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암종
종양
수 합체의 뜻
폐해
cancer
뉴스
"
암
"(으)로 총 3,306건 검색되었습니다.
40대 전후 조기발병위
암
원인 유전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5
결과는 조기발병위
암
에 대한 보다 정밀한 유전적 발병 원인을 규명한 것으로 향후 위
암
환자의 정밀한 진단 및 개선된 치료방법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
쥐가 움직일 때 변화하는 뇌 신경세포 관찰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1.14
IBS 제공. 연구팀은 유방
암
전이
암
세포에 이 바이오센서를 발현시키고 광유전학 기술로
암
세포의 이동방향을 조절하자 small GTPase 단백질이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를 실시간 이미지로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특히 권형배 미국 막스플랑크 플로리다 연구소 박사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 ...
'노쇼' 상습 환자가 병치레 오래 하고 사망률 높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4
2014년 2월 사이 세브란스병원에 진료 예약한
암
환자 68만190명의 진료예약을 살펴 본 결과
암
환자 25명 중 1명꼴로 진료약속을 지키지 않았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건강관리'에 작년 6월 발표한 적이 있다. 이 연구진은 올해에도 환자들의 자의적 결정으로 수술일정이 갑자기 취소되는 사례가 ... ...
아이언맨 같은 외골격 로봇 등 융합기술 개발에 375억원 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3
접목한 녹슬지 않는 유기소재 개발(73억 원) △생분해 플라스틱, 인체 삽입형 광역학
암
치료기술 등 미래선도기술개발사업(53억 원) △자연모사 인공조직 소재공정 개발(21억 원) △스포츠 과학 융합연구(12억 원)를 집중 추진한다. 고서곤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기술 수요자와 기술 ... ...
100만년전 한반도 호랑이의 첫 조상이 갈라졌다
과학동아
l
2019.01.12
질병을 유발하는 유전적인 원인을 찾아낼 수 있다”고 말했다. 가령 저산소증은 흔히
암
을 유발한다고 알려졌지만 설표범은 산소가 적은 고산지대에 완벽히 적응한 개체다. 따라서 다른 고양잇과 동물과는 달리 설표범만이 지닌 유전자가 무엇인지 밝히면 저산소증과 질병의 상관관계를 이해할 ... ...
줄기세포 배양 과정 이미지로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1.10
이식에서 발생하는 세포접착의 난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라며 “
암
세포 전이시 동반되는 세포접착을 지속적으로 차단하는 약물 개발에도 응용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ience)’에 게재됐다. ... ...
“美 25년간
암
사망률 27%줄었다” …한국은 아직 증가세
동아사이언스
l
2019.01.09
자살이 사망 원인 1위로 나타났다. 다만
암
환자 발생수 및 조발생률(인구 10만 명 당
암
환자 발생자 수 비율)은 각각 2012년과 2013년 최대치를 기록한 뒤 줄어드는 추세다. 한국의 인구 10만 명 당 사망자 수 비율(조사망률) 추세. 사망 원인 1위라 맨 위에 표시돼 있다. 지속적인 증가 추세다. -사진 ... ...
심장·당뇨 대신 블록체인·빅데이터...2018 과학자 상위 검색어 ‘요동’
동아사이언스
l
2019.01.08
많은 과학자가 스코퍼스 DB에서 연구 관련 정보를 얻고 있다. 네이처에 따르면
암
이 2017년에 이어 두 해 연속 스코퍼스 DB의 검색어 순위에서 1위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2017년 당시 과학자들의 주요 관심사였던 당뇨(5위)와 스트레스(9위) 등의 건강 관련 검색어는 상위 20권에도 ... ...
세계 최초 기술 들고 라스베이거스로 가는 KAIST 교수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6
반응을 예측해
암
세포 유형에 따른 최적의 약물 표적을 발굴하고 이를 개인별 맞춤
암
치료에 활용하는 기술, 배현민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연구진이 개발한 근적외선을 이용한 뇌 활성도 측정(fNIRS) 기술 및 근육 피로도 측정기술도 세계무대에 선다. 이와 함께 KAIST 졸업생이 창업한 5개 ... ...
'올해의 KAIST인'에 이정호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9.01.02
최초로 규명해 2015년과 2018년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디슨’에 소개했다. 악성 뇌종양(
암
)인 교모세포종 돌연변이가 종양이 있는 위치에서 멀리 떨어진 뇌실하영역에서 발생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규명해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지난 8월 소개했다. 그는 난치성 뇌질환 신약개발 바이오벤처 ... ...
이전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