유전자 운반체인 플라스미드에 끼워 체세포의 핵 DNA에 집어넣는 방식을 개발했다. 핵 DNA에 이 플라스미드가 들어가면 체세포가 ... ...
- 수식으로 읽는 하드 사이언스, 메타물질 도장깨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임페리얼칼리지런던 교수는 국부 공진 현상을 이용해 양의 굴절률을 가진 메타물질을 처음 설계했고, 2001년 데이비드 스미스 미국 듀크대 교수가 이를 실물로 제작했다. 연구팀은 너비가 5cm, 높이가 1cm인 작은 구리관 주변에 10장의 메타물질 고리를 성벽처럼 겹겹이 세워 8.5GHz(기가헤르츠)의 ... ...
- 인류의 행성 이주 작전, 프록시마 b에 데려다 줄래?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에세이 ‘최후의 이주(The Ultimate Migration)’에서 1만 년을 이동하는 세대 우주선을 처음 제시했고, 1929년 아일랜드 과학자인 존 데스몬드 버널은 ‘세계, 육체, 악마(The World, The Flesh and The Devil)’라는 에세이에서 2만 명이 탑승할 수 있는 세대 우주선의 재료와 크기, 추진 시스템 등을 구 ...
- 고정환|'발사체 독립'의 꿈, 대한민국에 희망을 주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고 본부장은 만면에 미소를 띠며 말했다. 인터뷰가 시작된 지 40분 만에 그가 처음으로 보인 즐거운 표정이었다. 그는 “누리호를 개발하는 데 일조했다는 즐거움을 평생 안고 살아갈 것”이라며 “오랜 기간 하나씩 배우고 알아내 여기까지 온 우리 스스로가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그는 ... ...
- [통합과학 교과서] 탐정 사무소가 털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철은 전자를 잃는 산화를 겪지만, 산소는 그 전자를 얻는 환원을 겪지요. ‘환원’ 역시 처음에는 산화물이 산소를 잃고 원래의 물질이 된다는 것을 의미했어요. 17세기 프랑스 화학자 라부아지에가 광석과 같은 산화금속을 태우면 광석이 산소 기체를 내보낸 뒤 깨끗한 금속이 된다는 걸 ... ...
- 10대 '저녁형 인간'이 30대 '아침형 인간' 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뇌 신경세포에서 이후 ‘생체시계 유전자’로 불리게 될 ‘피리어드(PER〮period)’를 처음 찾아냈다. 이후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에서 피리어드 유전자와 닮은 생체시계 유전자의 존재가 여럿 확인됐다.그런데 최근 이런 생체시계 유전자가 우울증이나 조현병 등 각종 정신질환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 ...
- [탄생 150주년] 나만의 주기율표 만들기, 지금까지 이런 주기율표는 없었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진행한 강선화 매화고 화학교사는 “주기율표를 알면 화학을 쉽게 이해할 수 있지만, 처음부터 원소 수십 개를 주기성에 맞춰 외우라고 하면 학생들이 쉽게 흥미를 잃어버린다”며 “체험 활동을 통해 먼저 주기율표와 친해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강 교사는 “주기율표와 친해지려면 먼저 ... ...
- [로보트 재권V] 앉았다 일어났다, 되나요? 4족 대신 2족 보행 선택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힘이 필요한 동작이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많은 로봇공학자들이 로봇을 만든 뒤 처음 동작 시험을 할 때 앉았다 일어나는 동작을 반복하게 합니다. 로보트 재권V는 초등학교 3학년 정도인 키 130cm 로봇인 만큼 다리 길이는 그 절반보다 약간 긴 70cm 정도면 되겠네요. 그리고 허벅지의 길이는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김치와 태권도를 사랑한 개럿 레이즈먼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개럿은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처음으로 임무를 수행한 유대인 우주인이자, 처음으로 한국 우주식품을 먹은 우주인이라는 기록을 가지고 있다. 흔히 한국 우주식품을 우주에서 가장 먼저 먹은 사람은 한국 우주인이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그와 나는 답을 그렇게 평범하게 만들고 싶지 않았다 ... ...
- [중국유학일기] 中대학의 MT, 반 모임에서 '베프' 만들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목적 자체가 샤오카오를 구울 사람을 정하기 위함이었는데, 고등학교 졸업 이후 처음으로 운동회 분위기를 만끽했다. 동시에 양국의 문화 차이도 느낄 수 있었다. 한국 대학생들은 친목을 다지기 위해 술을 마시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중국 대학생들은 모임에서뿐만 아니라 평소에도 술을 잘 ... ...
이전2112122132142152162172182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