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성공"(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 침팬지들의 영원한 타잔 제인 구달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3호
- 캐서린 호바이터 박사가 더 다양한 침팬지의 행동이 어떤 뜻을 의미하는지 해석하는 데 성공하기도 했답니다. 편견을 이겨낸 침팬지 사랑 40년제인 구달 박사님이 처음 침팬지 연구를 한다고 했을 때 사람들은 편견을 갖고 있었어요. 당시 제인 구달 박사님은 대학교에 다니지도 않았고, 나이도 2 ... ...
- 배달하고 사진 찍고, 지금은 드론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2호
- 펼쳐 10개가 넘는 조종석 스위치를 하나씩 모두켜고, 엔진을 작동시킨 뒤 이륙하는 데 성공했어요. 그리고 양손에 조종대를 잡고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안정적으로 비행을 했답니다.명예기자들은 이 로봇과 비행 대결을 해 보았어요. 그 결과는? 명예기자들이 조종하는 비행기는 비행로를 잘 ... ...
- 2014 노벨 과학상 발표!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1호
- 1990년에 이들이 질화갈륨(GaN) 판을 층층이 쌓아 만든 LED로 파랑 빛을 방출하는 데 성공했어요(맨 위 사진). 하얀 빛을 내는 LED를 만들 수 있게 된 거지요. 지금은 전등이나 TV, 컴퓨터 모니터에도 이 LED가 들어간답니다 ... ...
- 아얏, 따가운 주사기는 안녕~!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0호
- 캡슐주사에 넣어 돼지에게 먹이는 실험을 했어요. 그 결과 위 벽에 인슐린을 주사하는 데 성공한 것은 물론, 다 쓴 주사가 일주일 뒤에 대변으로 나오는 것을 확인했답니다 ... ...
- 세상에서 가장 신나는 어린이과학동아 10살 생일파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9호
- 2004년 발사된 이후로 64억km를 날아서 2014년 8월, 10년 만에 67P 혜성 궤도에 진입하는 데 성공했어요. 지금도 혜성의 궤도를 돌면서 다양한 사진을 찍어 지구로 전송하고 있어요. 그리고 11월 11일에는 67P 혜성에 제 몸 안에 있는 탐사 로봇 ‘필레’를 내려 보낼 예정이에요. 필레는 67P 혜성에 착륙해 ... ...
- 방학엔 외국여행? 우리는 우주여행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6호
- 매우 어려웠어. 그래서 1996년 미국의 후원단체인 X프라이즈 재단이 민간우주여행에 성공하면 현상금 100억 원(1000만 달러)을 주겠다는 ‘안사리 X프라이즈’를 발표했지. 민간에서 우주선을 개발해야 저렴한 비용으로 우주여행이 가능하다고 봤기 때문이야.그리고 2004년 버트 루턴이 설계한 ... ...
- 세상에서 가장 까만 검은색!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5호
- 서리 나노시스템즈 전문가들이 세상에서 가장 까만 검은색 ‘밴타블랙’을 만드는 데 성공했어요.물질이 특정한 색깔을 띠는 이유는 그 색깔을 내는 빛(가시광선)을 반사하고 다른 빛은 흡수하기 때문이에요. 검은 물질은 빛을 대부분 흡수하고 거의 반사하지 않지요. 밴타블랙은 빛을 거의 다 ... ...
- 한여름 세균과의 전쟁 구린내 괴물 퇴치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5호
- 원하는 향을 맡을 수 있게 한다. 실제로 파리에서 뉴욕까지 커피 향을 전송하는 데 성공하기도 했다.킁킁, 전자코 나가신다냄새로 문을 열거나 병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냄새를 감지하고 이를 분석하는 기술이 무척 중요해. 그래서 많은 과학자들이 다양한 냄새를 감지할 수 있는 전자코를 개발하기 ... ...
- 전 세계를 이어주는 거대 풍선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4호
- 브라질 북서부의 캄프마이오르에서 고속 무선데이터 통신기술인 LTE를 연결하는 데에도 성공했어요. 이전까지 이 지역은 높은 나무에 올라가야만 신호를 겨우 미약하게나마 받을 수 있었지요.구글은 2015년까지 이 풍선을 300~400개 정도 띄워 도시와 떨어져 있는 시골 등 전 세계 곳곳에 인터넷을 ... ...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수 있다. 그런데 문제가 또 있다. 100m 선을 그려서 그 위로 아이들이 달리게 하는 데는 성공했는데, 트랙이 너무 짧다. 효과가 잠깐에 불과한 것이다. 1000m 트랙을 만들어 봤자 소용이 없다. 어차피 초고속으로 움직이는 플라스마는 금세 뚫고 흩어져 버릴 테니 말이다. 그래서 핵융합 과학자들은 원형 ... ...
이전2122132142152162172182192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