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울"(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주얼 과학교과서] 범인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25기압만큼의 압력이 가해지는 건 불가능하답니다.페트병 에어컨 논란에 대해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최해천 교수는 “줄-톰슨 효과가 적용되지 않는다고 설명한 블로거의 설명에 동의한다”고 밝혔어요. 또 상명대 화학과 강상욱 교수는 “만약 그레이 다카의 실험 결과가 사실이라면 온도를 ... ...
- 벌레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뜨거운 봄, 그 이유는?지난 5월 19일부터 22일까지 서울의 낮 최고 기온이 30℃를 넘었어요. 서울에서는 처음으로 5월에 폭염주의보가 내려졌지요. 실제로 지난 3~5월의 우리나라 평균기온은 12.2℃로 *평년 기온보다 1.4℃나 높았어요. 아래 표를 보면 기온이 높았던 날이 얼마나 많았는지 한눈에 알 수 ... ...
- Intro. 12월의 비밀 조직, S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성탄절을 앞둔 캐나다의 몬트리올 국제공항, 눈에 띄게 빨간 양복을 입은 두 남자가 비행기 탑승구 앞에 줄을 서 있습니다. 비밀 조직 ‘S’의 요원으로 추정되는 사람들입니다. S의 정체를 새해 특종으로 내보내기 위해 저들을 따라가 보겠습니다. 제 모습은 철저히 숨긴 채 말이지요!▼관련기사를 ... ...
- Part 2. 수학동아, 조직 S의 비밀을 파헤치다!수학동아 l2016년 12호
- 페르미 추정법으로 본 조직 규모조직 S는 우리나라 어린이 몇 명에게 선물을 배달 할까요? 적어도 산타가 있다고 믿는 어린이 모두에게 선물을 전해야 산타 역할을 하는 조직으로서 의미가 있을 겁니다. 기초 정보로 대략적인 규모를 추정하는 ‘페르미 추정법’으로 근사치를 구해 봅시다.미국의 ... ...
- Part 5. 비행기가 활주로를 뜨지 못하는 이유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두 요원은 우여곡절 끝에 비행기에 올라탔습니다. 저도 비행기 꼬리 쪽에 자리를 잡았고요. 이제 비행기가 뜨기를 기다립니다. 안전벨트를 매고 창밖을 바라본 지 5분, 10분…. 비행기는 천천히 활주로 위를 달릴 뿐입니다. 비행기에 무슨 문제라도 생긴 걸까요?2009년 기준으로 약 20억 명이 매년 공항 ... ...
- Part 2. 위상적인 미래를 엿보다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있다”고 전망했다.★ 골다공증 : 나이가 들면서 뼈의 강도 가 약해지는 질병이다.김윤영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팀은 위상최적화를 활용해 공간은 적게 차지하면서 원래의 성능을 낼 수 있는 새로운 현가장치를 개발했다. 앞바퀴 쪽 엔진부나 뒷바퀴 쪽의 트렁크와 뒷좌석 공간을 최대한 ... ...
- [소프트웨어] 스마트폰으로 즐기는 프라모델 놀이터 셈스게임즈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엄친아, 디지털 완구 시대를 꿈꾸다안정훈 셈스게임즈 대표는 서울대 산업디자인학과를 졸업하고 LG전자를 거쳐 화장지와 일회용 기저귀 등을 만드는 킴벌리-클라크에서 일했다. 흔히 말하는 ‘엄친아’로, 꽃길만 걸었다.그러던 2011년 돌연 회사를 그만두고, 대학 친구 ... ...
- [Info] “노벨상 수상 업적 한 자리에”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분자기계도 조만간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 것”이라고 말했다.두 번째 강연은 백성희 서울대 생명과학과 교수가 나섰다. 후성유전학과 오토파지 분야 전문가인 백 교수는 오토파지 현상이 특히 암과 치매와 긴밀히 연결돼 있다고 설명해 청중의 관심을 모았다. 백 교수는 “뇌에서 오토파지의 활성이 ... ...
- Intro. 미래의 모습 위상수학에 묻다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이렇게 생긴 다리를 본 적이 있나요? 강으로 가봅시다. 많은 다리가 있지만, 이처럼 구멍이 숭숭 뚫린 다리는 없을 겁니다. 그런데 미래에는 모든 다리가 이런 모양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이는 2016 노벨 물리학상의 주역으로 ‘핫’한 위상수학과 관련이 있다고 하는데요. 이상한 모양으로 다리를 만 ... ...
- Part 1. 위상수학, 도시를 최적화하다수학동아 l2016년 12호
- 기존의 최적화 기법은 설계 과정에서 위상을 바꿀 수 없다. 만들려는 물체의 구멍을 처음에 1개로 정했다면, 최종 결과물도 구멍이 1개라는 뜻이다. 그런데 구멍의 개수를 늘리면, 들어가는 재료는 줄이면서 튼튼하게 만들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즉, 설계 도중에 위상을 바꾸는 게 가능하게 되면 더 ... ...
이전2132142152162172182192202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