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거짓말 잘하는 사람이 살아남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피해를 입을 수 있다. 결국 더 감쪽같이 속임수를 쓰는 쪽으로 진화하게 된다. 인류의
성공
비결은 거짓말현생인류는 그 정점에 있다. 다른 영장류보다 월등히 속임수를 잘 쓴다. 사회학자 아르놀트 겔렌은 “다른 동물보다 힘이 약하고 느린 인간이 위험한 선사시대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 ...
[Life & Tech] 페이스북 ‘과고드립’ 운영자 인터뷰 “너드요? 저는 개성이라고 생각해요”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과고드립에서 그런 연습을 한 아이들이 나중에 진짜 과학자가 됐을 때
성공
할 수 있을 거라고 봐요.”이 씨는 과고드립이 과학에 대한 흥미를 일으킬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누군가 EXID드립을 보고 ‘파울리의 배타원리’가 뭔지 궁금해서 찾아본다면 그것도 나름 의미 있는 일 아닐까요?” ... ...
[Knowledge] ‘휘어진 시공간’은 어떻게 증명한 걸까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벨트라미가 평행선 공리를 다른 공리들로부터 증명할 수 없다는 것을 증명하는 데
성공
함으로써, 평행선 공리의 독립성은 이제 확립된 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리만 기하학과 휘어진 시공간보여이와 로바체프스키의 이론을 포함해 비유클리드 기하학을 집대성한 것은 독일의 수학자 베른하르트 ... ...
컴컴한 눈 대신 마음으로 연구 시각장애 뛰어넘은 수학자들
수학동아
l
2015년 04호
복도의 위치를 알려주었다.그 결과 일반인보다는 느렸지만 시각장애인도 물건을 찾는 데
성공
했다. 또 여러 번 반복하자 건물의 구조를 외워 물건을 옮기더라도 일반인과 비슷한 시간 내에 찾았다. 시각장애인이 3차원 공간을 인지하는 능력이 일반인에 비해 결코 떨어지지 않음을 증명한 셈이다 ... ...
PART3. 4D 프린팅의 마술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세로 길이 약 5cm 가량의 종이접기 로봇을 종이비행기와 종이배로 스스로 변신시키는 데
성공
했다. 이 때는 3D 프린터를 이용하지 않았지만 3년 뒤에는 몸체에 형상기억합금과 전기회로를 내장한 종이접기 로봇을 3D 프린터로 제작했다. 전기를 흘려 열을 내면 형상기억합금이 움직이면서 개구리 ... ...
[Hot Issue] 셰일가스, 물과의 전쟁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일으킨다고 기대를 모았던 것도 이 덕분이다. 물에 화학물질을 섞는 방법을 처음
성공
시킨 미국의 석유업자 조지 미첼은 지금도 ‘셰일가스의 아버지’라고 불린다. 하지만 개발 방식 때문에 셰일가스는 처음부터 환경오염의 우려가 끊이지 않았다. 먼저 지하수 오염이다. 개발업체들은 셰일층이 ... ...
[참여] 혼자만의 상상이 모두의 눈앞에 국립과천과학관 무한상상실
수학동아
l
2015년 03호
처음 해보는 납땜이었지만, 박 디자이너의 도움 속에 모두 무사히 회로를 완성하는 데
성공
할 수 있었다.“따라라라 따라라라~”여기저기서 익숙한 멜로디가 울려 퍼지기 시작했다.멜로디 카드를 완성하고 3D 프린터실로 돌아가자, 수학동아 기자단이 미리 보낸 모델이 눈앞에 완성돼 있었다. ... ...
色시한 과학 色시한 라이프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자질이 보인다는 말입니다. 아드님이 좋아하는 보라색 케첩은 이미 한 번 큰
성공
을 거뒀습니다. 10년 전 미국 식품 제조사 하인즈는 보라색 케첩을 만들었습니다. 이 케첩은 어른들 사이에서 외면받았지만 아이에게 폭발적인 인기를 끌어 금방 동이 났습니다. 엄마가 보기엔 맛이 없어 보이지만 ... ...
세계 최초 로봇 호텔, 일본에서 오픈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든다고 설명했다. 하우스텐보스 대변인은 텔라그라프와의 인터뷰에서 “만약 이 호텔이
성공
한다면, 2016년에 또 다른 로봇 호텔을 열 계획”이라고 말했다 ... ...
[과학뉴스] 1주일 만에 환자맞춤형 신경줄기세포 만든다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만들었다고 밝혔다.이번 연구는 차세대 줄기세포 제작기술인 ‘직접교차분화’를
성공
적으로 적용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직접교차분화는 일종의 ‘지름길 기술’로, 테라토마(종양)를 만들 위험이 있는 전분화능 줄기세포까지 완전히 거슬러 올라가지 않고 중간단계인 신경줄기세포로 ... ...
이전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