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카멜레온 같은 감성금속으로 말할 것 같으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시각, 촉각, 청각, 후각, 미각 등 오감 특성을 수치로 정량화하는 작업을 먼저 진행한다. 예를 들어 색상별로 따뜻하게 느끼는 정도나 사람의 손 힘으로 만졌을 때 소재가 휘어지거나 늘어나는 정도를 0~100%로 측정하는 식이다. 일정한 높이에서 떨어뜨렸을 때 사람의 청각으로 소리가 얼마나 맑게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나온다는 사실은 알고 있을 텐데요. 발달에 꼭 필요하지만 태아 밖에 있는 조직, 예를 들어 태아와 모체를 이어주는 태반과 양수가 들어갈 양막 등도 역시 수정란이 만듭니다. 이렇게 태아의 조직뿐만 아니라 태아 밖의 조직까지 만들어 낼 수 있는 발달 잠재력을 전능성이라고 합니다. 수정란을 ... ...
- [Career] 63빌딩보다 큰 선박, 어떻게 설계할까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현재 노 교수는 설계 자동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잠수함의 경우 무기고의 위치, 자세 제어 등 잠수함 설계에서 고려해야할 사항과 정보를 집적한 데이터베이스를 만드는 것이다. 노 교수는 “설계자의 지식을 문서화 하는 작업”이라고 말했다. 최단 ... ...
- Part 2. 위상수학에서 찾은 우주의 모양수학동아 l2017년 09호
- 같다고 본다. 위상수학자의 가장 근본적인 질문은 ‘공간을 어떻게 분류할 것인가?’다. 예를 들어 2차원 공간은 평면과 구면, 쌍곡면 총 3가지로 나뉜다. 여기서 구면이란 구의 표면이다. ‘구’라는 단어가 들어가니 당연히 3차원이라고 착각하기 쉽다. 하지만 구면 위에 있는 개미는 자신이 있는 ...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페그 솔리테어의 필승 전략 클라인 4원군!수학동아 l2017년 09호
- 페그를 최소로 움직여서 승리하는 전략은 (-3, 1)과 (-1, -3), (3, 1)를 비웠을 때와 같을 거예요. 보드판을 가로축 혹은 세로축으로 접었을 때 같은 위치에 놓이니까요. 이처럼 보드판을 회전했을 때 또는 대칭시켰을 때 같은 것을 제외하면 노란색으로 표시한 (0, 1)과 (0, 2), (0, 3), (-1, 1), (-1, 2), ( ...
- Part 2. 미생물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화학물질이 나왔다. 연구팀은 6개의 휴대전화를 선정해 소유자의 생활 방식을 추정했다. 예를 들어 1번 참가자의 휴대전화에서는 ①루틴 ②플라본 글리코시드 ③아노벤존 ④옥시벤존 ⑤디에틸톨루아미드 ⑥아니스산 ⑦덱스판테놀 등이 검출됐다. 연구팀은 1번 참가자가 천연 화장품(식물 유래 ... ...
- Part 2. 소방서와 경찰서를 지어라!수학동아 l2017년 08호
- 그러려면 소방서는 네 꼭짓점까지의 거리가 서로 같은 점에 있어야겠죠. 마찬가지로 예각삼각형에서도 세 꼭짓점으로부터 거리가 같은 점이 측지중심입니다.식으로 소방서를 조금씩 옮기다 가장 먼 측지거리가 최소가 되는 지점이 측지중심입니다.이처럼 특이한 지형에서 측지중심을 찾는 건 ... ...
- Part 2. 유전자 조각 맞추기 퍼즐수학동아 l2017년 08호
- 한 명이 아닌 여러 명의 것을 합성해 재구성합니다.모든 염색체가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혈액형은 염색체 A, B, O형의 염기서열이 각각 필요한 게 아닙니다. 정확한 O형의 염기서열 하나만 제시하면, 이것으로 다른 사람이 A형인지 B형인지를 비교해 판단할 수 있습니다. 물론 매우 적은 ... ...
- [Issue] 수능 100일 전 뇌과학자가 들려주는 공부 비법 10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청각), 손을 잡는 등 스킨십을 통해(촉각) 상대방의 기분이나 감정 상태를 파악해 보는 거예요. 요리도 훌륭한 오감 훈련이 됩니다. 그림 그리기도 좋습니다. 일반적인 그림그리기는 물론 거울에 비친 그림 따라 그리기, 그림 거꾸로 놓고 그리기, 도형 접기, 다양한 도형으로 그림 만들기 등은 우뇌가 ... ...
- [Origin] 유전자, 게임을 하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깔린 가정들을 일일이 밝혀냄으로써, 몇몇 종에서는 한 쪽 성에 치우친 성비가 나타나는 예외적인 현상들도 매끄럽게 설명할 수 있게됐다. 그의 연구 성과는 1967년 학술지 ‘사이언스’에 ‘특이한 성비’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게재됐다. 해밀턴은 이 논문을 자신이 쓴 모든 논문 가운데 으뜸으로 ... ...
이전21521621721821922022122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