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9"(으)로 총 8,42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2박3일간 연구단 전체를 만나보고 질의응답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IBS는 올해 9개 연구단에 동료평가 방식을 적용할 계획이다. 하지만 일반 연구기관이나 대학에서 100% 동료평가 방식을 도입하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평가에 투입되는 비용과 물리적인 시간의 제약이 크다. ...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개미 찾기 TIP 1: 사람 발길 적은 곳으로 떠나라스산한 바람이 불던 11월 10일 금요일 오전 9시, 서울 용산역에서 동 씨를 만났다. 초면이지만 한 눈에 그를 알아볼 수 있었다. 자기 몸집만큼 커다란 가방을 등에 매고 나타났기 때문이다. 인천국제공항에서 버스와 배를 이용해 30여분 더 이동해야 갈 수 ... ...
- [과학뉴스] 플라스틱이 물벼룩 생존 위협한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침투해 생식과 발달을 저해한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9월 21일자에 발표했다. 미세 플라스틱은 크기가 10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이하인 아주 작은 플라스틱 입자를 말한다. 합성섬유 조각과 타이어 마모 입자 등 일상 생활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빗물에 씻겨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힌트를 얻어 얼굴 사진에서 밝기가 변하는 지점을 찾아 가로세로 3개씩 특정한 값을 갖는 9개 픽셀(이미지의 단위)마다 ‘마스크’를 씌운 뒤 이 부분의 수치를 잰다. 픽셀 하나는 한 변이 3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인 정사각형이다. 명암 변화가 없는 곳을 0으로 놓으면 어두워지는 ... ...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알파고 ‘판(Fan)’, 2016년 3월 이세돌 9단을 4대 1로 이긴 알파고 ‘리(Lee)’, 올해 5월 커제 9단을 3대 0으로 이긴 알파고 ‘마스터(Master)’, 그리고 이번에 알파고 제로다. 구글 딥마인드 팀은 알파고 제로의 연구결과를 ‘네이처’에 발표하면서 공식 블로그를 통해 기존 알파고와 다른 알파고 제로의 ...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오웬스 NIH 내부 연구 프로그램 담당 부원장은 “요즘 가장 주목받는 ‘크리스퍼(CRISPR-Cas9) 유전자 가위’처럼 완전히 새롭고 혁신적인 연구 주제는 연구자의 과학적인 연구 능력과 잠재적 가능성을 평가한다”고 말했다. 특히 기초연구가 30% 정도를 차지하는 내부 연구 프로그램의 경우 평가에서 ... ...
- Part 1. 레고 덕후 수학자의 신기록 도전기수학동아 l2017년 12호
- 학생 10명이 레고 스타워즈 시리즈 중 하나인 슈퍼스타 디스트로이어를 9분 31초 만에 완성했어요. 블록 3152개를 8개 팀이 나눠 조립한 결과 세계신기록을 세운 거예요. 많은 사람이 참여했다고는 하지만 보통 11시간 걸리는 모형을 10분 만에 조립했다는 건 놀라워요. 더 신기한 것은 10분 안에 레고를 ... ...
- [Focus News] 초강력 태양폭풍 지구 강타한 이유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쓰고 있다. 현재 태양폭풍 예측 정확도는 70% 정도. 김 선임연구원은 “이 모델을 이용해 9월 8일 발생한 태양폭풍 세기를 3일 먼저 거의 정확하게 예측했다”고 밝혔다. 천문연은 2021년 국제우주정거장에 설치할 코로나그래프를 NASA와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다. 코로나그래프는 인공적으로 태양면을 ... ...
- [과학뉴스] 종이접기로 만든 로봇 팔 트위스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종이접기 방식으로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로봇 팔이 개발됐다. 이기주 미국 케이스 웨스턴리저브대 기계항공공학과 교수팀이 만든 ‘트위스터’다. 트위스터는 일본의 종이접 ... IEEE)와 일본 로봇공학회(RSJ)가 공동 주최한 ‘국제 지능로봇시스템 콘퍼런스’에서 9월 27일 발표됐다 ... ...
- Part 2. 오락가락 北 핵실험 규모, 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크다. 이 때문에 어느 지점에서 관측하느냐에 따라 규모가 달라진다. 실제로 지난해 9월 12일 경주에서 규모 5.8의 지진이 발생했을 때 관측소마다 다른 수치가 기록됐다. 경주에서 약 164km 떨어진 충북 충주와 전남 광양, 강원도 삼척에서 측정한 지진파를 토대로 계산한 값은 5.35~5.56으로 최대 0.21이 ... ...
이전2112122132142152162172182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