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울"(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빅뱅의 문을 열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아인슈타인, 프리드만, 허블, 가모프. 우주의 신비를 풀어내기 위해 노력한 과학자들이다. 이들의 노력 덕에 인류는 우주를 조금이라도 이해하게 됐다. 하지만 우주 탄생의 순간이 어땠는지는 추측만 할 뿐이다. 지금까지 그곳으로 가는 문은 굳게닫혀있었다. 최근에야 이 문을 열 열쇠가 생겼다. 그 ... ...
- PART 1. 초기우주의 문을 보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우주는 어떻게 태어났고, 어떻게 변해왔을까? 과학자들은 지금으로부터 138억 년 전, 아주 작은 한 점에서 대폭발이 일어나며 우주가 탄생했고 지금까지도 계속 팽창하고 있다고 말한다. 바로 ‘빅뱅 이론’이다.빅뱅 이론의 ‘빅뱅’은 사실은 ‘뻥!’이다. 그 이름도 유명한 빅뱅 이론이 뻥이라니 ... ...
- PART 3. 수학으로 중력파를 찾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우주배경복사를 보면 우주 탄생 후 38만 년, 그 순간의 모습을 볼 수 있다. 하지만 38만 년 이전 초기우주의 모습은 추측일 뿐이다. 아직까지는 직접 볼 수 없는 미지의 세계였다. 이제 그 문을 열 열쇠가 생겼다.지난 2월 중력파 최초 관측 성공에 이어 지난 6월 두 번째로 성공하면서, 중력파를 이용한 ... ...
- [News & Issue] 꽃보다 단풍이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시작했지만, 단풍은 1979년부터 시작해 관측자료부터 약 60년 이상 차이가 난다. 박창균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기후물리연구실 연구원(박사과정) 역시 “단풍 시기에 대해 쓴 우리나라 논문은 한 편도 없다”며 “정확한 예측 모델이 나오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단풍이 드는 현상은 ... ...
- INTERVIEW. "좋은 질문을 하는 젊은 과학자들에게 기회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치에하노베르 교수는 ‘지한파’다. 2004년 노벨상 수상 후 한국을 수십 번 방문했고, 서울대 의대 석좌교수로도 활동 중이다. 그는 한국의 연구 문화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었다. “도전적인 과제보다 현재 학계에서 주목받는 주제가 연구비를 받기 유리하다면, 그91게 한국이 노벨상을 받지 못하는 ... ...
- [Career] "머리카락보다 작은 소재의 활약을 기대하세요!"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인체에 훨씬 무해하다. 연구팀은 이런 연구를 바탕으로 개발한 차세대 PEG 고분자로 현재 서울대병원 연구팀과 함께 동물 실험 중이다. 김 교수는 “고분자나 나노소재를 새롭게 개발해 미래에너지 소자로 응용하는 것은 물론, 암이나 치매 같은 난치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데 도움을 주고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신풍초, 폭발 위기에 처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올림푸스 몬스’예요. 높이가 2만 1229m이고, 지름이 600km에 이르지요. 화산의 지름이 서울에서 부산까지 거리보다 더 큰 셈이니, 얼마나 거대한지 상상이 되죠?그러나 태양계에서 가장 큰 화산인 올림푸스몬스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는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어요. 다만 과학자들은 화성 내부의 ... ...
- [수학뉴스] 미술품 가짜 논란, 수학으로 밝힌다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사건이 다시 미궁으로 빠졌습니다.최근 동아일보 취재팀은 사건을 수사하고 있는 서울중앙지검 형사6부(부장 배용원)가 ‘미인도’의 진위를 가리기 위해 수학에 기반을 둔 ‘웨이블릿 변환’을 국내 최초로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혔습니다.웨이블릿 변환은 2008년 미국 듀크대 수학과 잉그리드 ... ...
- [지식] 북한에서 ‘사귐’의 뜻은?!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육각형’은 ‘4각형’, ‘6각형’으로 나타낸다. 남북 수학 연구 교류에 힘써온 김도한 서울대 수리과학부 명예교수는 “북한 수학 용어는 만드는 데 상당히 공을 들인 것으로 보인다”며, “‘지수’를 ‘어깨수’라 하고, ‘급수’를 ‘합열’이라고 하는 것처럼 용어를 보고 바로 이해할 수 ... ...
- [소프트웨어] 엑스브레인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들으러 가보자.33℃ 안팎의 폭염이 이어지던 무더운 여름날, 기자는 땀을 뻘뻘 흘리며 서울 망원동을 찾았다. 엑스브레인 최진영 대표가 기자를 안내한 곳은 일반 주택이었다. 안으로 들어서도 일반 가정집과 다를 게 없었다. 다만 거실에 책상과 의자, 컴퓨터 등이 놓여 있다는 점이 다를 뿐. 이 ... ...
이전2182192202212222232242252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