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빛의 속력으로 정의한 ‘완벽한 단위’ 미터과학동아 l2018년 10호
- 86 램프보다 훨씬 더 안정된 파장의 빛을 내는 레이저가 개발됐고, 표준 과학자들은 이후 레이저를 이용한 연구를 통해 빛의 속력을 상대 불확도 3×10-9 수준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됐다. 1975년 빛의 속력은 기본 물리상수로 인정받았고, 결국 이것이 1983년에 정의돼 현재까지 사용 중인 미터의 ... ...
- [Career] 환자 뇌파로 재활로봇 조종한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측정 장치의 채널 수를 줄였다. 환자마다 초기설정을 할 때는 채널을 전부 사용하지만, 이후 치료 과정에서는 반응을 나타내는 뇌 부위의 채널에만 전선을 연결했다. 이렇게 하면 8~10개 채널만으로 재활치료를 할 수 있다. 김 교수는 “뇌파 측정 장치를 머리에 착용하는 시간이 10분 이내가 되도록 ... ...
- Part 2. 범인의 숨통을 조이는 수학 공식수학동아 l2018년 10호
- 공식은 ‘라이젤’이라는 프로그램이 됐고, 세계 각지의 수사기관에서 쓰이게 됐습니다. 이후 라이젤 외에도 여러 지리적 프로파일링 프로그램이 생겨났고, 우리나라에도 인구밀도가 높은 한국의 환경에 맞춰 개발한 ‘지오프로스’라는 프로그램이 만들어졌습니다. 1998년, 10년 넘게 경찰의 속을 ... ...
- [서울대 에너지자원공학과 재학생 인터뷰] 우리가 바로 대한민국의 미래 에너지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분석한 결과 물리학이 원리를 이해하는 게 중요한데 여기에 소홀했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후 원리를 이해하는 데 초점을 두고 공부한 정 씨는 다음 시험부터 물리에서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었다. 수학영재반에서 폭넓게 공부 - 17학번 이상민서울 서울고에서 수시모집 일반전형으로 입학한 ... ...
- [과학뉴스] 3년 만에 온 메르스 발병 열흘 만에 완치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메르스 환자와 희생자가 발생해 글로벌 제약회사의 관심이 상대적으로 적은데다, 2012년 이후 등장한 새로운 감염병이어서 연구가 활발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부 연구는 전임상시험에서 좋은 평가를 받으며 임상시험에 돌입했다. 미국의 바이오 기업 리제네론(Regeneron)이 개발한 ‘REGN3048’과 ... ...
- [과학뉴스] 여드름균만 노리는 백신개발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염증반응에 변화가 있는지 살펴봤다.그 결과 피부세포 조각과 쥐 모두에서 백신 주입 이후 염증 반응이 현저히 감소했다. CAMP가 일으키는 염증 반응이 억제된 것이다.후앙 교수는 “CAMP를 표적으로 하는 백신을 활용하면 훨씬 효과적이면서도 부작용이 없는 여드름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을 ... ...
- [시사기획] 땅이 가라 앉는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대피했다. 4. 땅꺼짐 막는 기술 어디까지 왔나국내에서 지반 함몰 현상은 2010년 이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2018년 6월 발표한 ‘5년간 지반 침하 발생 현황’에 따르면, 2013~2017년 땅꺼짐은 총 4580회 발생했으며, 이중 서울에서만 3581건이 발생했다. 인구와 건물, 도로가 밀집된 ... ...
- Part 2. 마하5 이상의 세계, 극초음속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사이클(TBCC) 엔진’이라고 부른다. 터보제트엔진으로는 이륙부터 마하3까지 속도를 내고, 이후에는 램제트엔진과 스크램제트엔진을 이용해 대기권 내에서 마하5 이상 극초음속으로 비행하면 된다. 또 다른 종류로 ‘로켓 기반 통합 사이클(RBCC) 엔진’이 있는데, 이는 로켓엔진과 램제트엔진, ... ...
- Part 4. 독자 위성항법시스템 개발 각축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개발 기간이 소요되는 국가적인 사업이 될 전망이다. 계획대로라면 2027년 첫 위성 발사 이후 2034년까지 모든 위성의 발사가 마무리 된다. 서비스는 2035년부터 시작된다. 우리나라의 독자적인 위성이 우리 삶에 등장하게 될 멀지 않은 미래를 상상해 본다 ... ...
- Part 4. 도시와 공원이 공존할 수 있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지하로 다니게 하고 지상에는 공원을 조성하는 계획이었지요. 2007년 프로젝트가 완료된 이후, 보스톤은 교통지옥에서 친환경 도시로 발돋움했답니다. 고가도로가 있던 자리에 생긴 길이 2.4km, 면적 6만 9000㎡ 규모의 로즈피츠제널드 케네디 공원은 시민들의 쉼터가 되었지요. 그 결과 범죄율도 ... ...
이전2112122132142152162172182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