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위상수학자가 도넛을 사랑하는 이유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있다, 없다’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양면이 없는 곡면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진 예가 뫼비우스의 띠입니다. 기다란 직사각형 띠의 한 쪽을 반 바퀴 꼰 다음 양끝을 붙인 뫼비우스의 띠 위에서는 어느 점에서 출발하든 걸어서 다른 어떤 점으로 갈 수 있습니다. 반면, 반 바퀴를 꼬지 않고 띠의 양끝을 ... ...
- Part 4. 거대로봇, 기하학으로 일어서다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너무 무거우면 움직이기가 힘들고, 몸통이 너무 무거우면 걷기는커녕 서 있지도 못할 거예요. 그래서 재료의 단단함은 유지하면서 가벼운 기하학적 구조인 ‘트러스’를 이용해 로봇을 설계했어요. 트러스 구조는 삼각형 모양을 이어 붙여 만들어요. 다리나 건축물 등에 널리 쓰이는 구조로 쓰는 ... ...
- [Origin] 쇼미더맛 제6의 맛 쟁탈전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한국 음식에는 된장이나 조선간장, 새우젓, 미역국 등에 코쿠미가 많다”면서 “예를 들어 조선간장을 만드는 동안에는 누룩곰팡이의 효소가 단백질을 다양한 펩티드로 분해해 코쿠미맛을 낸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코쿠미를 제6의 맛으로 인정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토도프 박사와 의견을 같이 ... ...
- [Origin] 어떻게 유전자가 ‘이기적’일까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어쨌든 그 실체가 자기 잇속만 챙기려는 의도를 정말로 가진다는 뜻은 결코 아니다. 예를 들어 보자. 인류의 진화에서 추우면 덜덜 떨어 열을 냄으로써 체온을 유지했던 사람들이, 아무리 추워도 가만히 있어 동사(凍死)한 사람들보다 더 많은 후손을 남길 수 있었다(선택이 작용하는 단위가 ... ...
- Part 4. ‘줄어든’실수 손님은 묵을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모든 실수는 이진법을 써서 소수점 아래 모든 자리의 수가 0 또는 1인 수로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0.5는 이진수로 0.1이다. 0.75는 이진수로 0.11이고, 1은 0.1 ˙이다. 소수점 아래 모든 자리의 수가 0 또는 1인 수는 모두 몇 개인지는 쉽게 찾을 수 있다. 각 자리가 항상 0 또는 1이기 때문에 개수는 2의 ... ...
- [과학뉴스] ‘카시니’의 마지막 비행 음악으로 탄생하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주요 위성들은 서로의 중력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공진 주기에도 수학적 연관성이 있다. 예를 들어, 위성 중 하나인 ‘미마스’가 토성 주위를 2바퀴 돌 때마다 ‘테티스’는 1바퀴를 돈다. 마찬가지로 ‘엔셀라두스’가 2바퀴를 돌 때 ‘디오네’는 1바퀴를 돈다. 연구팀은 “이런 관계 덕분에 ... ...
- [Origin] 남자 청소년 열에 아홉은 근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책을 읽더라도 야외에서 읽는 경우 근시 유병률이 더 낮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한 예로 밍구앙 헤 호주시력센터 교수팀은 2010년 10월부터 3년 동안 중국 광저우에 있는 초등학교 12곳에서 1학년 어린이 1900여 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연구팀은 6개 학교에서는 하루 40분씩 야외수업을 했고, ... ...
- Part 2. “소변에서 일부 화학물질 농도 2~3배 증가”과학동아 l2017년 10호
- 6배 높아 연구팀이 검출한 화학물질의 농도는 모두 기준치 미만인 것으로 조사됐다. 예를 들어, 페녹시에탄올의 경우 식약처는 ‘화장품 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서 1%(10g/kg) 미만으로 사용해야 한다고 정하고 있는데, 페녹시에탄올이 검출된 2개 제품의 농도는 각각 0.014%(0.14g/kg), 0.199%(1.99g/kg)로 ... ...
- Part 2. 오빠에게서 방을 사수하라!수학동아 l2017년 10호
- 항상 1개 이상이야. 슈페르너의 보조 정리는 모든 단체가 이런 성질을 갖는다는 거야. 예를 들어 꼭짓점의 색깔이 빨강, 파랑, 노랑인 큰 삼각형을 여러 작은 삼각형으로 쪼갠 뒤 작은 삼각형의 꼭짓점을 색칠한다고 하자. 이때 큰 삼각형의 세 변 위에 있는 점은 변의 양 끝점 중 하나와 같은 ...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전략적으로 먹어라! 달콤한 게임, 촘프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이 집합에서는 좌표의 가로와 세로가 모두 크거나 같은 좌표를 ‘크다’고 할 거예요. 따라서 (2, 2)는 (2, 1)보다 크지만 (3, 1)과는 크기를 비교할 수 없으니 이 집합은 부분순서집합입니다. 이제 초콜릿 조각을 선택하는 대신 좌표를 선택하고, 초콜릿을 먹는 대신 좌표보다 ‘큰’ 좌표를 모두 지워 ... ...
이전2122132142152162172182192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