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9"(으)로 총 8,429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인기 웹툰, 과학기자가 쓴다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교정해 기능을 높여야죠. 요즘 생명공학 분야에서 가장 ‘핫’한 ‘크리스퍼(CRISPR-Cas9)’ 유전자가위를 이용해 특정 유전자의 기능을 강화할 수도 있을 겁니다. 예를 들어 한빙지옥 다음으로 지날 네 번째 지옥이 검수(劍樹)지옥인데, 칼로 이뤄진 숲에서도 베지 않는 손과 발을 만들 수 있습니다. ... ...
- 20년의 노력, 문화재를 살리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그래서 ‘복원’이 아닌 ‘보수정비’를 해야 했다. 동탑은 발견된 부재★를 조사해 9층이라고 추정할 수 있었지만, 미륵사지 석탑은 기록이 전혀 남아있지 않아 확실히 알 수 없었다. 김 연구사는 “문화재의 원형이 확실하게 고증되지 않았을 때 완전한 형태로 복원하면 오히려 역사적인 가치를 ... ...
- [과학뉴스] 아버지가 우울하면 10대 자식도 우울과학동아 l2017년 12호
- 7768가구의 코호트 조사 결과를 분석해 이 같은 사실을 알아냈다. 각각의 코호트에서 9세, 7세 자녀를 둔 부모의 우울증 정도를 설문조사하고, 자녀가 13~14세로 성장한 뒤 아이들이 얼마나 우울증 증세를 나타내는지 조사했다. 그 결과, 우울증 정도가 상위 15.8% 안에 드는 아버지의 청소년 자녀들이 ... ...
- [시사기획] 北 생화학 무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네팔 평화유지군이 강 근처에 버린 폐기물로 인해 콜레라균이 퍼졌다는 것이다. 2009년 네팔에서 유행한 콜레라와 아이티에서 발견된 콜레라의 유전자가 일치했기 때문이다. 유엔은 이 사실을 인정하지 않다가 지난해 처음으로 “(아이티 콜레라 전염은) 유엔 평화유지군의 책임이 크다”고 밝혔다 ... ...
- Part 4. 지금은 ‘미소년’ 시대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연예인은 김태희, 전지현, 설현, 혜리 등 한국에서 활동하는 배우나 가수 등 여성연예인 39명을 대상으로 했다. 조사 결과 얼굴이 작고, 턱은 U자나 V자 형이며, 커다란 눈과 좁은 코, 긴 입술, 깨끗한 피부 등의 특징이 호감을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박사는 본인이 개발한 뷰티 인공지능 프로그램 ... ...
- [Origin] ‘신의 저주’도 옛말, 에이즈 예방시대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올해 8월 발표한 ‘2016년 HIV/AIDS 신고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신규 신고는 1199명으로 2010년 837명에 비해 43.7% 증가했다. 이를 두고 ‘한국만 신규 감염인이 늘고 있다’는 논란이 분분하다. 그러나 통계를 조심스럽게 해석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HIV는 잠복기가 길어서 감염 시점과 진단 시점이 ... ...
- 다~ 드루와! 다트의 세계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점수를 얻을 수 있는지 시뮬레이션했어요. 그 결과 다트가 사방으로 퍼지는 사람은 19점 더블 영역을, 원 모양으로 퍼지는 사람은 8점 영역에서 정중앙에 가까운 싱글 영역을 향해 던져야 높은 점수를 얻을 수 있었어요. 결국 정확도가 낮은 사람이 높은 점수를 노리는 건 좋은 전략이 아니라는 사실! ... ...
- [긴급진단] 전국이 흔들, 가슴이 철렁, 포항 지진 5대 이슈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얕다. 경주 지진은 진원이 지표면에서 15km지점이었던 반면 포항 지진은 지표면에서 9km 아래였다. 지진파를 분석한 전문가들은 진원이 지하 5km 이내일 수 있다는 의견도 내놨다. 진원이 얕은 만큼 지진에너지가 더 빨리, 더 강하게 전달돼 피해를 키운 셈이다. 외곽에서 발생한 경주 지진과 달리 ... ...
- Part 3. 40년 전 실종자 찾는 3D몽타주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이용해 나이가 들면서 얼굴이 어떻게 변하는지 분석했다. 얼굴 모양과 생김새, 주름 등 9군데와 피부에서 3군데 특징을 조사해 취합했다. 이를 토대로 수학적 모델링을 통해 만 5세부터 한 살 단위로 80세까지 얼굴이 변화하는 모습을 데이터화했다. 나이변환 기술을 활용하면 장기 미제(未濟)사건의 ... ...
- [Issue] 고래사냥꾼 추적하는 ‘오션 워리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만큼 개체수가 많아 멸종위기 등급 최하 단계인 안정(least concern)에 속한다”고 말했다. 9단계 등급 가운데 전문가들이 개체 수에 대해 조사한 적이 없는 미평가(not evaluated)와, 자료가 부족해 정확히 결론을 내리기 어려운 자료부족(data deficient)을 제외하면 안정은 멸종 가능성이 가장 낮은 등급이다 ... ...
이전2102112122132142152162172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