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울"(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 [Career] “세계의 바다를 가를 무인선박을 개발합니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김다민 교수님, 안녕하세요. 김다민입니다. 국제무인선박 대회는 좀 생소한 대회인데요. 소개를 부탁드립니다.김낙완 반갑습니다. 국제무인선박대회는 올해로 두 번째를 맞는 행사인데요. 작년에는 싱가포르에서 열렸고, 올해는 하와이에서 열립니다. 대회가 12월이라 지금 대회를 준비하는 학생들 ... ...
-
- Part 3. 안전모를 쓰지 않으면?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문제는 매년 자전거 사고 횟수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에요.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에 사는 12세 이상 청소년의 자전거 사고가 최근 6년 동안 3배나 늘어났어요. 2010년에는 156건에 불과했는데, 지난해에는 460건이나 됐어요. 더 놀라운 사실은 2009년부터 2014년까지 우리나라에서 자전거를 타다가 숨진 ... ...
-
- [소프트웨어] 서큘러스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있을 것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결과는 성공적이었고, 서큘러스는 파이에어로 ‘2016 서울시 I·해커톤·U 대회’에서 수상도 했다.이후 두 가지 갈림길에 서게 됐다. 최근 인기를 얻은 드론과 원래 만들고 싶었던 로봇 사이에서 갈등했다. 그런데 드론은 이미 중국에서 저렴한 가격으로 만들어져 ... ...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Untranslated Region·UTR)라고 부르는데, 이 짧은 염기서열도 miRNA의 주요 출처다.김빛내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세포 안에서 miRNA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를 주도적으로 밝힌 과학자다. 김 교수팀은 2003년 드로샤(Drosha)라는 효소가 miRNA의 전사체(pri-miRNA)를 인식해 염기 60여 개 길이의 조각으로 ...
-
- [Interview] 우주생물학자의 ‘발칙한’ 문명 재건법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산업화와 전문화의 그늘을 지적한 연구였다.그런데 여기, 이 결론에 도전한 사람이 있다. 서울 종로구 김영사 사옥에서 만난 영국 웨스트민스터대 생물학과 루이스 다트넬 교수는 뽀얀 기포가 점점이 박힌 투박한 유리판 하나를 내밀었다. “제가 가장 자랑스러워하는 물건입니다. 직접 모래를 ...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수청이와 제비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앞으로 제비 탐사가 기대된다”고 말했어요. 1급 멸종위기종 수청이의 합창!5월 4일 서울 강서 지역에서 수원청개구리 현장교육이 시작됐어요. 100여 명이 모인 이날, 무엇보다 개성 넘치는 각종 장화들이 눈에 띄었어요. 무릎 장화는 물론 허벅지까지 길게 올라오는 물장화, 상체까지 완전 무장한 ... ...
-
- [News & Issue] 동물카페 동물들이 사는 법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이렇게 많은 사람과 동물이 섞여 있으면 인수공통감염병의 위험은 없을까. 신남식 서울대 수의과 교수는 “야생이 아닌 사람 손에서 나고 자란 반려동물이 질병을 매개할 가능성은 낮다”면서도 “특수반려동물은 개나 고양이보다 더 다양한 질병을 매개할 수 있기 때문에 예방접종이나 구충, 소독 ... ...
-
- [Info] “ 한반도 지진 제대로 알려면 역사 속 지진도 연구해야”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역사에 기록된 지진을 분석해 보면, 한반도는 최대 규모 6.7의 지진이 일어났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지난 10월 8일, 서울 용산 동아사이언스 사옥에서 열 ... 대가 김기문 포스텍 화학과 교수(IBS 단장), 소포체와 후성유전학 분야의 석학 백성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가 참여한다 ... ...
-
- [지식] 수학 잘하는 방법이 궁금한 수학자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성격상 받아들여지지 않았어요.”권 교수가 수학을 좋아하게 된 이유다. 이후 권 교수는 서울대학교 대학원을 다니다가 카투사에 지원해 주한미군 부대에서 군복무를 했다. 카투사 는 주말에 부대를 나올 수 있어 권 교수는 군복무 중에 미국 유학 시험을 준비할 수 있었다.“미군과 생활했던 게 ... ...
-
- [News & Issue] 꽃보다 단풍이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시작했지만, 단풍은 1979년부터 시작해 관측자료부터 약 60년 이상 차이가 난다. 박창균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기후물리연구실 연구원(박사과정) 역시 “단풍 시기에 대해 쓴 우리나라 논문은 한 편도 없다”며 “정확한 예측 모델이 나오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단풍이 드는 현상은 ... ...
이전2162172182192202212222232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