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식간
찰나
삽시간
일순간
한순간
신속
즉각
d라이브러리
"
순간
"(으)로 총 4,46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숨겨진 다중우주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지금도 무한한 다중우주를 낳고 있다. 나(정확히는 나를 구성하는 입자들) 역시 매
순간
우주를 가르고 있다.아이디어 양자역학 속 ‘해석’의 문제양자역학에서 가장 기묘한 성질은 양자역학의 심장에 숨어 있다. 바로 양자역학을 수학적으로 기술한 ‘슈뢰딩거 방정식’이 때때로 작동하지 ... ...
방정식, 틀을 깨고 나와 봐!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상자와 같죠. 믿기 어렵다고요? 그럼 재밌는 문제부터 만나 볼까요? 어때요? 문제를 보는
순간
, 예쁜이의 비밀번호가 궁금하지 않나요? 이런 실생활 문제는 수학 공부의 흥미와 재미를 더해 줍니다. 이처럼 방정식 단원에서는 생활 곳곳에 숨겨진 다양한 문제를 만날 수 있답니다.그런데 주의해야 할 ... ...
길을 잃었을 땐 ‘똥춤’ 춰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사실도 알아냈죠. 연구팀은 이 실험으로 제가 춤을 추면서 주변환경과 태양의 위치를
순간
적으로 기억해 진행 방향을 결정한다는 사실을 알아내더군요.어떻게 춤으로 집을 잘 찾아갈 수 있는 거지?저는 춤을 추는 짧은 시간에 사진을 찍듯이 주변 환경을 기억해요. 그런 다음 이 기억을 토대로 ... ...
순간
포착! 동물생애 최고의
순간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사진이 가득한 ‘동아사이언스 포토’의 작가님들이 찍은 사진이에요. 지금부터 최고의
순간
들을 생생한 사진으로 만나 볼까요? 얘들아~, 같이 놀자귀상어가 심심한지 함께 놀자며 정어리 떼를 졸졸 따라 다니고 있어요. 하지만 새침한 정어리들은 뒤도 돌아보지 않고 가네요. 귀상어는 머리 ... ...
DNA오리가미로 나노로봇 만든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나누거나 때로는 TV를 보면서도 끊임없이 손을 놀린다. 실타래가 점점 작아지면서 어느
순간
컵받침이 만들어지기도 하고 조끼가 나오기도 한다.뜨개질실은 부피가 있지만 수학적으로 단순화해 선이라고 생각하면 1차원이다. 마찬가지로 컵받침은 2차원이고 조끼는 3차원이다. 즉 뜨개질은 1차원의 ... ...
해상 풍력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전기가 들어오고 있다는 신호가 잡혔다. 세계 최초의 상업용 해상풍력 단지가 태어난
순간
이었다.20년이 흘렀다. 이제는 해상풍력이 ‘대세(大勢)’라고 한다. 처음 세워진 해상풍력 발전기 1대가 하루에 생산할 수 있는 전기는 최대 450KW(킬로와트, 1KW는 1000W). 지금은 하루에 3MW(메가와트, 1MW는 100만W ... ...
실패를 새로운 아이디어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나노기술은 어느 한 전공이 독점할 수 있는 분야가 아니라 여러 학문의 융합이 필요한 완전히 새로운 연구분야다. 새 술은 새 부대에 담으라는 말처럼 새로운 기술을 개 ... 데 필요한 체계적 사고와 기초지식은 지금도 큰 도움이 된다. 대학원 시절이 소중한
순간
이었다는 생각을 해본다 ... ...
4화 위기일발! 폴의 추락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어이 없어 하고 있을 때 종이에 뭔가 서서히 나타나기 시작했다. 글씨였다!“혹시 위기의
순간
인가요?”아무 것도 써 있지 않던 빈 종이에서 글이 나오다니! 폴의 눈이 휘둥그레졌다.“마법의 종이인가 봐!”“이 가위로 나를 10조각 내세요. 그럼 분명 도움이 될 거예요.”글을 보고 폴이 다급하게 ... ...
나노 블록으로 미래 에너지 업그레이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감광막을 주형으로 삼아 나노 구조를 자유자재로 쌓아올릴 수 있는 신기술을 발견한
순간
이었다. “그래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포기하지 않는 ‘끈기’입니다.”최 교수는 ‘공학자를 꿈꾸는 학생들에게 가장 필요한 덕목’으로 끈기를 꼽았다. 실험을 하다보면 자주 실패하는데 끈기가 없으면 ... ...
공간을 지배하는 자, 자기장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흐르는 전선이 따뜻해지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한 실험이었다. 그런데 스위치를 누르는
순간
, 전선의 주위에 있던 나침반 바늘이 북쪽을 가리키지 않는 것을 알아차렸다. 볼타전지의 양극과 음극 기둥 양 끝을 잇는 철사에 강한 전류를 흘려보냈다. 그랬더니 북쪽에서 남쪽을 향하는 철사 옆에 나란히 ... ...
이전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