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형
부문
타입
양식
형식
품종
장르
d라이브러리
"
종류
"(으)로 총 4,585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인 행복 사이즈 실현하는 Size Korea
과학동아
l
200310
100 사이즈로 색깔이 다른 두벌을 달라고 한다. 그런데 점원은 “같은 100 사이즈에도 여러
종류
가 있다. 체격이 같아 보여도 가슴둘레나 등 길이, 팔 길이와 같은 세부적인 치수는 다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한다. “팔은 과동이보다 내가 좀더 길고 어깨 너비는 과동이가 더 길다”는 형의 ... ...
꼬마 소금쟁이가 물위에서 걷는 비결
과학동아
l
200309
것이다.소금쟁이는 몸무게가 대개 10mg 정도지만, 작게는 0.1mg에서 크게는 수g에 이르는
종류
도 있다. 이들을 물에 뜨게 해주는 표면장력은 가늘고 긴 다리가 물을 누를 때 수면이 변형되면서 생긴다. 따라서 물과 닿고 있는 다리의 길이가 길수록 표면장력이 크다. 연구팀은 물에 닿는 다리의 길이를 ... ...
1 무기여 안녕! 유기전자공학 시대 도래
과학동아
l
200309
있을 정도다. 유기물의 핵심인 탄소는 지구에 있는 1백여가지의 원소 중에서 가장 많은
종류
의 화합물에 포함돼 있다. 탄소로 된 화합물이 많은 까닭은 다른 원자의 전자와 결합할 수 있는 팔이 4개로 다른 원소에 비해 많고 원자량이 작기 때문이다. 원자량이 클 경우 최외각 전자가 원자핵에서 멀리 ... ...
2 한국 2020년이면 비구름을 부린다
과학동아
l
200309
빙정설과 병합설로 설명된다. 이 빙정설과 병합설에 해당하는 구름에 따라 구름씨의
종류
가 달라진다.0℃ 이하의 구름 속에는 물방울과 빙정이 공존하는 부분이 생긴다. 이때 물방울 표면의 포화수증기압이 빙정 표면의 포화수증기압보다 크므로 구름 속의 물방울은 증발되고 그 수증기가 빙정에 ... ...
신경생리학으로 분석한 자살의 원인
과학동아
l
200309
세로토닌의 전달에 관여하는 물질인 5-HTT의 유전자가 그 주인공이다. 5-HTT 유전자는 2가지
종류
가 있다. 긴 형질(l)과 짧은 형질(s)이 그것이다.동물실험 결과 l형질 유전자만(l/l) 있는 동물은 외부에서 주어진 스트레스에 더 잘 적응한다. 반면 s형질을 하나(s/l) 또는 2개(s/s) 갖고 있는 생쥐는 소음같은 ... ...
과학을 입힌다 첨단도료의 세계
과학동아
l
200309
사용한다.화재 확산을 막는 기능까지첨단도료에는 특수한 화학물질을 첨가해 만든
종류
뿐 아니라 고분자 자체에 특수한 기능을 부여하는 도료가 있다. 가장 대표적인 예는 올해 초 대구지하철 참사 이후 상당한 주목을 받은 난연성 도료다. 여기서 난연성이란 말은 연소를 어렵게 하는 과정을 통해 ... ...
산호 2030년까지 60% 파괴 예상
과학동아
l
200309
색깔을 나타내는 미세한 유기체가 기온이 높아지면서 사라진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종류
마다 기후 변화에 적응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멸종되지는 않고 많은 변화를 거치게 될 것이라고 한다.헤그헤스 박사는“앞으로 50년 간 증가할 이산화탄소의 양과 기온은 과거 50만년 이상 산호를 번성하게 ... ...
태양빛 이용해 나서는 달 탐사
과학동아
l
200309
산업활동에 수반하여 발생한 폐기물 중 폐유(廢油)·폐산(廢酸) 등 19
종류
의 폐기물 이들 폐기물은 국제적인 협약에 의해 폐기물을 배출하는 사업자의 책임하에 처리해야 한다비교적 순도가 높고 양이 많은 것은 회수·정화하여 원료로서 재이용하고 나무부스러기·폐유 같이 칼로리가 높은 폐기물은 ... ...
2 이보다 더 얇고 가벼울 수 없다
과학동아
l
200309
걸어줘도 높은 빛을 내는 특성을 갖는다.현재는 20인치급 구현OLED에 사용되는 유기물의
종류
는 여러 기능을 갖는다. 양극, 음극으로부터 주입된 전하(정공 또는 전자)를 전달해주는 정공주입층과 전자주입층은 많은 전하를 발광층에 전달해야 한다. 빨강, 파랑, 녹색 등 다양한 빛깔을 만들어내는 ... ...
산모 음식이 자식 유전자의 기능 바꾼다
과학동아
l
200309
버새는 노새와 달리 숫말과 암 당나귀 사이의 자손이다. 즉 노새와 버새는 어버이의
종류
만 달랐지 동일한 유전자를 갖고 있는 것이다.상식적으로 생각하면 노새와 버새는 말과 당나귀의 유전자 한쌍씩을 갖고 있으므로 동일한 유전자 세트를 갖고 있는 셈이고 따라서 그 생김새도 비슷해야 할 ... ...
이전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