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정
한정
특별
d라이브러리
"
특정
"(으)로 총 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화학] 반응속도와 평형 이동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돕는다. 효소는 대개 분자량이 2만g/몰 이상인 거대한 단백질 분자다.효소 표면에는
특정
한 기질만이 결합해 화학변화를 일으키는 특징적인 구조와 화학적 성질을 가진 부분이 있다. 이를 활성화 자리(active site)라고 한다. 많은 효소의 활성화 자리는 매우 선택적이며 구조가 유사한 분자라도 다른 ... ...
나노벽으로 나노건축물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일었지만 최근 주춤한 이유도 이런 패러다임 전환이 벽에 부딪쳤기 때문이다. 연구단은
특정
위치에서만 나노막대와 나노튜브를 성장시키는 방법을 개발해 돌파구를 모색하고 있다. 결정 성장 방향 제어가 중요“결정이 자라려면 구성원소가 기존 결정이나 물질에 달라붙어야 합니다. 눈 결정이 ... ...
무선전력 송신의 꿈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따라서 60Hz 가정용 전류를 이용해 두 코일이 공명할 수 있는 자기장을 만들려면 전원을
특정
한 전압으로 변화시켜야 한다. 와이트리시티 작동 메커니즘에서 전구 쪽 코일은 패러데이의 법칙에 따라 공급되는 자기장의 변화가 클수록 많은 전류가 흐른다. 전압을 더 공급해 코일의 자기장을 ... ...
번쩍! 메가번개를 맨눈으로 보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각각 3mm인 거울 2개가 들어 있다. 이 망원경은 처음엔 지름 200km의 넓은 영역을 바라보다
특정
위치에서 메가번개가 치면 바로 촬영 영역을 좁혀 이를 자세히 촬영한다.이 망원경을 일과시간 동안 창에 설치해두면 다른 우주인들이 임무를 수행하는데 방해가 되기 때문에 자기 전에 설치했다가 기상 ... ...
[물리]빛이 꺾이는 원리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밀한 매질(굴절률이 큰 물질)에서 소한 매질(굴절률이 작은 물질)로 입사할 때 입사각이
특정
각도 이상이면 경계면에서 굴절하지 않고 100% 반사되는 현상이다. 전반사가 일어날 수 있는 입사각의 최소값을 임계각이라 한다. 광섬유는 전반사의 원리를 활용한 대표적인 예다. 굴절률이 큰 유리섬유 ... ...
[생물]혈액형 유전자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때 결합하는 수용체의 유전자가 같은 염색체 상에 존재하고 이들이 연관돼 있다면
특정
혈액형에서 바이러스나 세균이 일으키는 질병 종류가 달라진다. Q 2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가) 혈액은 조직을 순환하며 산소와 양분을 운반하고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제거한다. 이 과정에서 ... ...
올버스 패러독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이고 주기 T=dπ/ω이다. ω는 원운동의 각속도에 해당하며 원운동이 이뤄지는 평면에 대해
특정
각도에서 원운동을 보았을 때 운동 상태로 해석된다. Q 1) 구껍질에만 질량이 존재하고 내부는 비어있는 가상의 행성이 존재할 때 행성 내부에 중력이 작용하지 않음을 설명하라. 2) 반지름이 Re인 지구의 ... ...
천상의 소리 대금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두 악기 소리는 전혀 다르게 들린다. 배 교수는 “같은 268Hz의 소리를 내도 악기마다
특정
배음이 강해지거나 약해지는 정도가 다르다”며 “이렇게 배음들의 세기가 다르면 귀에는 다른 느낌으로 들린다”고 말했다.만파식적이 만 가지 어려움을 다스릴 수 있었던 이유는 애절한 청소리 때문이 ... ...
지적 재산의 보호와 공유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사람이 죽을 수 있다는 점은 심각한 문제다. 특허제도의 핵심은 아이디어를 개발한
특정
인에게 발명품에 대한 독점권을 부여한다는 점이다. 독점은 전체의 이익을 감소시키는 부정적인 요소가 있기 때문에 특허 기간을 20년으로 한정한다. 이번 논제에서는 특허권을 포기한 퀴리 부인의 입장에서 ... ...
바이러스 질환에서 인류를 구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알려졌던 에이즈를 일으키는 병원체를 단기간에 밝힌 것은 과학계 쾌거다. 처음 발견된
특정
질환의 원인을 불과 2년 만에 명확하게 규명한 사례는 과학사에 없다. 에이즈 확산을 막으려면 예방백신이 필요하지만 아직까지 에이즈 백신은 개발되지 않았다. 다행히 많은 제약사들이 HIV 연구에 집중 ... ...
이전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