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알"(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프트웨어] 복불복 룰렛의 기댓값 구하기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룰렛 게임으로 배우는 확률두 룰렛 중에서 어떤 룰렛이 유리할까요? 이는 기댓값을 구해 알 수가 있어요. 기댓값이란 어떤 사건을 통해서 기대할 수 있는 값이에요. 사건이 일어날 확률에 그 사건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금액(점수)을 곱해 구합니다. 8칸 룰렛의 당첨 확률은 1/8이고, 분홍색 칸에 ... ...
- [소프트웨어] 눈 더미보다 더 빨리~ 날아라, 스키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슬로프의 모양이 변해서, 굳이 계산해보지 않고도 어떤 그래프로 그려지는지 한눈에 알 수 있어요. 친구와 함께 각자 수식을 넣어 슬로프를 다양하게 바꾸면서 누가 빨리 도착하는지 겨룰 수도 있지요.신나게 슬로프를 달려 내려오면서 스트레스를 뻥날리고 싶을 때 즐기는 스키게임! 내가 직접 ... ...
- [News & Issue] 웨어러블 미생물 전지 시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수소, 산소등으로 이뤄진 유기물인 요소다. 농사를 지을 때 대소변을 비료로 쓰는 데에서 알 수 있듯 에너지도 풍부하다. 전기를 만드는 연료로도 충분히 활용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게다가 공짜이고, 무엇보다 양이 어마어마하다. 보통 성인이 하루에 배출하는 오줌은 1.5L 이상. 이를 전세계 70억 ... ...
- Part 1 원격으로 조종하는 마스터키, 스파이앱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가로챈 데이터를 전달해주려고 시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IP는 컴퓨터의 주소이며, IP를 알면 두 단말기(PC와 스마트폰)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스파이앱이 계속 접속을 시도하고 있기 때문에 해커가 컴퓨터를 켜기만 하면 두 단말기는 항상 연결된다. 즉, 해커는 언제든 상대방의 단말기를 ... ...
- [Knowledge] 파충류 뇌라고 무시하는 거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맛있는 먹이를 먹는 꿈? 아니면 따뜻한 햇살 아래서 일광욕을 즐기고 있는 꿈? 아직은 알 수 없다. 하지만 한 가지 확실한 것은 파충류의 뇌가 우리의 뇌와 생각 이상으로 비슷하다는 사실이다. 더 나아가, 만약 도마뱀이 꿈을 꾼다면 오래 전에 살았던 파충류인 티라노사우루스나 스테고사우루스 ... ...
- [Knowledge] 생명과학의 성배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해밀턴, 로버트 트리버스, 조지 윌리엄스, 메이너드 스미스 등 기존 학자들의 연구를 알기 쉽게 포장한 과학 대중서에 불과하다는 폄하를 국내에서도 종종 접하는 것은 그래서 안타까운 일이다 ... ...
- [Photo] 침철석(Goethite) 괴테에게 헌정된 광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목질 부분이 석영으로 치환된 것이다. 겉보기에는 나무 같지만 실은 광물질이다. 흔히 알고 있는 삼엽충과 암모나이트 화석 등도 유사한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광물의 희귀성만큼 중요한 소장 이력사진 속 표본은 칼라하리 사막의 망간광상에서 1970년쯤에 채집한 것이다. 가상 침철석 중에서도 아주 ... ...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운석신고센터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친구들도 운석과 같은 돌을 발견한다면 아래의 운석 감별법으로 먼저 운석인지 아닌지를 알아보세요.현미경으로 보고, X선 쬐고~자석에 붙으며 금속 같은 색을 띠고, 녹았다가 굳은 듯한 돌. 이 돌은 편집부가 선물 받은 것이에요. 그런데 이 돌은 진짜 운석일까요?먼저 현미경으로 ... ...
- [지식] 알고 쓰면 과학, 모르고 쓰면 사기 P-value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오류 걱정도 없고 사용하기도 쉬운 방법이 개발되기 전까지는 P-value를 제대로 알고 올바르게 사용해야 한다는 게 ASA의 입장입니다.과학 연구를 대하는 우리의 자세지금 당장 재현성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을 겁니다. 이미 2년 전부터 저명한 학술지에서는 재현성 문제를해결하기 위해 여러 지침을 ... ...
-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망원경을 가동 중이던 63개 천문그룹에게 파원의 위치정보와 함께 중력파 검출사실을 알렸다. 이 중 25개 천문그룹이 최대 세 달까지 후속관측을 했다. 여기에는 전파, 가시광선, 근적외선, X선, 감마선 등 빛의 모든 스펙트럼 영역이 포함됐다.당시 후속관측에선 빛이 관측되지 않았다. 물질이나 ... ...
이전2142152162172182192202212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