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뉴스
"
일자
"(으)로 총 4,923건 검색되었습니다.
스스로 광합성하는 인공세포 개발
과학동아
l
2018.07.19
중 가장 진화한 형태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 5월 28
일자
에 실렸다. 빛을 사용해 스스로 에너지를 생산하는 인공세포 - Nature biotechnology 연구팀은 시금치의 광합성 단백질과, 박테리아의 광전환 단백질을 추출해 생체에너지(ATP)를 생산할 수 있는 인공 ... ...
사소한 차이까지 포착하는 암 진단 센서
과학동아
l
2018.07.18
수 있는 고감도 센서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바이오센서 앤 바이오일렉트로닉스’ 5월 1
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마이크로RNA(miRNA)는 인간 세포에 2600개 이상 존재하며, 22개의 염기서열로 이뤄진 매우 작은 RNA다. 유전정보를 갖고 있지는 않지만, 암세포의 성장을 막아주는 이로운 단백질의 생성을 ... ...
강철보다 강한 거미줄의 비밀 풀렸다
과학동아
l
2018.07.17
거미줄은 방탄복의 소재인 케블라 섬유에 비견될 만큼 뛰어난 강도와 탄성을 자랑한다. 핵심 비결은 거미줄을 구성하는 단백질의 ‘베타시트(β-Sheet)’ ... 전 용액 상태를 관찰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5월 29
일자
에 실렸다. doi:10.1038/s41467-018-04570- ... ...
고에너지 ‘중성미자’ 발원지 알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7.16
블레이자(blazar) ‘TXS 0506+056’에서 비롯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3
일자
에 밝혔다. 블레이자는 중심에 매우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무거운 블랙홀이 있는 거대 타원형 은하다. 질량이 작고 다른 입자와의 상호작용이 적어 ‘유령 입자’로도 불리는 중성미자는 우주를 ... ...
‘기후의 조정자’ 극지가 기후변화 가속하는 화약고가 되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7.12
급속히 변모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과학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11
일자
에 따르면, 정수종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와 미국항공우주국(NASA), 스위스 취리히대 등 공동연구팀은 미국 알래스카 지역의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 데이터 42년치를 수집했다. 그 뒤 토양 및 ... ...
면역세포가 도리어 암 전이 촉진하는 과정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8.07.11
면역세포는 외부 침입자를 공격해 우리 몸을 보호한다. 하지만 암에 걸리면 면역세포도 도리어 암 전이를 촉진한다. 우리 몸을 지켜야 할 면역세포가 암 전이를 돕는 과정이 밝혀졌다. 암 ... 지원으로 수행되었다. 국제학술지 임상 암 연구(Clinical Cancer Research) 6월 29
일자
에 게재됐다 ... ...
케이블로 지진 포착한다
과학동아
l
2018.07.11
매설된 광케이블을 이용해 지진을 발견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 6월 14
일자
에 발표했다. 지진이 발생하면 즉각적으로 지진파를 측정해 위치와 규모 등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진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진의 특성과 지구 내부의 상태를 연구하는 데 ... ...
이유식 일찍 시작한 아기, 밤잠 잘 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7.10
것으로 나타났다. 의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미국의학회지(JAMA) 소아과학’ 9
일자
에 따르면 기디언 랙 영국 킹스칼리지런던대 의대 교수팀이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영국에서 태어난 생후 3개월 된 아기 1303명을 대상으로 대규모 임상시험을 실시한 결과 이같이 분석됐다. 현재 소아과학계는 ... ...
다이아몬드 속에 ‘양자컴퓨터의 미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7.09
등 입자를 넣어 양자계산 및 메모리에 활용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6
일자
에 발표됐다. 다이아몬드는 높은 온도와 압력에서 탄소가 규칙적인 3차원 구조를 이룰 때 탄생한다. 결점이 없어 보이지만, 사실 내부에 질소 등 불순물이 간혹 끼어들면서 원자 크기의 보이지 않은 작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우울증 약물 조절에 중요한 뇌 수용체 부위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7.08
가바 수용체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α1β2γ2 가바A’의 구조를 밝혀 네이처 5
일자
에 발표했다. 가바는 신경 활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뇌에서 일어나는 신속한 억제성 신경전달은 기본적으로 가바와 A형 가바 수용체(가바A)에 의해 조절된다. 특히 가바 수용체들은 중추신경계가 관장하는 ... ...
이전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