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오른쪽"(으)로 총 2,742건 검색되었습니다.
- [양양 쌍호, 가평리 습지] 신석기인들이 살았던 호수로의 여행 2016.08.11
- 부른다(왼쪽). 그물에 어망추를 매달아 그물이 가라앉도록 하여 물고기를 잡았던 그물추(오른쪽). - 고종환 제공 이음낚시 도구는 70여 점이 넘게 나왔다고 한다. 크기도 다양하다. 이를 통해 배를 타고 먼 바다까지나가 물고기를 잡았음을 추정할 수 있다. 그땐 바다와 이어지는 호수로 배가 드나들고 ... ...
- 글로벌 IT 기업들, 인공지능 스타트업 인수 열풍동아사이언스 l2016.08.10
- 인공지능 기술을 보여주는 이미지. 왼쪽 그림을 바탕으로 벽의 질감 등을 살린 오른쪽 이미지를 재구성했다. - 매직포니 제공 컴퓨터 비전과 머신 러닝, 컴퓨터 신경학 등 분야의 박사급 인력 11명을 보유했습니다. 이들 인력은 인수 후 트위터에서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에 인공지능을 접목하는 ... ...
- 4000년 전 중국 대홍수 유적 찾았다!2016.08.08
- 대홍수가 일어나 수천 킬로미터에 이르는 지역이 물에 잠기고 지형이 달라졌다. 지도 오른쪽을 보면 대홍수 이전 황하 하류(아래쪽 파란색 점선)와 이후 하류(위쪽 파란색 점선)가 크게 바뀌었음을 알 수 있다. 파란색 실선은 오늘날 물줄기이다. 이번 발굴로 초기 청동기 문화인 얼리터우 유적(Erlitou ... ...
- 아인슈타인, 앨런 튜링, 존 내쉬 같은 천재들은 왜 바둑에 열광했을까2016.08.05
- 소개한 ‘바둑의 신비’ 아인슈타인(왼쪽), 앨런 튜링(가운데), 존 내쉬(오른쪽)의 공통점은? 천재 외에도 바둑 마니아였다는 것이죠. - pixabay, wikipedia, 프린스턴대 제공 ● 바둑 천재들의 뇌 구조가 궁금하다 바둑 전문가를 넘어 바둑 천재로 불리우는 이세돌 9단을 비롯해서 바둑에 천부적인 ... ...
- [강릉 경포호] 50년을 기다려 살아난 가시연, 되살아난 경포호 2016.08.04
- . 쪼글쪼글한 잎이 쫙 펴진다. 잎의 지름은 보통 20~120cm이지만, 최대 2m까지 달하기도 한다(오른쪽). - 고기은, 고종환 제공 가시연은 한해살이풀이어서 그해에 잎도 줄기도 모두 물에 사그라든다. 종자만 남겨둔 채 깨끗하게 사라진다. 종자는 둥둥 떠다니다가 적합한 곳을 찾아 가라앉는다. 그곳이 ... ...
- 1일 1커피 시대! 커피에도 유통기한이 있나요?동아사이언스 l2016.08.03
- 볶는 것으로 커피 특유의 맛과 향을 만들어내는 과정)'에 있는데요. 빨간 커피 체리(오른쪽부터 첫번째)를 수확해 숙성 시킨 뒤 씨앗을 분리한다(두 번째). 건조된 ‘생두’(세번째)를 로스팅 하면 우리가 즐겨 마시는 ’원두’가 된다. - 발리=김규태 기자 제공 로스팅 과정에서 원두가 가지고 ... ...
- 국제학술지 표지논문 영광 뒤엔 화려한 그림 한 장동아사이언스 l2016.08.01
- 나가 5명의 학생을 가르치고 있다. 메드아트(Medart)의 윤관현 대표(왼쪽)와 김현주 작가(오른쪽). - 변지민 기자 김현주 '메드아트(Medart)' 작가가 작업하는 모습. - 변지민 기자 ▼좋은 표지그림을 그리려면▼ “정확하고 재미있게” 과학자와 합숙하며 수십 번 고치고 또 고치고 이영희 ... ...
- [강릉 풍호] 풍호마을 연꽃축제로 풍호의 추억 소환!2016.07.28
- 정성들여 글씨를 쓰는 이종순 할아버지(왼쪽). 낭만적인 분위기를 배가시키는 바람개비(오른쪽). - 고종환 제공 어느덧 8회째를 맞은 풍호마을 연꽃축제. 일회적으로 끝나는 축제가 비일비재한 것이 현실. 축제를 한번 여는데도 어려움이 많다. 그런데 풍호마을 연꽃축제는 매년 여름마다 열리고 ... ...
- 면역세포에 로봇 태워 암 세포 공격한다2016.07.26
- 전남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암 치료가 가능한 의료용 마이크로 로봇을 개발했다. 박석호(사진) 전남대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머리카락 두께의 5분의 1 수준의 초소형 ... ' 6월 27일자에 실렸다. 나노 입자를 이용한 기존 치료법(왼쪽)과 마이크로로봇을 이용한 치료법(오른쪽). - 전남대 ... ...
- 사람을 사냥꾼으로 부리는 꿀잡이새를 아시나요? 2016.07.25
- 사람과 신호는 주고받아도 접촉하지는 않기 때문에 촬영을 위해 그물로 사로잡았다. 오른쪽은 꿀잡이새가 처음 따라오라는 신호를 보낸 방향을 표시한 것으로 최종 목적지(bee's nest) 쪽에 집중돼 있음을 알 수 있다. - 사이언스 제공 ● 매는 배부르면 날아가 버려 이런 측면에서 사람과 새가 함께 ... ...
이전2132142152162172182192202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