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울"(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CSI: 과학수사대’와 ‘알몸 절도 사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그가 슬리퍼를 신고 있지 않았다면 잡히지 않았을까요.버려진 휴지도 다시 보자유성호 서울대 법의학교실 교수는 “알몸이면 증거를 남기지 않을 확률이 높지만, 이번 군산 사건에서처럼 범인이 무심코 한 행동에서 예상치 못한 증거를 남길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장갑을 끼지 않은 손으로 ... ...
- [과학뉴스] 태양을 스윽~ 가린 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부른답니다.이번에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었던 일식은 부분일식이었어요(위 작은 사진). 서울에서는 태양의 3.5%가 가려진 모습을, 제주지역에서는 8.2%가 가려진 모습을 볼 수 있었지요. 같은 시간, 인도네시아를 포함한 동남아시아 지역에서는 개기일식을 볼 수 있었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2035년 ... ...
- [과학뉴스] 중력파 또 한 번 관측, 노벨상 후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한 해에 두 번씩이나 관측되면서 중력파 연구는 더욱 불이 붙을 전망이다. 한국에서는 서울대 등 4개 대학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국가수리과학연구소 등 2개의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자들이 한국중력파연구협력단(KGWG)을 구성해 라이고 과학협력단에 참여하고 있다. 라이고 데이터를 ... ...
- Part 2. 무수한 기체 먹고 은하 ‘비만’ 막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관계가 있다는 게 밝혀지면서 ‘M-시그마 관계’로 정립됐다(박스 기사 참조). 우종학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그 누구도 이런 관계를 예측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거대질량 블랙홀은 모은하보다 수천~수 십만 분의 1로 작거든요. 그런데 얘가 마치 모은하의 질량을 알고 딱 그 0.2%까지만 큰 ... ...
- [News & Issue] 우주로 쏘아 올린 ‘피사의 사탑’ ‘등가원리’를 검증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없음을 확인했다. 이후 100년 넘게 실험이 이어졌고, 정밀도는 계속 높아졌다. 최기영 서울대 IBS 강상관계물질연구단 책임연구원은 미국 워싱턴대 박사과정 학생이던 2008년 지도교수와 함께 비틀림저울 실험을 해 10-13까지 등가원리 위반이 없음을 보였다. 현재까지 확인된 세계 최고 수준의 ... ...
- [Tech & Fun] 두근두근♡실습일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시작했다. 그때 윤정은 방학을 맞아 편안하게 늦잠을 자고 있었고, 소연은 뉴델리에서 서울로 가는 항공편을 결제하고 있었으며, 로봇은 늘 누군가를 기다리고 있던 그곳에서 충전기를 꽂고 눈을 꼭 감고 있었다. 아주 조금 더 확장된 프로세스로 ... ...
- Intro. 이세돌 9단 VS 알파고 인공지능의 무한도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4. 인공지능 키워드 3. 센서Part 5. 인공지능과 함께할 미래의 모습은?도움 및 사진 : 장병탁(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교수), 임창환(한양대학교 전기생체공학부 교수), 김현기(ETRI 지식마이닝연구실장), Google Deepmind, IBM, 독일 튀빙겐대학교, 게티이미지뱅크 외참조: ‘Mastering the game of Go wi ...
- Part 2. 인공지능 키워드 1. 빅데이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난 이미 지난해 10월, 유럽챔피언인 판후이 2단과 대국해서 이긴 적이 있어. ‘바둑 인공지능이 사람을 꺾었다’고 다들 난리들이었다고~. 그리고 이번엔 세계 챔피언인 이세돌 9단과의 대국에서도 멋지게 우승했지! 내가 바둑을 잘 두는 비결? 아주 많은 데이터와 아주 빠른 계산 속도지. 인간은 ... ...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가상현실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쓰고 가상현실 속으로 슝~ 기자단 친구들이 찾은 곳은 서울 성북구에 있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에요. 이곳에서 새로운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다고 해서 찾아왔답니다. 그런데 그 전에 가상현실이 뭔지 정확하게 알아야겠죠?가상현실은 컴퓨터로 만든 가상의 세계에서 사람이 실제와 같은 ... ...
- [News & Issue] “나, 실험실 돼지 남다른 돼지가 됐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연구팀은 돼지의 배아가 배반포 시기일 때 인간의 iPS세포를 주입했다. 박정규 서울대 의대 미생물학교실 교수는 “연구팀의 돼지 배아에는 췌장을 만들 수 있는 유전 정보가 없기 때문에 그대로 발생시키면 유산된다”며 “하지만 췌장의 정보를 가진 iPS세포가 있기 때문에(이론적으로) 췌장으로 ... ...
이전2222232242252262272282292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