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알"(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섭섭박사] 주스가 쫄깃쫄깃 젤리로 변신! 분자요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분자요리에서 ‘짠맛’이 났기 때문이죠.앞에서 알긴산나트륨과 염화칼슘을 섞으면 알긴산칼슘과 염화나트륨이 생긴다고 했죠? 여기서 염화나트륨이 바로 하지만 직접 만든 분자요리를 맛본 친구들은 우리가 먹는 소금이랍니다. 그래서 분자요리에서도 짠맛이 나는 거예요.기자단 친구들은 오렌지 ... ...
- [News & Issue] 우주로 쏘아 올린 ‘피사의 사탑’ ‘등가원리’를 검증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등가원리가 위반될 수 있는 이유야 무한히 많다”면서 “위반 사실만으로는 아무것도 알 수 없고, 어떻게 위반됐는지 구체적인 수치가 신호로 잡혀야 새로운 중력이론을 구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권 박사는 “위성실험은 여러 등가원리 실험 중 하나일 뿐”이라며 “끈이론, ... ...
- [Knowledge]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액체를 즐기기엔 충분하다. 아이아이가 길다란 가운데 손가락을 이용해 애벌레를 낚고 새알 내용물을 먹는 걸 보면, ‘죽음을 내리는 가운데 손가락’이라는 소문은 어찌 보면 사실인 셈이다.아이아이가 애벌레를 사냥하는 모습. 길다란 가운데 손가락으로 나무를 톡톡 쳐서 애벌레의 위치를 ... ...
- [Career] 소리까지 듣는 피부를 아시나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따라 반구 구조가 다르게 변형되면서 촉감이 어느 부위에서 어느 방향으로 이어지는지도 알 수 있습니다. 진짜 손가락처럼 느끼는 전자피부인 셈이죠.” 고 교수는 “절단 장애인을 위한 전자의수나 청각 장애인을 위한 음성인식기, 건강진단용 웨어러블 소자 등에 쓰일 것”이라고 덧붙였다.센서 ... ...
- [참여] 이런 게 다 수학!수학동아 l2016년 07호
- 흥미로워 했던 것 같다”며, “이번 강연이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고 재밌는 수학에 대해 알 수 있게 해줘 학생들이 수학에 흥미를 가질 수 있는 계기가 될 것 같다”고 강연에 대한 의견을 전했다.김철경 교장선생님은 “수학적 사고력은 인생을 살아가는 데 있어서 당연히 필요한 것”이라며, ... ...
- [Knowledge] 티라노사우루스는 부채춤을 췄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티라노 사우루스와 트리케라톱스의 친척이자 오늘날까지 살아있는 공룡인 새를 보면 알 수 있다. 새에게는 후두가 없다.물론 새는 후두가 없어도 다양한 소리를 낼 수 있다. 명관(syrinx)이 있기 때문이다. 명관은 폐가 기도와 연결되는 부위에 있는 기관으로 새로 하여금 예쁜 울음소리를 낼 수 있게 ... ...
- [Tech & Fun] 두근두근♡실습일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시작했다. 이것이 마지막 질문에 대한 대답인지, 아니면 다른 화제로 넘어간 것인지조차 알 수가 없었다. 저번에 로봇은 분명 윤정에 대해 아름답다고 말하긴 했지만, 그것이 어떤 방식으로 이런 반응과 연결되는 것인지 로봇은 이해할 수 없었다. 분명 이 질문에 대해서 나올 대답들로 준비되어 ... ...
- [지식] 지구를 향한 발칙한 상상, 지구가 둥글지 않다면?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생각했다. 지금은 우주에서 찍은 사진을 보고 지구가 공처럼 둥글다는 사실을 쉽게 알 수 있다.지구는 왜 둥글까? 또는 지구가 다른 모양이라면 우리 생활은 어떻게 달라졌을까? 엉뚱한 상상! 만약 지구가 도넛 모양이라면?인공위성으로 지구를 찍을 수 없었던 아주 오래전 사람, 또는 음모론을 ... ...
- [수학동아클리닉] 공간 감각을 키우는 쌓기나무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쌓기나무를 위, 앞, 옆에서 본 모양을 다룰 때 위에서 본 모양으로 1층의 모양을 알 수 있고, 앞이나 옆에서 본 모양은 가장 높은 층이 보인다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 다음 예시를 통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쌓기나무 대신 연결 큐브를 쓰면 모양이 더 복잡하고 다양한 입체도형을 만들 수 있습니다 ... ...
- [Career] “이산화탄소로 플라스틱을 만드는 날이 올 겁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고민인 이산화탄소로 고부가가치의 화학물질과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으니, 꿩 먹고 알 먹는 연구다. 인공 광합성의 핵심은 ‘식물의 광합성 회로를 인공적인 재료로 얼마나 잘 구현하는가’다. 남기태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는 지난해 수소를 대량생산하는 인공 광합성 시스템을 개발했다. 그는 ... ...
이전2122132142152162172182192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