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천
변이
변경
변질
변동
전환
변환
d라이브러리
"
변화
"(으)로 총 7,90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지구온난화로 고통 받는 철새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서아프리카에서 겨울을 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과학자들은 또 다른 북극 철새들에도 비슷한
변화
가 일어나 생존에 위협을 받고 있을 거라고 경고했다 ... ...
[News & Issue] NASA 비행기가 한반도에 뜬 이유는?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유기산을 측정하는 다른 연구진의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면 오염물질의 화학적인
변화
과정을 추적할 수 있다”고 말했다.K-ACES는 외부에서 빨아들인 공기를 상자 모양의 용기(셀)에 담고 이 빛을 통과시킨 뒤 파장별로 얼마나 많은 빛이 흡수되는지 측정해 성분과 농도를 알아내는 기기다. 셀의 ... ...
[Interview] “포스트휴먼시대 앞장서 대비해야” 백종현 한국포스트휴먼학회장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사람들이 토론한 내용을 시민사회가 공유하기를 바랍니다. 기술 발달로 생길 급격한
변화
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고 싶어요.”그는 “‘아름다운 사회’를 지향하는 인간 고유의 가치를 이어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합리적이고 유기적이며 효율적인 사회만이 좋은 건 아닙니다. 전체 모양이 ... ...
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있는 정치성을 폭로함으로써 근대의 종언을 주장했다면, 과학기술의 발전이 야기하는
변화
들은 훨씬 더 근본적인 수준에서 근대의 종말을 알리고 있다.과학기술은 그 자체로 우리를 더 ‘나은’ 존재로 만들거나 행복한 삶을 보장해 주지 않는다. 아마도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일은 인공지능 등 ... ...
내 눈이 뿔났다! 시력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후천적으로도 시각을 배울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어요.물론 경험과 학습을 통한 뇌의
변화
에도 한계는 있어서 완전하게 시력을 회복하지는 못했어요. 그래도 실명환자들이 사물의 형태와 색, 사람의 얼굴을 구별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커요. 이제 과학자들은 시각의 어떤 부분이 ... ...
[소프트웨어] 신선한 채소가 매주 집으로! ‘만나CEA’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전 세계 사람들이 많이 쓰는 검색 엔진을 쓰는 것으로도 세계의
변화
를 읽는 데 도움이 된다는 전 대표는 “독자들이 학교에서 배우는 것에 만족하지 말고 정보의 바다를 마음껏 누리고 살면 좋겠다”는 바람을 전했다 ... ...
[과학뉴스] 후천적 비만의 원인, 단초 밝혔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신호전달물질로 알려진 ‘S6K1’이 유전자 발현 과정을
변화
시켜 비만을 유도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S6K1의 후성유전학적인 역할을 밝힌 건 이번이 처음이다.한정환 성균관대 약학과 교수팀은 S6K1이 결핍된 쥐가 일반 쥐보다 지방조직이 절반가량 적다는 데 착안해 S6K1의 새로운 역할을 연구하던 중 ... ...
[과학뉴스] 효모 세포의 버티는 삶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물질 대사와 성장, 분열도 정상으로 회복됐다.알베르티 연구원은 “세포질의 상
변화
가 세포의 휴지를 결정짓는 핵심 원인”이라며 “사람의 세포로도 같은 실험이 가능한지 추가로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의생명과학 저널 ‘이라이프(eLIFE)’ 3월 22일자에 실렸다 ... ...
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같은 설계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10분 만에 해결될 과제였다. 첼로가 합성생물학에 가져올
변화
도 비슷하다. 간단한 생체회로 하나를 설계할 때도 유전자 간의 관계 파악은 물론이거니와 각각의 결과로 발생하는 단백질의 구조까지, 신경 써야 할 것이 많다. 이 설계를 컴퓨터가 알아서 해준다. 방두희 ... ...
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생물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회로를 설계했다. 이 유전자 회로는 담배식물(tobacco)에 이식됐다. 사람이 육안으로 잎의
변화
를 알아채기까지는 하루 정도가 걸린다. 이 식물은 23ppb의 TNT, 즉 물 1kg에 TNT가 0.000023g만 있어도 감지한다. 탐지견보다 최고 2만 배가량 민감하다.효소의 최종산물에 의해 활성화되는 바이오센서다.특정 ... ...
이전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