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계
천하
천지
세태
사회
지구
인류
d라이브러리
"
세상
"(으)로 총 4,863건 검색되었습니다.
눈으로
세상
을 제패한 빛의 지배자 - 삼엽충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두번째 그림). 대신 수정체 하나가 아주 큰 볼록렌즈처럼 생겼는데, 이런 볼록렌즈로
세상
을 보려면 방해석의 복굴절 이외에도 또 하나의 숙제를 해결해야 한다. 렌즈를 볼록하고 둥글게 깎으면(볼록렌즈) 빛이 모인다. 하지만 이 빛이 정확하게 한 점에서 만나지는 않는다. ‘구면수차’라는 현상 ... ...
[생활] Google 검색의 비밀은?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알고리즘의 원리로, 웹페이지의 관계를 행렬로 나타낸 뒤 연산을 해서 구한다. 구글의
세상
담기 프로젝트!구글의 목표는 전세계의 모든 정보를 관리하고 그것을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실현하기 위해 현재 구글 도서관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즉 모든 도서를 디지털로 ... ...
❶ 행성의 타원궤도 - 뉴턴 미적분, 죽은 케플러를 춤추게 하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핼리가 사비를 털어 도운 덕분에 뉴턴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유율법(기하학적 미분법)이
세상
에 알려질 수 있었습니다. 유율법은 오늘날의 미분법과 형태는 조금 다르지만 원리는 같습니다.타원궤도를 작은 삼각형으로 쪼개다먼저 그는 태양이 잡아당기는 힘이 지구의 운동 방향을 결정한다고 ... ...
초파리도 실연당하면 술을 마신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침몰 직전에 있던 나를 구해 줬다.” 그렇게 행동유전학 연구가 시작됐다. 요즘
세상
에 그 누구도 흉내 내지 못할 스승과 제자의 과학에 대한 진지한 사랑이다.연구는 200번 안에 승부를 내라벤저 교수는 행동과 정신을 유전자와 연결하고 싶어했다. 그에게 프로이드를 비롯한 심리학자들의 ... ...
아인슈타인 팬클럽 회장 ‘알 슈탄짱’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더 빨리 악당을 맞힐까?미션3 우주에 떨어진 뉴턴 사과“아인슈타인은 특수상대성을
세상
에 알린 지 10년이 지나서야 일반상대성 이론을 발표합니다. 다른 점은 일반상대성은 가속 상황에 해당하는 물리법칙이라는 것이지요. 여기서 빼놓을 수 없는 게 바로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이랍니다 ... ...
[시사] 우리가 작아진다면?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일어나기 어렵다. 하지만 그 모습을 상상해 보는 일은 흥미롭다. 평소와는 다른 시각으로
세상
을 새롭게 바라볼 수 있기 때문이다.작가 인터뷰작품을 상상하는 단계부터 실제 사진으로 구현하기까지의 모든 과정이 즐겁기만 하다는 디오라마 사진작가 데이비드 길리버씨. 그가 말하는 디오라마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산책 세계수(?)학자대회를 꿈꾸다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의외로 작아서 ‘좁은
세상
’을 이룬다는 이론이 복잡계 과학에서 주장되기도 한다.
세상
모든 사람들의 두 명 사이의 친분거리가 6 남짓이라는 추측도 있다.예를 들자면 나는 세계수학자대회 조직위원장인 박형주 교수와 오바마 대통령 사이의 친분거리가 4 이하라고 비교적 자신 있게 추측한다. ... ...
안절부절 당신, 스마트폰은 무죄!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전기 자극을 택했다”는 후기를 남겼다.연구를 주도한 티모시 윌슨 박사는 “사람들이
세상
과 단절되어 있는 것을 싫어하기 때문에 이러한 행동을 한다”고 밝혔다. 즉 분주한 현대사회나 스마트폰이 사람들을 가만있지 못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의 본성 자체가 아무 것도 하지 않는 것을 못 ... ...
수학에 희망을 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적도 있다. 그런 학생들에게 경문사는 수학에 희망을 갖게 해준 출판사다.수학 책으로
세상
과 소통하는 경문사1979년 설립된 경문사의 목표는 오직 수학이었다. 처음에는 대학교 전공서적을 펴냈는데, 이 때문인지 대학교에서 수학 과목을 들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이름을 봤을 출판사다. ... ...
Part 2. 별별 필즈상 이야기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수학에서 위대한 업적을 남길 거라고 기대하지 않았다.이런 스메일이 보기 좋게
세상
의 예측을 뒤엎은 것은 박사학위를 받고 나서 4년도 더 지난 뒤의 일이다. 당시 내로라하는 천재 수학자들이 매달렸던 난제인 ‘푸앵카레 추측’을 5차원 이상에서 완벽히 해결하는 논문을 발표한 것이다. ... ...
이전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