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6. 핵융합 선진국의 주역 케이스타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높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2008년 첫 운전에서 플라스마 발생에
성공
하고 2010년 플라스마의 감금효율이 급상승하는 ‘H-모드’를 달성했다. 더구나 케이스타는 이터에서 건설할 대형 실험로와 똑같은 재료를 쓰고 있어 이터 건설에 좋은 참고가 되고 있다.지난 9월 1만 번 째 ... ...
환자는 의사에게, 의사는 수학자에게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심장 기능을 분석할 수 있다. 페스킨 박사는 최근 심장을 3차원 수리 모델로 개발하는 데
성공
했다. 이 같은 연구 성과는 우리나라 연구자에게도 영향을 끼쳤다.자연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시작된 수학 이론은 오늘날 자연의 신비한 현상 중 하나인 인체와 질병의 수수께끼를 조금씩 풀어내고 있다. ...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수 있다. 그런데 문제가 또 있다. 100m 선을 그려서 그 위로 아이들이 달리게 하는 데는
성공
했는데, 트랙이 너무 짧다. 효과가 잠깐에 불과한 것이다. 1000m 트랙을 만들어 봤자 소용이 없다. 어차피 초고속으로 움직이는 플라스마는 금세 뚫고 흩어져 버릴 테니 말이다. 그래서 핵융합 과학자들은 원형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게 바로 소행성 채굴이다. 2005년이토가와 소행성에서 세계 최초로 미립자를 반입하는 데
성공
한 일본은 11월 30일 두 번째 소행성 탐사선 ‘하야부사2’를 발사할 계획이다. 하야부사2는 ‘1999JU3’ 소행성에서 시료를 채취해 2020년 귀환할 예정이다. 영화에서나 보던 우주 자원전쟁이 본격적으로 막이 ... ...
[과학뉴스] 청각만으로 길 못 찾는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것이다. 실험 결과 몸과 다리를 쓸 수 있게 한 집단만이 가상 복도의 중간에 몸을 두는 데
성공
했다. 청각만으로 길을 찾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사실이 증명된 것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영국왕립학회보 생물학 온라인판 11월 11일 자에 발표됐다 ... ...
[career] “세계 10대 기업 절반이 에너지 기업”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되고 싶은데요. 이 전공을 공부하는 것이 도움이 될까요?A 물론이죠. 어떤 산업에
성공
적으로 투자하기 위해서는 그 산업을 누구보다 잘 알아야 하고, 그런 면에서 공대 출신이 유리합니다. 특히 에너지산업처럼 규모가 천문학적인 경우에는 더욱 그렇지요. 우리 과에서는 ‘해외자원투자실습’이나 ... ...
[생활] 축구 선수의 팀 기여도 네트워크 분석으로 측정한다!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슈팅(W)을, 원과 원을 잇는 선은 선수 사이의 패스를 의미한다. 선이 굵을수록 패스
성공
률이 높다는 뜻이다. 즉 전체 선수의 팀 기여도는 각 선수를 표시한 원의 크기로 표시되는데, 원의 크기가 클수록 선수 기여도가 높다.그렇다면 선수의 수비 기여도는 어떻게 구할까? 이는 선수가 패스를 받은 ... ...
명예기자와 기자단이 만나 제주에서 우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찍은 건 1969년의 일이니까요. 1903년 라이트 형제의 ‘플라이어호’가 세계 최초로 비행에
성공
한 이래 110여 년에 걸쳐 계속 발전한 비행기에 비하면 그 역사가 짧지요. 하지만 인류의 우주 진출은 눈부신 속도로 영역을 넓혀가고 있답니다. 보이저 1호는 인류가 만든 물체 가운데 최초로 태양계 ... ...
종이학부터 변신로봇까지 오리가미의 진화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모의 실험을 하고 있다.JPL의 브라이언 트리스 연구원은 기자간담회에서 “기술개발에
성공
한다면 현재 태양전지의 전력 생산 능력을 17배 정도(약 250kw) 끌어올릴 수 있다”며, “고교 시절 오리가미의 매력에 흠뻑 빠져 있던 경험이 태양전지 연구를 가능케 했다”고 이야기했다. 생명도 구하는 ... ...
PART 2.Y가 사라진 세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헤르마프로디토스만 남은 뒤였다. 지금처럼 성별이 하나로 합쳐진 것이 인류 역사에서
성공
적인 진화로 기록될지, 아니면 멸망을 향한 지름길이 될지 누구도 알 수 없다. 최근에는 Y 염색체가 사라졌던 위치에서 새로운 염색체가 발견되고 있다는 소식이 들린다. 이 염색체가 어떤 역할을 할지는 ... ...
이전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