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등
동일
매한가지
피차일반
매일반
피장파장
d라이브러리
"
마찬가지
"(으)로 총 4,619건 검색되었습니다.
암정복 꿈꾸는 '생명설계도' 지킴이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궁극적인 목표는 새로운 개념의 항암제를 만드는 일이다. 그는 “암세포도 보통 세포와
마찬가지
로 손상된 DNA를 회복하는 시스템을 갖고 있지만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며 이를 막는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을 알아내면 암세포를 잡을 수 있다”며 강한 자신감을 보였다.“우리 연구단 진짜 보물은 ... ...
돌격! 동물특공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함께 미국 샌디에이고 훈련소에 있는 캘리포니아 바다사자 자크라고 해. 케이독과
마찬가지
로 물속에서 초음파를 이용해 바다속 폭탄의 위치를 알아낼수 있어. 게다가 사람이 잠수하기 힘든 바다 속 200m 깊이까지 잠수할 수도 있어. 우리 동료는 모두 20마리로, 바다 속에 있는 폭탄과 적을 탐지하는 ... ...
노행운 씨의 마파도 탈출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생기고 끝에서 끝으로 파가 전달된다. 하지만 줄 자체가 이동하는 것은 아니다. 파도도
마찬가지
. 파도는 대표적인 파동 현상으로, 바람에 의해 생기는‘파랑’과 달의 인력에 의해 생기는 ‘조석파’로 나눌 수 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파도는 주로 ‘파랑’을 가리킨다. 파도가 밀려오는 것은 ... ...
명예기자가 과학을 말로 재미있게 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왜 손톱이 딱딱해야 하느냐고? 그건 내 밑에 있는 살을 지켜주기 위해서야. 물론 발톱도
마찬가지
고. 사람은 손과 발을 많이 사용하잖아. 그러니깐 다칠 확률도 커. 손가락은 물건을 만지거나 들어올릴 때, 발가락은 걸을 때 돌에 채이거나 다른 사람에게 밟힐 수 있지. 그래서 나와 발톱이 손과 발을 ... ...
소음 잡은 블루투스 헤드셋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함께 병기한다 예를 들어 3천rpm에서 토크가 15kg·m라면 '15/3천kg·m/rpm'으로 표시한다
마찬가지
로 최대마력도 1백25/5천ps/rpm식으로 표현한다선 마이크로시스템스(Sun Microsystems)에서 개발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 Oriented Programming Language)의 일종자바로 만든 프로그램( ...
PART2 막강 플라스틱 패밀리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보여. 여기에 다양한 금속을 첨가해 빛의 흡수율을 변화시키면 색을 띠게 만들 수 있지.
마찬가지
로 폴리카보네이트를 이루는 고분자 사슬은 무작위로 배열돼있어 규칙적인 결정을 이루지 못하므로 투명해 보인단다. 물론 고분자 사슬의 모양과 간격을 변화시키거나 각종 첨가제를 넣으면 투명도를 ... ...
보이지 않는 위험, 디지털 질환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휴대전화 벨소리가 울릴 때 ‘도대체 어디서 울리는 거야’라는 반응을 보이는 이유도
마찬가지
다.소음성 난청, 소리없이 다가와중학교 2학년생 Y양은 평소 음악을 좋아해 1년 전부터 거의 하루종일 MP3 음악을 듣고 심지어 잠자는 동안에도 이어폰을 끼고 음악을 들었다. 어느 날부터인가 그가 ... ...
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쪽이 반반으로 나뉘었다.“왼손과 오른손은 항상 서로를 의식하오. 왼 귀와 오른 귀도
마찬가지
고, 왼발과 오른발도 같소. 왼발을 앞으로 뻗기 위해서는 오른발이 대지를 지탱해주어야 한다오. 태어날 때부터 서로 돕는 길만이 생존을 이어갈 수 있음을 안 게라오. 문신 선생의 조각들을 보니, 좌우가 ... ...
'특별한 가족'을 맞이한 국제우주정거장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어느 정도까지는 침엽수 등이 소생하지만 그것을 넘어서면 높은 산도 툰드라가 나타난다
마찬가지
로 높은 산도 어느 한계를 넘어서면 나무가 없는 고산 초원이 펼쳐진다 우리나라의 백두산은 1천m정도를 수목한계로 가진다가솔린이 연소할 때 이상(異常)폭발(이를 노킹이라고 한다)을 일으키지 않는 ... ...
과학의 힘으로 장애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성염색체와 관련된 CMT병은 X를 붙여 CMTX라고 한다.“환자가 앓는 병이 색각장애와
마찬가지
로 성염색체의 열성유전 때문에 생기는 것은 확실한데, 이제껏 알려져 있던 CMTX1부터 CMTX4의 증상과 달랐어요. 그래서 원인유전자를 찾기로 했죠.”2005년 6월 김 교수가 이 질병에 CMTX5라는 이름을 붙이고 미국 ... ...
이전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