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위상학적으로 변하지 않는다. 박권 고등과학원 물리학부 교수는 오렌지와 도넛을 예로 들었다. 오렌지와 도넛을 위상학적으로 동일하게 만들려면 오렌지에 구멍을 하나 뚫어야 하는데, 이런 일은 일어나기 힘들기 때문에 두 물체의 위상학적 성질은 바뀌기 힘들다. 박 교수는 “마요라나 ... ...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고정해 사용해왔으나, 앞으로는 볼츠만 상수 값을 1.3806X×10-23JK-1으로 고정해 정의할 예정이다. 에너지와 온도의 비례상수인 볼츠만 상수를 고정함으로써, 아주 낮은 온도나 높은 온도에서 온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길이 열린 셈이다. 이런 변화는 1983년 빛의 속도 값을 고정해 미터의 정의를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세계여행 가장 싸게 하는 이동 경로는? 외판원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줄일 수 있을까?두 도시를 여행할 때 이동방향에 따라 비용이 다르게 든다면 어떨까요? 예를 들어 서울에서 뉴욕으로 가는 비행시간과 뉴욕에서 서울로 오는 비행 시간은 몇 시간씩 차이가 납니다. 자전거를 탈때도 오르막을 가면 느리지만, 반대로 내리막을 가면 빠르지요. 이 경우엔 크리스토피드 ... ...
- Part 1. 北 핵실험, 백두산 분화 가능성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교수는 “화산 분화 예측은 언제 어디서 일어날지 모르는 지진 예측 보다는 쉽지만, 날씨 예측보다는 어렵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北 핵실험으로 요동치는 백두산Part 1. 北 핵실험, 백두산 분화 가능성은?Part 2. 오락가락 北 핵실험 규모, 왜 ... ...
- Part 3. 원더우먼 굴복의 팔찌, 천의 얼굴 플라스마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아니다. 좁은 공간에 감금된 플라스마는 주변으로 확산하려는 성질을 띠기 때문이다. 한 예로 핵융합 연구 분야에서는 플라스마 감금이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다. 핵융합, 즉 원자핵 두 개를 충돌시켜 새로운 원자핵을 만드는 반응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섭씨 1억 도가 넘는 초고온의 플라스마를 ... ...
- [공룡은 왜?] 공룡이 돌을 먹는다고? 용각류 위석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있어 과학자들의 흥미로운 연구대상이랍니다.# 공룡 위석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예요. 그래서 일부에서는 위석의 개수가 먹는 음식물 양에 비해 너무 적다는 이유로 위석이 소화와 관련 없다고 주장하기도 하지요. 과연 위석은 어떤 역할을 했을까요? 앞으로 밝혀질 새로운 연구 결과를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있는데, 이것이 세포분열 과정에서 희석돼 유전자 발현이 시작된다는 가설입니다. 예를 들어 수정란에 억제 단백질 8개가 DNA를 꽁꽁 묶고 있다고 생각해 봅시다. 세포분열 이후 수정란이 8세포기로 접어들면 세포 각각에 있는 억제 단백질은 1개로 급격히 줄어듭니다. 한편 세포분열 횟수와 관계없이 ... ...
- [Culture] 알골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세 사람의 힘이 모여서 어떻게 하나의 엔진처럼 작동하는지를 설명하려고 든 거예요. 피스톤, 크랭크, 실린더, 아니면 사법부, 행정부, 입법부, 뭐라고 불러도 상관없습니다. 세 사람의 의견이 같으면 굉장히 강력한 힘을 낼 수 있습니다. 한 사람의 힘과는 비교도 안 되는. 이때 서로 역할은 다르죠. ... ...
- 위상수학자가 도넛을 사랑하는 이유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있다, 없다’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양면이 없는 곡면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진 예가 뫼비우스의 띠입니다. 기다란 직사각형 띠의 한 쪽을 반 바퀴 꼰 다음 양끝을 붙인 뫼비우스의 띠 위에서는 어느 점에서 출발하든 걸어서 다른 어떤 점으로 갈 수 있습니다. 반면, 반 바퀴를 꼬지 않고 띠의 양끝을 ... ...
- Part 3. 넘어지면 단단해지는 기하학 구조수학동아 l2017년 11호
- 기반으로 위험 상태를 예측해 사고를 당하기 전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할 계획이에요. 예를 들어 넘어질 때 다리의 일부분을 딱딱하게 만들어 지탱하도록 하거나, 설사 넘어지더라도 몸이 땅에 닿는 부위를 딱딱하게 만들어 다치지 않게 하는 것이지요. 그러려면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변하는 ... ...
이전2102112122132142152162172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