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상"(으)로 총 4,863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루게릭병, 누구도 자유로울 수 없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바라던 농구단 코치로 발탁되자마자 루게릭병 진단을 받은 박 씨의 안타까운 사연이 세상에 알려지면서 루게릭병이라는 희귀난치병에 대중의 관심이 집중됐다.9년 뒤인 올해 8월, 루게릭병이 다시 화제에 올랐다. 미국루게릭병협회(ALS)가 기부금을 모으려고 시작한 ‘아이스버킷 챌린지’ 캠페인이 ... ...
- [life & tech] 과학자와 예술가의 만남 2014 아티언스 오픈랩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다른 컨테이너에는 다시마와 바나나껍질이 놓여 있었다. 작가는 기술이 사라져버린 세상을 상상했다. ‘그때는 어떻게 영화를 보게 될까?’ 과학자의 도움이 필요했다. 다시마와 바나나껍질로 필름을 만들어 보기로 했다. 상상은 예술가의 몫이었지만 그걸 현실로 만들어낸 것은 과학자였다. ... ...
- [fun] 두꺼운 도감에 따뜻한 이야기를 불어넣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고르는 노하우가 뭔지 물었다. “반대로 생각해보죠.” 뜬금없이 전 팀장은 ‘나쁜 책이 세상에 있을까’ 되물었다.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에도 수많은 오류가 있지만 여전히 좋은 과학책으로 추앙받고 있지 않나요?” 좋은 과학책의 기준은 다분히 주관적이고 상대적이라는 말이다.쉽고 ... ...
- [인터뷰] 이진형 스탠퍼드대 생명공학과 교수 “처음 하는 일은 모두가 반대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더 이상 발전할 수 없다. 테두리를 부수고 경계를 허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개인적으로 세상에 천재는 없다고 생각한다. 소위 사람들이 천재라고 부르는 이들은 사실 ‘생각을 많이 하는 사람’일 뿐이다. 어떤 문제에 대해 생각을 많이 하는 사람은, 그것을 생각해 보지 않은 사람이 보기에는 ... ...
- [career] 나라 먹여 살릴 벤처 키운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세계 1위를 차지하는 등 대표적인 연구중심대학으로 떠올랐다. 하지만 기술을 사업화해 세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데는 다소 부족했다. 이에 2012년 동문 기업가들을 중심으로 후배들의 기술사업화와 벤처 창업을 돕는 조직을 설립했다. 바로 ‘포스텍 연계성장기업협의체(APGC)’다. 선배 ... ...
- [hot science] 충격! 화성에도 과학동아 독자가?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이들은 화성에 무엇인가 있고, NASA가 그걸 숨기고 있다고 생각합니다.정말 그렇다면 세상은 참 재미있었겠지만, 안타깝게도 이들이 근거로 내세우는 사진을 보면 고개를 갸웃거리게 됩니다. 생기긴 정말 그렇게 생겼습니다. 어떤 돌은 토끼처럼 생겼고, 어떤 돌은 도마뱀처럼 생겼습니다. 정말 ... ...
- [knowledge] 우주는 무한대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소개했다. 하지만 보어의 반응은 냉담 그 자체였다. 양자역학을 거부하던 아인슈타인이 세상을 떠난 지 1년밖에 안된 시점이었다. 새로운 논쟁거리 자체가 보어에게는 진절머리 나는 일이었는지도 모른다. 아무튼 보어의 무시 때문이었을까, 에버렛은 졸업 후 학계를 떠나 군수산업회사에 취직해 ... ...
- INTRO. 신종헌터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쥐 한 마리가 살고 있다. 앙증맞게 튀어나온 긴 코가 유별나다 싶었는데, 알고 보니 세상에서 가장 작은 ‘코끼리 친척’이란다. 더 놀라운 것은 이 ‘신종’ 쥐가 발견된 게 올해 6월 말이라는 사실이다. 세 달 전만 해도 우리는 이 쥐가 있는지조차 몰랐다.우리는 지구에 사는 생물을 다 아는 것 ... ...
- PART 2. 광대뼈가 높을수록 진실한 사람이라고?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얼굴로 성격과 감정을 파 악할 수 있다면, 우리는 왜 살면서 무수히 많은 오해를 할까. 왜 세상에는 사기 사건이 많고, 엇갈린 사랑이 느 는 걸까. 관상가는 왜 늘 사기꾼 취급을 받을까. 역설적이지만, 얼굴을 인식하고 판단하는 능력이 생 각보다 정확하지 않기 때문이다. 주변에서 가장 정직해 ... ...
- [과학뉴스] 아침형만 대접받는 피곤한 세상!!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일부 지역에서 새로 실시되는 9시 등교를 놓고 논란이 한창이다. 이런 저런 주장이 많지만, 10대 학생들의 생활리듬이 소위 ‘아침형’에서 ‘저녁형’으로 바뀌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는 대체로 동의하는 것 같다. 또 어떤 점이 쟁점일까. 48쪽에서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자. ...
이전2092102112122132142152162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