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정
한정
특별
d라이브러리
"
특정
"(으)로 총 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과학]자연이 평형을 이루는 원리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높은 물방울일수록 증기압력내림이 커서 포화수증기압이 낮기 때문이다. 한편 물방울이
특정
반지름일 때 과포화도 곡선이 극대값을 갖는 이유는 반지름이 그것보다 작으면 농도가 높아져서 증기압력내림이 크고, 크면 표면 장력효과가 작아져서 성장이 쉽기 때문이다. 2-2) 상대 습도가 100.2%인 공기 ... ...
보이지 않는 전자파노이즈의 위협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외부에서 발생한 전자파노이즈의 영향을 막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금속 표면에
특정
진동수를 가진 자기장이 생기면 전자기 유도현상으로 금속 표면에 유도 기전력이 형성(패러데이 법칙)된다. 유도 기전력은 금속 차폐막에 전류를 흐르게 하고 이때 생긴 전류는 다시 자기장을 만들어 외부에서 ... ...
오염 토양 살리는 ‘사회 속 과학자’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고수의 비법 전수현대 공학도에게 필요한 것은 창의력이다. 우리 사회는 과거처럼
특정
분야만 바라봐서는 해답이 안 나오는 문제 앞에 직면했다. 단순한 기술자 이상으로 살아가려면 비판적 사고와 도덕적 판단 능력을 기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 ...
[수학]미분방정식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의미하는 수학적인 문장이다. 대부분의 방정식은 하나 이상 의 변수가 존재하고 변수가
특정
한 값일 때만 식이 성립한다. 예를 들어 3 x = x + 6과 같은 방정식은 x가 3일 때만 성립한다. 이처럼 방정식이 성립하는 조건을 찾는 행위를‘방정식을 푼다’고 한다.함수방정식이란 함수값들이나 함수들 ... ...
프랙탈 따라잡기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없는 크기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안선의 길이는 측량단위를 언급하지 않고서는
특정
지어서 말할 수 없다. 심화학습 문제에서 언급된 해안선은 멘델브로의 연구에의 해서 대략 1.26차원 정도가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물론 해안선의 특성에따라서 달라진다). 실제로 해안선은 랜덤코흐곡선에 ... ...
소백산천문대에서 펼쳐진 2박 3일 상상력의 향연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주인공이 정신적 감흥을 얻는 방법에 대한 아이디어를 내놨다. 주인공이 아무 이유 없이
특정
천체를 관측하고 싶어하는 정신적 감흥을 받는 것보다, ‘고고심령학’을 전공한 주인공의 친구를 등장시켜 억울하게 죽임을 당한 조선시대 천문학자의 원한이 이어졌다는 설정이다. 고고심령학은 배 ... ...
[신경과학]기억력도 유전된다?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2월 4일자에 발표했다. 2006년 페이그 교수팀은 암 관련 유전자를 연구하기 위해
특정
유전자를 고장 낸 ‘녹아웃’(knock) 쥐를 만들던 중 뉴런(신경세포) 연결망이 손상된 종류를 우연히 발견했다. 뉴런 연결망이 망가진 쥐는 기억력이 크게 떨어졌다. 그런데 연구팀은 이런 쥐라도 여러 가지 외부 ... ...
깨알보다 작은 마이크로 거울로 메가번개 잡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마냥 기다리지 않아도 될 겁니다. 물론 이때 망원렌즈가 달린 카메라를 돌리면 번개의
특정
부분만 크게 확대해서 찍을 수도 있겠죠.”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마이크로 전자기계시스템, 멤스) 우주망원경 연구단을 이끄는 이화여대 물리학과 박일흥 교수의 설명이다. 그런데 이런 일이 실제로 ... ...
[생물]최적의 현미경, 최적의 온도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많이 사용된다. 녹색 형광 빛으로 단백질의 움직임과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
특정
세포가 어떻게 움직이고 성장하는가를 쉽게 알 수 있다. 형광현미경에 사용되는 형광물질은 광수득률(quantum yield)이 중요하다. 광수득률은 포획한 광자에 대한 재 방출하는 광자의 비율을 나타낸다. GFP는 최대 0.8의 ... ...
Erasable Memory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하지만 두뇌는 이 두 가지 작업을 동일한 세포인 뉴런에서 행한다. 연구자들은 뉴론 내
특정
한 분자가 두 작업을 행하는 것이 아닐까 추측했다. 과학자들은 고통스러운 기억과 술, 담배, 마약 등에 대한 중독을 두뇌에서 지워버릴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뉴욕주립대(SUNY) 남부 의료센터 연구진은 ... ...
이전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