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성공"(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생명을 살리는 바이오 프린터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다듬는 중이었다. 이 대표는 국내 최초로 3D 프린팅을 이용해 맞춤 의수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그런데 그는 원래 3D 제작 전문가가 아니다. 사연은 이렇다. 그는 지난 1월 8일 인터넷 게시판에서 지난해 사고로 양손 손목을 절단한 남성의 사연을 접했다. ‘바이오닉스 전자의수는 한 쪽에 4000만 원씩 ... ...
- [Photo] 외로운 왕, 늑대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위해 사냥 당한 늑대. 폴란드에서 찍은 사진이다. 늑대는 전세계 북반구에 흔히 분포하는 성공한 동물이지만, 그만큼 인간의 사냥감이 되기도 쉬웠다.이미 늑대를 볼 수 없게 된 한반도가 대표적인 예다(➊).]외로운 왕왕은 왕이로되, 늑대는 외로운 왕이었다. 유라시아부터 북미까지 늑대의 발길이 ... ...
- [Knowledge] LHC 이번엔 암흑물질 찾는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노력하고 있다. 특히 LHC에서는 암흑물질을 직접 만들어서 검출하고자 한다. 만약 성공한다면, 암흑물질의 성질을 구체적으로 알아내서 표준모형보다 더 근본적인 입자물리학 이론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데 중요한 걸음을 내딛을 것이다.과학자들이 LHC에서 발견하려고 하는 새로운 현상 중 지금까지 ... ...
- [Life & Tech] “빛이 학문-국가의 경계 넘어 온 세상을 이롭게 비추길”과학동아 l2015년 03호
- 한국광학회는 이번 개막식에서 유럽광학회(EOS), 일본광학회(OSJ)와 세계 빛의 해 기념행사 성공 개최와 향후 학술 교류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광학 분야에서 서양과 동양을 대표하는 유럽, 일본과 학술 교류 협정을 체결한 일은 한국의 광학 연구 수준이 그만큼 높아졌음을 뜻한다. 세포 홍카넨 ... ...
- PART1. 3D 프린터, 날개를 달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더 큰 원형으로 굳혔다. 이 과정을 수십 번 반복한 끝에 그는 작은 푸른색 컵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3D 프린터로 만든 세계 최초의 물건이었다. 1983년, 이렇게 스테레오리소그라피(SLA) 방식의 3D 프린터가 탄생했다. 남자는 미국의 발명가이자 오늘날 세계 최대 3D프린터 업체인 ‘3D시스템즈’사 ... ...
- [과학뉴스] 황우석․미탈리포프, 중국과 손잡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미탈리포프 교수는 2009년 일명 ‘세 부모 수정’을 원숭이를 대상으로 처음으로 성공시켰다. 손상된 미토콘드리아를 가진 난자에서 미토콘드리아를 제거한 뒤, 정상인 제3자의 미토콘드리아를 넣어 체외 수정을 하는 시술법이다. 2012년에는 연구 대상을 사람으로 넓히고, 2015년까지 누구나 이 ... ...
- [Knowledge] 지상에서 운용되는 우주기술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부릉거리는 자동차 소리에 눈을 떴다. 환한 햇살이 나를 반겼다. 지구의 온기였다. 1년 동안 화성에서 머무는 동안, 나는 매일 아침마다 ... 큰 꿈을 꿀 것이다. 화성을 넘어, 더 먼 우주로의 여행이라는 꿈을. 언제 끝날지 모르고 성공할지도 모르지만, 그럼에도 절대 포기하지 않을 꿈 말이다 ... ...
- [지식] 자유를 사랑한 수학자 로랑 슈와르츠 탄생 100주년수학동아 l2015년 03호
- 일반화된 함수라고도 부른다. 그는 여기에 엄밀한 수학적 구조를 부여하고 다루는 데 성공했다.슈와르츠의 이 연구는 해석학의 편미분방정식 이론에 새로운 장을 열었고, 물리학이나 공학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이러한 업적을 인정받아서 1950년 프랑스인으로는 처음 필즈상을 받았다. 프랑스는 ... ...
- [Hot Issue] 다 쓴 원전, 때 벗기고 로봇으로 해체한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들려왔다. “이번엔 레이저 절단기 들어갑시다. 실수하지 말고, 연습 때처럼 한 번에 성공하자고.” 원격 조종석에 앉은 조종사의 손에는 벌써 땀이 흥건했다.- 가까운 미래, 원격조종 로봇을 이용해 원전해체하는 장면(위 사진).원전해체 논의가 우리나라에서도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지난 1월 15일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투명하고 안전한 전자피부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어색하게 보인다는 거죠.” 박장웅 UNIST 신소재공학부 교수는 웨어러블 제품의 성공 여부는 ‘기술력’보다는 ‘착용감’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앞으로는 눈에 띄지 않도록 자연스럽게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박 교수는 지난해 10월 피부에 붙여도 티 나지 않는 투명한 ‘전자피부’를 개발해 전 ... ...
이전2072082092102112122132142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