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너무 빨리 움직이는 자북, 이러다 혹시 지자기 역전?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바뀌는 게 지자기 역전”이라고 설명했다. 1600년대 영국 런던에서 지구 자기장 관측을 처음 시작한 이후로 지금까지 매년 0.05%씩 지구 자기장의 강도가 줄어들고 있다. 도 교수는 “외핵의 변화가 누적돼 자기장의 세기에 영향을 미치면 지자기 역전이 일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자기장이 ... ...
- [이달의 책] 주변을 둘러봐 과학은 어디에나 있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이 촘촘하게 상호 작용한 결과물에 지나지 않는다고 말한다. 이 책은 1985년 미국에서 처음 발간된 이후 전 세계 뇌과학, 인공지능 분야 학자들의 필독서로 알려진 ‘The Society of Mind’의 최초 한국어 완역본이다. 인공지능은 물론 인지과학, 심리철학 분야에도 강력한 영향을 끼친 저자의 통찰이 ... ...
- 통계로 보는 방탄소년단의 피 땀 눈물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진짜 자신을 마주하고 사랑하자는 화해와 통합의 메시지를 담았다. 2. 셀프 메이킹BTS는 처음부터 직접 음악을 만드는 훈련을 해서 멤버 모두가 작사, 작곡에 참여하고 있다. 자신들이 실제로 겪은 고민을 담았기에 진정성을 느낄 수 있고 BTS만의 색깔을 만드는 길로 이어졌다.3. SNS 소통 BTS는 SNS로 ... ...
- [2019 태국탐사대 특명] 숨겨진 보물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9년 03호
- 것이다. 대원들 역시 그 옆에서 한동안 멈춰 코끼리들의 모습을 가만히 관찰했다. 처음에는 “훨씬 가까이 있을 줄 알았는데….”라며 아쉬움을 드러냈던 대원도 마지막에 “더 가까이 가면 동물들이 스트레스 받아서 안 좋겠네요!”라고 먼저 말했다. 한국에서 쉽게 얻을 수 없는 경험을 통해 ... ...
- [본격 게임 채널] 클래시 오브 클랜, 피타고라스 정리로 마법 잘 쓰기수학동아 l2019년 03호
- 핀란드 회사고, 충치를 예방하는 성분이자 껌 브랜드로 유명한 ‘자일리톨’을 처음 생산한 곳이 핀란드였거든요.노키아가 휴대폰 사업을 포기하고 자일리톨 껌이 흔해지면서 핀란드는 기억 속에서 점점 잊히는 듯 했습니다. 그런데 2013년 12월 8일, 국내 모바일 게임 시장에서 핀란드를 다시 ... ...
- [수학미술관]설탕에 녹아든 달콤한 수학, 슈가플래닛수학동아 l2019년 03호
- 년 미국의 윌리엄 모리슨이라는 치과의사이자 발명가가 존 원톤이라는 과자 장인과 함께 처음 솜사탕을 고안했습니다. 치과의사가 어린이들의 이를 잘 썩게 만드는 솜사탕을 만들어 냈다니, 참 아이러니합니다. 그런데 솜사탕 기계에 설탕만 넣었을 뿐인데, 어떻게 설탕이 솜처럼 푹신푹신한 ... ...
- [과학뉴스] 유인 우주선 ‘스타십’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탈 수 있으며 2023년 달로 향할 계획이에요. 스타십 호퍼의 전체 형태를 보여준 건 이번이 처음이에요. 스타십 호퍼는 2023년 달로 떠날 최종 스타십과 같은 크기로 시험비행을 위해 제작돼 최종 우주선과는 차이가 있어요. 시제품인 이번 스타십 호퍼에는 3개의 엔진이 장착됐지만, 스타십에는 7개의 ... ...
- [과학뉴스]물고기도 ‘거울 테스트’ 통과했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넣고 수조 바깥에 거울을 둔 뒤 청줄청소놀래기의 행동을 관찰했다. 거울을 처음 본 날 10마리의 청줄청소놀래기 중 7마리가 거울에 비친 자신을 경쟁자로 간주해 입을 쪼는 등 공격적인 행동을 보였지만, 이 행동은 일주일이 지나자 사라졌다. 대신 거꾸로 수영을 하는 등 비정상적인 행동을 했다. ... ...
- '주노'가 보내온 목성 클로즈업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내부 구조를 상세히 들여다본 뒤 자기장과 중력장 등을 관측한다.주노는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목성에 가까이 간 탐사선이다. 1995년 주노의 선배인 탐사선 ‘갈릴레오’가 목성의 대기를 조사해 암모니아의 양을 측정한 적이 있지만, 내부의 가스층은 살피기 어려웠다. 목성이 내뿜는 강력한 방사성 ... ...
- [융복합@파트너@DGIST]정보통신융합전공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위해 10년 전 미국에서는 ‘사이버물리시스템(CPS·Cyber-Physical Systems)’이라는 분야가 처음 등장했다. DGIST는 2014년 국내 최초로 ‘고신뢰CPS연구센터’를 개설하고 외부의 악의적 공격이나 내부에 오류가 발생했을 때 빠르게 자율 복원할 수 있는 기술을 서울대, KAIST, 광주과학기술원(GIST) 등과 ... ...
이전2142152162172182192202212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