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결방안
해결책
솔루션
d라이브러리
"
해결방법
"(으)로 총 4,088건 검색되었습니다.
‘단백질구조예측대회’ 2연패한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구조를 알면 기능을 추측할 수 있다! X선 결정법으로 DNA나 단백질 같은 생체분자의 구조가 밝혀지면서 생명과학은 눈부시게 발전했다. 최근에는 컴퓨터의 놀라운 계산력을 이용해 시뮬레이션으로 생체분자의 구조를 예측하는 연구가 한창이다. 이 분야의 대가인 고등과학원 이주영 교수를 만났다.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과학영재학교와 과학고 입시에서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의 비중이 커지고 문제 유형 또한 바뀌고 있다. 출제가능성이 높은 예상문제를 풀어봄으로써 실전감각을 길러두자. 과학 1. 다음 글은 우리나라 전통 음료인 식혜를 만드는 과정이다. 물음에 답하라. A. 식혜를 만드는 중요한 재료는 밥과 엿 ... ...
당신을 ‘LCD의 아버지’로 임명합니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미국물리학회에서 발간하는 월간지 ‘피직스 투데이’ 1982년 5월호. 그 잡지 한 권이 그의 삶을 통째로 바꿔 놓을 줄 누가 알았을까. 당시 그는 서울대 물리학과 대학원에서 고체물리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유학을 떠나 재미있고 흥미로운 연구를 해야겠다고 맘먹은 참이었다.우연히 들쳐본 잡 ... ...
방귀대장 소돌이의 탄소마을 구출 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제 말 좀 들어 보세요. 저는 소돌이에요. 힘 세고 부지런한데다가 잘생기까지 해서 나름 십이지계의 꽃미남으로 불렸다구요. 그런데 제게 슬픈 일이 생겼어요. 소띠 해 설날을 앞두고 여자친구 쥐순이에게 사랑을 고백하기로 마음 먹었는데, 제대로 말도 못 꺼내 보고 차였거든요.“너는 방귀도 많 ... ...
유도다기능줄기세포, 광우병 논란 1위 선정돼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2008년 과학계에는 어떤 일이 있었을까. 세계적으로는 환자 자신의 피부세포를 이용해 줄기세포를 만드는 유도다기능줄기세포가 탄생했고, 우리나라에서는 미국산 쇠고기의 안전성 논란이 과학계를 뜨겁게 달궜다. 국내외 10대 과학뉴스로 지난해를 되돌아봤다.“세포 재프로그래밍 연구는 생물학 ... ...
X선 광전자 분광법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공부의 주체는 학생이며 스스로 질문하고 답변할 때 진정한 공부가 이뤄진다고 믿는다.학생들이 이런 능력을 갖출 때까지 끊임없이 자극하고 격려하는 사람이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실험의 역사는 16세기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실험은 자연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우리 ... ...
자동차 타고 떠나는 물리 여행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얼마 전 TV 뉴스에서 재밌는 장면을 봤다. 미국 자동차업계 ‘빅3’의 회장들이 디트로이트에서 워싱턴까지 845km라는 먼 거리를 전용기를 타지 않고 하이브리드나 전기자동차를 타고 와서 내리는 장면이었다. ‘빅3’를 살릴 구제자금을 요청하는 마당에 상·하원 청문회 의원들에게 조금이라도 성 ... ...
펨토초 레이저로 시시각각 변하는 단백질 찍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우리 주변 특이한 분자의 삶을 소개하는 ‘순간포착! 분자 세상에 이런 일이’ 팀에 한 과학자의 제보가 들어왔다. 뇌에 아밀로이드라고 하는 단백질이 사는데, 시시각각 모양을 바꾸는 ‘변신의 달인’이라는 것. 제보자는 대뇌의 죽은 신경세포 근처에 가면 이 단백질을 만날 수 있다고 귀띔해줬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과학영재학교와 과학고 입시에서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의 비중이 커지고 문제 유형 또한 바뀌고 있다. 출제가능성이 높은 예상문제를 풀어보면서 실전감각을 길러두자. 미래탐구(www.mirae-academy.co.kr)는 영역별 강사진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수능과 논구술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특화된 TFT를 ... ...
유전자에서 찾는 21세기판 진화법칙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찰스 다윈이 지금 ‘종의 기원’을 다시 쓴다면 어떤 내용으로 채워질까.그가 유전자라는 개념을 알았더라면 ‘종의 기원’ 내용은 달라졌을까.‘진화발생생물학’ 또는 간단히 ‘이보디보’로 불리는 ‘21세기판 종의 기원’을 들여다보자.나의 사랑하는 부인 엠마에게.오늘은 오랜만에 미국에 ... ...
이전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