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등
동일
매한가지
피차일반
매일반
피장파장
d라이브러리
"
마찬가지
"(으)로 총 4,619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광우병 공포 누그러뜨린 프리온 발견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자신과 똑같이 만들어버린다는 것. 드라큘라에 물린 사람 역시 드라큘라가 되는 것과
마찬가지
다.그 뒤 단백질의 입체구조가 바뀌면서 서로 뭉쳐 결국 뇌세포를 파괴해 생기는 질병들이 속속 보고되기 시작했다. 아밀로이드 단백질로 인한 알츠하이머병, 시누클레인 단백질의 파킨슨병, 헌팅틴 ... ...
자외선과 형광안료가 빚어낸 색채의 향연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큰 나무를 성글게 배치하는 방법이 원근감을 살리는 데 효과적인 것처럼 말이다.
마찬가지
로 한 화면 안에서 사물의 밀도를 변화시키면 입체감을 줄 수 있다.공연에서 배우가 들고 있는 그물은 때로는 평평하게, 때로는 입체감 있게 느껴진다. 어둠 속에서 그물 모양만 보고도 입체적으로 지각할 수 ... ...
북극 종자은행, 냉각 시작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물을 수송하는 관이 없다 대신 육상식물의 잎과 비슷한 모양의 엽상체가 있는데 잎과
마찬가지
로 엽록소가 있어 광합성을 할 수 있다마디가 없는 산호초 모양의 홍조류로 혹돌잎류 등이 있다 수중 탄산칼슘이 증가하면 성장이 활발해져 다른 해조류의 자리를 대신한다1Sv는 ${10}^{6}$㎥/s를 나타내는 ... ...
모래쥐도 나(me), 너(you) 구분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10쌍을 실험하자 모래쥐는 금세 규칙을 깨닫고 먹이가 있는 통으로 달려갔다. 사람과
마찬가지
로 모래쥐의 능력도 제각각이었다. 잭슨과 워싱턴이란 이름의 모래쥐는 열 번에 아홉 번 비율로 모음을 구분하는 데 성공했다. 반면 모래쥐 링컨은 정답률이 절반 이하였다. 시넛 박사는 “특정한 모음이 ... ...
이산화탄소 배출 주범은 주요 산업국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생물과 무생물의 중간 존재인 바이러스는 핵산과 단백질로만 이뤄져 있는데, 리케차와
마찬가지
로 비세포성 생물에 포함된다바이러스와 박테리아의 중간 정도의 위치에 있는 미생물 세포벽은 없지만 3층으로된 세포막에 쌓여있는 것이 특징 폐렴과 관절염 가운데는 미코플라즈마 때문인 경우가 ... ...
아파트 숲에서 달을 쫓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달은 그저 제 갈 길을 가고 있을 뿐인데 말이다.달은 지구가 자전하기 때문에 다른 별과
마찬가지
로 하루에 한 바퀴씩 동에서 서로 하늘을 도는 것처럼 보인다. 그런데 달은 지구의 자전방향으로 27.3일마다 한번 지구를 공전하기 때문에 다른 별보다 한 시간에 약 0.5°씩 뒤처진다. 그래서 달이 뜨는 ... ...
18세기 최첨단 요새 수원 화성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정약용의 학식에 대한 깊은 신뢰를 엿볼 수 있다”고 밝혔다. 수원 화성을 건축할 때도
마찬가지
였다. 정약용은 수원 화성의 설계 계획인 ‘성설’을 지어 정조에게 올렸고, 정조는 ‘어제성화주략’이라는 이름으로 공표했다. 어제성화주략은 ‘임금이 지은 화성 축성을 위한 기본 방안’이란 ... ...
유럽의 콜럼버스,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연료가 만나기만 하면 점화되기 때문에 안전하다는 특징이 있다소유즈는 아폴로와
마찬가지
로 원래 달여행을 전제로 개발된 우주선이다 그러나 옛소련의 로켓개발 실패로 달착륙계획이 취소되자 소유즈는 지구궤도용과 살류트 우주정거장의 수송선으로 개조됐다동물은 알을 낳거나 새끼를 ... ...
PART 1 태안의 기억을 채집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핀셋으로 물고기의 배에서 집어낸 것은 조그만 쓸개.“어류가 기름에 노출되면 사람과
마찬가지
로 간에서 독성분해효소를 분비하며 쓸개즙을 배출합니다. 쓸개즙 속 대사물질 분비량을 분석하면 물고기가 기름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얼마나 많이 받았는지 알 수 있죠.”정 박사의 말이다. 쓸개 ... ...
매운 고추 먹고 땀 흘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한번 마셔보고는 질겁하고 다시는 입을 대지 않은 반면 TRPV1이 없는 쥐는 맹물과
마찬가지
로 벌컥벌컥 마신다.한편 꼬리를 뜨거운 물에 담구면 정상 쥐는 얼른 꼬리를 빼는 반면 TRPV1이 없는 쥐들은 반응이 훨씬 느렸다. TRPV1이 매운맛이나 열을 감지하는 센서임을 확증하는 연구결과다. 그럼에도 열에 ... ...
이전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