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오른쪽"(으)로 총 2,742건 검색되었습니다.
- 뒤뚱뒤뚱 두꺼비, 사실은 평형감각의 달인?2016.06.14
- 착지를 위해 한쪽 다리를 길게 뻗은 모습(왼쪽), 45도 경사진 표면에 착지하는 모습(오른쪽) - 바이올로지 레터스 제공 마지막 실험으로, 두꺼비가 45도 경사진 표면에 착지하는 상황을 만들고 그 모습을 관찰했습니다. 그 결과, 놀랍게도 두꺼비는 특별히 몸을 기울이거나 다리를 평소보다 더 많이 ... ...
- 밋밋한 셀카는 가라~ 스냅챗 써볼까?2016.06.10
- 있어 편리하고 재미있게 볼 수 있습니다. 메인 화면에서 오른쪽 페이지로 이동한 뒤 오른쪽 상단 지구본 아이콘을 누르면 디스커버 아이콘들이 나타납니다(왼쪽). 버즈피드 화면(오른쪽). - 이종림 제공 ⑥ 셀카의 진화(?) 이제는 얼굴을 조금 예쁘고 잘생겨 보이도록 보정해주는 것만으로는 ... ...
- [담양 여행] 광주호, 식영정, 한국가사문학관에서 휘둘리는 마음을 잡다2016.06.09
- - 고기은 제공 면앙 송순의 면앙집.(왼쪽) 송강 정철이 선조에게서 하사 받은 술잔.(오른쪽) - 고기은 제공 작품들을 차례차례 만나본다. 상춘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관동별곡 등 한 번쯤은 들었을 법한 작품부터 도산별곡, 춘면곡, 산외별곡, 사향곡, 상명가라 등 생소한 작품까지 한 자리에서 ... ...
- 반지의 제왕 ‘프로도’는 인류의 조상일까2016.06.09
- 인류의 뇌(왼쪽), 다운증후군을 앓고 있는 환자의 뇌(가운데)는 '호빗'족의 뇌(오른쪽)과 구조적으로 차이가 존재한다. - 플로스 원(PLOS ONE) 제공 영화 ‘반지의 제왕’의 주인공 ‘프로도’와 신체적 특징이 유사해서 ‘호빗’이라고 불리는 ‘호모 플로레시엔시스(Homo Floresiensis)’. 미국 연구진이 ... ...
- 옷? OK~ 돌멩이? OK~ 어디에도 붙는 만능 전자소자 2016.06.08
- 이미지(가운데). 박막형 폴리이미드 기판 주변에 형성시킨 섬모의 주사현미경 이미지(오른쪽). - 광주과학기술원(G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옷 위는 물론 울퉁불퉁한 돌멩이 위에도 부착할 수 있는 전자소자를 개발했다. 고흥조 광주과학기술원(GIST) 신소재공학부 교수팀은 인공섬모를 이용해 접착력을 ... ...
- 거대 블랙홀 품은 꼬마 은하과학동아 l2016.06.07
- 방출하고 있다(왼쪽). 조밀타원은하의 대표적인 예인, 안드로메다은하의 위성은하 M32(오른쪽 빨간 원). -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거대은하에서만 발견되던 거대질량 블랙홀이 우리은하보다 작은 조밀타원은하(compact elliptical galaxy)에서 처음 발견됐다. 한국천문연구원 은하진화그룹 연구팀은 ... ...
- 新 유전자 가위로 돌연변이 쥐 생산 첫 성공2016.06.07
- 교수(왼쪽)와 이상욱 교수(오른쪽). 제공 국내 연구진들이 새로운 유전자 교정 기술을 세계 최초로 동물에 적용하는 데 잇달아 성공했다. 김진수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교정연구단장(서울대 화학부 교수)팀과 이상욱 울산의대 교수팀은 각각 새 단백질 효소(Cpf1)를 이용한 유전자 가위로 ... ...
- 다윈의 나방 유전자 마침내 규명2016.06.06
- 색 나방이 생존에 유리한 반면(왼쪽) 오염된 환경에서는 검은색 나방이 생존에 유리하다(오른쪽)는 실험결과가 1950년대 나오면서 유명해졌다. - 에드먼드 포드 제공 숨은그림찾기 같은 이 두 사진은 1975년 출간된 영국의 생태유전학자 에드먼드 포드의 저서 ‘생태유전학’ 4판에 나온다. 중고교 때 ... ...
- [충남 당진여행 下] 솔뫼성지, 삽교호에서 책임감을 다듬다2016.06.02
- 시작하는 회유문. 조선의 교우들에 대한 김대건 신부의 지극한 애정을 확인할 수 있다.(오른쪽) - 고기은 제공 그는 공부를 마치고 한국으로 돌아오는 것이 쉽지 않았다. 기해박해 이후 계속되는 탄압 때문이다. 1845년 1월. 그는 어렵게 한양에 몰래 들어와 국내 사정을 살핀다. 그해 8월 중국 상해에서 ... ...
- 양귀비꽃, 그 붉은 아름다움의 비밀2016.05.30
- 분포하지만 가운데 울타리콩은 양쪽 표피의 세포 한 층씩에만 색소가 분포한다. 오른쪽 안데스물망초의 경우는 위층(앞면)에만 색소가 있다. 꽃잎의 단면 사진을 찍어보면 색소 분포가 세 가지 패턴 가운데 하나를 보인다. 즉 전체적으로 퍼져 있거나(왼쪽 달맞이꽃) 양쪽 표면세포에만 존재하거나 ... ...
이전2172182192202212222232242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