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울"(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취업로봇 수술 하고 싶은 나, 비정상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뇌세포 수를 늘리는 수술을 받는 도중 의식불명 상태에 빠졌고, 인공 장기를 이식 받은 서울의 D군은 감염으로 사망했습니다. 지난 달 소비자보호원이 발표한 ‘취업로봇 수술 부작용 실태 조사’에 따르면 2030년 26건에 불과했던 사고 사례가 2035년 356건으로 5년 만에 무려 13.7배 증가했습니다.E박사 ... ...
- [인터뷰] 젊은 수학자를 만나다 서재홍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봄비가 오는 날 서울 강남에 있는 한 카페에서 수학자 서재홍 교수를 만났다. 서 교수의 전공은 암호! 암호를 연구하는 교수라니, 간단한 비밀번호조차 우리가 모르는 특별한 방법으로 쓰고 있지는 않을까? 궁금하다면 서 교수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교수님 만나서 반갑습니다! 암호를 ... ...
- [과학뉴스] 노케미족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할 것이 있습니다. 천연물질이라고 해도 다 안심할 수 있는 건 아니라는 겁니다. 윤충식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공장에서 만든 제품보다는 들어가는 화학물의 종류가 적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볼 수 있지만, 천연이라고 무조건 안전한 것은 아니다. 독버섯처럼 위험한 천연물질도 ... ...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칩을 고정하는 수술은 지금도 쉽지 않다. 이 때문에 정흠 서울대병원 안과 교수와 김성준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공동연구팀은 눈 뒷부분을 2mm만 절개하고도 이식이 가능한 일체형의 작은 인공 망막을 개발했다.맥박을 측정하고 촉각을 느끼게 해주는 전자 피부도 피부와의 결합 문제가 ... ...
- [Knowledge] 인간의 아바타, 실험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배아가 자라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변화까지 관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최근 박재학 서울대 수의대 교수팀은 선박 도료에 포함된 주석 성분(Trimethyltin chloride)을 섭취한 제브라피쉬가 낳은 알을 관찰한 결과, 기형 개체가 많다는 것과 신경 발달이 억제돼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 ...
- [Tech & Fun] 친절한 금자씨의 ‘락스 살인 사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강한 물질이다보니, 3년이 되기 전 몸에 이상이 나타날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유성호 서울대 의대법의학교실 교수는 “(지속적으로 락스를 마셔) 위나 식도에 심한 부식이 일어나 천공이 발생할 경우, 변의 색깔이 짜장면 색으로 변한다”며 “본인도 몸의 변화를 바로 알아챌 수 있을 뿐만 ... ...
- [Career] 계산과학·공학을 쉽고 빠르게, 에디슨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에어포일(비행기 날개의 유선형 단면)을 설계했다. 조금원 센터장은 “심사위원이었던 서울대․카이스트 교수들이 윤 씨의 연구를 전문가 수준이라고 평가했다”고 말했다.윤 씨는 “에디슨에 연동된 슈퍼컴퓨터로부터 계산자원을 제공받아 사용할 수 있어 굳이 좋은 성능의 컴퓨터를 갖추지 ... ...
-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노벨상을 받긴 했지만, 천문학계에선 우주가속팽창을 의심하는 목소리가 있다. 이형목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Ιa형 초신성을 이용한 우주가속팽창 계산이 경험적으로는 맞지만 아직 확실한 이론으로 뒷받침되지 않았다”며 “기존과는 전혀 다른 방법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
- [News & Issue] NASA 비행기가 한반도에 뜬 이유는?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위한 것”이라고 말하며 타임라인을 보여줬다. ‘KORUS-AQ 네 번째 비행 오전 10:04:23 – 서울 상공의 가장 낮은 고도에서 이산화탄소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기 성분의 복잡한 분포 구조가 포착됐다.’기내에 빼곡 찬 관측 장비좌석 대신 기내에 빼곡하게 들어선 관측 장비 대부분은 공기 중에 있는 ... ...
- 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떨어진다.외부 기기가 필요 없는 차세대 인공 와우 개발도 활발하다. 한국기계연구원과 서울대 공동 연구팀은 2014년 달팽이관 원리를 그대로 모사한 ‘생체모사 무전원 인공기저막 소자’를 개발했다. 외부 음성처리장치 대신 서로 길이와 두께가 다른 유연한 압전소자 여러 개의 물리적 변화를 ... ...
이전225226227228229230231232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