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천하무적 팔과 다리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압력을 느껴야 한다. 감각점이 없는 인조피부는 형태만 있을 뿐 기능이 없다. 그러나
표면
의 거칠기와 압력을 느낄 수 있는 인조피부가 개발된다면 사람처럼 다양한 감각을 느낄 수 있다. 현재 사람 손의 압력감각점 분해능은 1~2mm다. 인조 손가락 한 마디가 대략 10x10mm이므로 인조손가락 한 마디에 ... ...
망태버섯의 화려한 외출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2종류가 있다. 이들은 나오는 과정도 다른 버섯과 다르다. 처음에는 달걀모양으로 땅
표면
가까이에 묻혀 있다가 윗부분이 갈라지며 머리 모양의 갓과 대가 나타나고 어느 정도 지나면 갓 아래쪽에서 망사가 내려온다. 이때 망사는 눈에 띌 만큼 빠르게 내려온다. 이 모든 과정은 대부분 오전 6시에 ... ...
지구온난화 가속시키는 바이오연료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차량의 화석연료를 바이오연료로 대체하려는 계획에 제동이 걸렸다. 주식용 곡물 재배지가 바이오 연료용 곡물 경작지로 바뀌면서 결과적 ... 기복(起伏)이 이어지는 해안평야 침식작용이 진행된 해안평야는 지층의 경사에 비해 지
표면
의 경사가 완만하기 때문에 삭박면(削剝面)에는 지층의 ... ...
노트북 배터리 연쇄 폭발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수 있다.반복되는 외부 충격도 전지 사고의 한 원인으로 꼽힌다. 외부 충격으로 전지
표면
에 상처가 생기면 배터리 내부로 습기가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 이럴 경우 물과 전해물질이 격렬한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건 불을 보듯 뻔 하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일부에서는 휴대용 전자기기들이 작아지고 ... ...
“찰칵!”메신저가 보내온 수성 사진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큰 분화구는 지름이 274m나 된다고 해요. 이 사진들은 400만 년 넘는 시간 동안 수성의
표면
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연구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답니다 ... ...
“내 안에 우주 있다” 남극에서 운석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개, 30일에는 3개를 더 발견했답니다.운석은 우주 공간의 암석이 지구 중력에 이끌려 지구
표면
으로 떨어진 것으로, 태양계의 기원과 진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어요. 지금까지 지구로 떨어진 운석중 80%가 넘는 2만 5000개의 운석이 남극에서 발견되어 남극은 운석의 보물창고로 알려져 ... ...
태안의 자연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의해 바다로 실려 온 모래가 파도에 의해 이 곳에 쌓인다. 모래는 천연 풍향계모래
표면
에 나 있는 물결무늬를 보면 바람의 방향을 알 수 있다. 바람에 날려 온 모래가 쌓여 언덕이 되면 바람이 불어오는 쪽은 모래가 쌓여서 완만한 경사를 이룬다. 반대로 뒤쪽은 모래에 막혀 바람이 약해지니까 ... ...
토성 위성 타이탄은 에너지 '노다지'?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영하 180℃인 타이탄에서는 액체 상태를 유지한다.로렌츠 박사는 “카시니가 타이탄
표면
을 빠짐없이 관측한다면 타이탄 전체에 저장된 탄화수소의 양을 더 정확히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카시니는 2월 28일 다시 타이탄에 근접비행한다.경희대 우주과학과 김상준 교수는 “타이탄에 있는 ... ...
봄을 부르는 겨울자나방의 세레나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수컷은 더듬이가 쭉 뻗었고 다리도 길다. 특히 두 날개도 정상이다. 날개는 낙엽색으로
표면
에 커피색 문양이 새겨 있다.암컷 겨울자나방은 왜 비행을 포기했을까? 비행(飛行)이란 사랑을 찾아나서는 과정이다. 암컷 겨울자나방은 추운 밤에 올빼미나 고양이 같은 천적에 당할 위험을 감수하면서까지 ... ...
질환 단백질의 입체구조에 맞는 열쇠 찾는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트립신은 동물의 입 모양 구조를 가져 단백질을 분해하기 좋다.또 질환 단백질은
표면
에 특정 분자가 결합해 반응이 일어나는 구멍(활성부위)이 있는데, 여기에 다른 물질을 집어넣어 반응을 못하게 하면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 전 단장은 “신약을 개발하는 과정은 질환 단백질의 입체구조 구멍에 ... ...
이전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