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성공"(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 두 번째 요리 모두에게 공평하게, 국수와 만유인력수학동아 l2015년 02호
- 모두 실패합니다. 오직 뉴턴만이 뛰어난 수학실력을 바탕으로 타원궤도를 계산하는데 성공합니다. 후크 입장에선 배가 아플 수 있지만, 만유인력의 주인공이 뉴턴인 이유입니다.모두에게 평등한 음식, 국수아, 까르보나라를 깜빡하고 있었군요! 과연 고독한 미식가는 왜 뜬금없이 만유인력을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벤처에 ‘후츠파’하라! (이스라엘의 도전정신)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앱을 만들었습니다. 섬니는 장문의 뉴스를 간단하게 요약해서 보여주는 앱으로 큰 성공을 거뒀습니다. 야후가 300억 원에 이 앱을 인수했습니다. 이런 훌륭한 사례도 있지만, 저는 중고등학생 여러분께 학창시절에는 내실을 다지라고 권하고 싶습니다. 전문 지식을 배우기 위한 기초지식을 쌓고 ... ...
- [과학뉴스] 스페이스 X, 로켓재활용 첫 시도 X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관건이었다.스페이스X사는 1월 10일 발사한 로켓에서 1단을 분리해 착륙대로 이끄는 것은 성공했지만, 너무 강하게 떨어져 부서졌다고 밝혔다. 스페이스X의 CEO인 엘론 머스크는 “유압식 장치에 작동유가 부족한 것이 원인인 것 같다”며 “다음 시도에서는 작동유를 50% 늘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 ...
- [과학뉴스] 페이스북 ‘좋아요’가 내 성격 맞춘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좋아요’ 정보를 분석해서 직장 동료나 가족보다 더 정확하게 성격을 분석하는 데 성공했다.케임브리지대 심리측정센터 우 유유 박사는 “10개 이상의 ‘좋아요’ 정보를 분석하면 직장 동료보다 정확하게, 150개 이상을 분석하면 가족보다 정확하게 개인의 성격을 예측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 1.6mm의 바삭한 과학! 감자칩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만들어졌다. 여기에 양파나 치즈, 바비큐 맛은 어떤 회사에서 만들어도 맛을 보장하는 성공 아이템이다.그런데 2014년 등장한 허니버터칩은 짭짤한 감자칩 대신 달콤한 감자칩이라는 ‘발상의 전환’으로 승부를 걸었다. 출시된 지 세 달만에 850만 개나 팔릴 정도로 엄청난 인기를 끌었고, 지금도 ... ...
- [지식] 펭귄의 남극살이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성체가 사냥에 에너지를 너무 많이 쓰게 되면, 새끼에게 주는 먹이가 적어져 번식 성공률이 낮아질 수 있어요. 김 박사님은 “여태까지는 펭귄의 수가 늘었는지 줄었는지 그 현상을 파악하는 수준이었다면, 이제부터는 왜 그렇게 됐는지 원인을 밝히는 깊이 있는 연구를 할 것”이라고 말했어요 ... ...
- [Fun] 이 책을 여는 순간, 당신의 뇌가 열린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책, 참 사랑스럽다.마지막 장을 덮고 나면 우주에서 가장 복잡한 미로를 빠져 나오는 데 성공한 셈이다. 하지만 한번 맛 본 뉴런 숲의 매력에서 빠져 나오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셜록 홈즈가 그랬단다. “나는 뇌야, 왓슨. 나머지 부분은 그저 부록이지.” 이번 겨울엔, 중요한 건 알지만 그간 너무도 ... ...
- [과학뉴스] “내가 평범한 개로 보이니?”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금자탑이자 각종 금융 산업과 IT를 가능하게 한 일등 공신이다. 하지만 찬란한 수학적 성공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완벽하지 않다. 한 교수는 “영원히 뚫리지 않는 암호란 사실상 없다”고 말했다. 난공불락의 암호도 알고 보면 사람들이 굳이 뚫을 동기가 없어서 풀리지 않은 것뿐이다. 만약 ... ...
- 컴퓨터 vs 인간 수학 왕좌의 게임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증명이 잘못됐다는 걸 증명하려고 노력하기도 했다. 왜 수학자들은 이렇게 컴퓨터의 성공에 찜찜해 하는 걸까?수학자는 어떤 문제를 증명했다는 사실 자체보다 어떻게 증명했는지에 훨씬 관심이 있기 때문이다. 원하던 목적지에 도착했더라도 어떤 길을 통해 그 곳에 갔는지가 더 중요하다는 ... ...
- PART 5. 중력파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이라는 말도 버리고 ‘관측가동(Observation Run)’이라는 말을 사용한다. 중력파 검출에 성공한 다음 관측까지 이어질 거라는 낙관적 기대를 엿볼수 있는 대목이다.앞으로 ‘멀티메신저 천문학’이라는 새로운 분야가 뜰 것이다. 중력파와 전자기파를 둘 다 이용해 관측효과를 극대화하는 걸 말한다. ... ...
이전2082092102112122132142152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