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등
동일
매한가지
피차일반
매일반
피장파장
d라이브러리
"
마찬가지
"(으)로 총 4,619건 검색되었습니다.
명예기자가 과학을 말로 재미있게 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왜 손톱이 딱딱해야 하느냐고? 그건 내 밑에 있는 살을 지켜주기 위해서야. 물론 발톱도
마찬가지
고. 사람은 손과 발을 많이 사용하잖아. 그러니깐 다칠 확률도 커. 손가락은 물건을 만지거나 들어올릴 때, 발가락은 걸을 때 돌에 채이거나 다른 사람에게 밟힐 수 있지. 그래서 나와 발톱이 손과 발을 ... ...
'특별한 가족'을 맞이한 국제우주정거장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어느 정도까지는 침엽수 등이 소생하지만 그것을 넘어서면 높은 산도 툰드라가 나타난다
마찬가지
로 높은 산도 어느 한계를 넘어서면 나무가 없는 고산 초원이 펼쳐진다 우리나라의 백두산은 1천m정도를 수목한계로 가진다가솔린이 연소할 때 이상(異常)폭발(이를 노킹이라고 한다)을 일으키지 않는 ... ...
PART2 막강 플라스틱 패밀리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보여. 여기에 다양한 금속을 첨가해 빛의 흡수율을 변화시키면 색을 띠게 만들 수 있지.
마찬가지
로 폴리카보네이트를 이루는 고분자 사슬은 무작위로 배열돼있어 규칙적인 결정을 이루지 못하므로 투명해 보인단다. 물론 고분자 사슬의 모양과 간격을 변화시키거나 각종 첨가제를 넣으면 투명도를 ... ...
PART1 호모 에렉투스는 인류 최초의 요리사?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끊임없이 글리코겐에서 포도당을 만들어 대줘야하므로 작아질 수가 없다. 심장과 콩팥도
마찬가지
. 남은 건 소화기관이다.그런데 이걸 가능하게 해준 게 육식과 요리. 영양이 높아 소량만 먹어도 되고 소화가 쉬우므로 소화기관이 클 필요가 없다. 따라서 소화기관이 작아진 만큼 뇌가 커진 셈이다. ... ...
노행운 씨의 마파도 탈출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생기고 끝에서 끝으로 파가 전달된다. 하지만 줄 자체가 이동하는 것은 아니다. 파도도
마찬가지
. 파도는 대표적인 파동 현상으로, 바람에 의해 생기는‘파랑’과 달의 인력에 의해 생기는 ‘조석파’로 나눌 수 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파도는 주로 ‘파랑’을 가리킨다. 파도가 밀려오는 것은 ... ...
헬리콥터 100년史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특수화가 진행되어 특이성(特異性)이 확립되는 과정이 분화이다 조직분화 기관분화 등도
마찬가지
이며 이들 형태분화에 선행하는 것이 화학분화이다3차원 입체구조의 단백질 중 그 단백질의 고유 기능을 나타내는 특정 부위 활성부위는 각 단백질에서 아주 작은 부분만 차지하지만, 대부분의 ... ...
PART1 플라스틱, 21세기를 입힌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엑카르트 폴틴 소장의 설명이다.따라서 속도를 줄이지 않다가는 시멘트 방지턱과
마찬가지
로 차체에 큰 충격을 준다. 엑카르트 폴틴 소장은 “앞으로 플라스틱 내구성을 개선하는 등 재질을 보완하면 실제 도로에 쓰일 수 있다”고 내다봤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플라스틱, 지구를 ... ...
만물의 영장 빚어낸 손가락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휴대전화 버튼을 한번 외우면 큰 노력을 들이지 않아도 쉽게 외워서 칠 수 있는 이유도
마찬가지
다.손가락의 특수한 기능 때문에 일상생활에는 손가락만으로 다룰 수 있는 전자제품이 늘고 있다. 특히 어린이에게도 보급된 휴대전화는 문자메시지를 주로 보내는 ‘엄지족’을 양산하기도 했다. ... ...
보이지 않는 위험, 디지털 질환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휴대전화 벨소리가 울릴 때 ‘도대체 어디서 울리는 거야’라는 반응을 보이는 이유도
마찬가지
다.소음성 난청, 소리없이 다가와중학교 2학년생 Y양은 평소 음악을 좋아해 1년 전부터 거의 하루종일 MP3 음악을 듣고 심지어 잠자는 동안에도 이어폰을 끼고 음악을 들었다. 어느 날부터인가 그가 ... ...
과학의 힘으로 장애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성염색체와 관련된 CMT병은 X를 붙여 CMTX라고 한다.“환자가 앓는 병이 색각장애와
마찬가지
로 성염색체의 열성유전 때문에 생기는 것은 확실한데, 이제껏 알려져 있던 CMTX1부터 CMTX4의 증상과 달랐어요. 그래서 원인유전자를 찾기로 했죠.”2005년 6월 김 교수가 이 질병에 CMTX5라는 이름을 붙이고 미국 ... ...
이전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