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다면체로 즐기는 월드컵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정육각형으로 이루어진 깎은 정이십면체 구조와 같다. 사람의 뇌에는 뉴런이라는 신경
세포
가 있다. 뉴런의 수상돌기 끝에는 클라스린이란 물질이 있는데 이 구조 역시 축구공의 구조와 닮았다. 우리 주변에 축구공 모양의 다면체가 있는지 찾아보자. 상상도 하지 못한 곳에서 수학적 구조물을 ... ...
두 손 모아 지구를 꼬옥~!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일러스트레이션 부문 대상을 차지한 작품 이에요. 핏줄이나 심장 등의 표면을 덮고 있는
세포
조직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를 7만 5000개가 넘는 플라스틱 끈을 묶어서 표현했답니다 ... ...
늦잠 마녀를 물리쳐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포항공과대학교 생명과학과 교수) 아침에 잠에서 깨는 이유아침이 되면 뇌 속 시신경
세포
덩어리(시신경 교차상핵)는 눈꺼풀을 통과해 들어온 햇빛을 느끼고는 송과선에게 “아침이다!”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그러면 송과선은 더 이상 멜라토닌을 만들지 않게 된다. 대신 몸 속에는 ... ...
효소에서 미래를 보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접근했으나 최근에는 생명공학기술(BT)로 해결하는 방안을 시도하고 있다. 환경 문제를
세포
수준, 분자 수준으로 접근해 미생물 안에서 일어나는 효소 작용을 기술화하는 방안을 연구 중이다.“환경은 모든 분야에서 관심을 갖고 있는 주제입니다. 우리 연구실에서는 효소를 통해 환경 보존에 ... ...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최초로 양성자빔을 발생시키고, 같은 해 7월에는 X선 레이저까지 성공했다. 양성자빔은 암
세포
를 효과적으로 파괴해 암 치료용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으며, X선 레이저는 기존의 X선과 달리 단일한 파장으로 이뤄져 있어 사진을 찍을 때 훨씬 더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APRI는 2008년 세계 최초로 ... ...
아미노산 수백 가지 읽는 인공 리보솜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한쪽 끝에 넣고자 하는 아미노산을 붙인 상태)와 변형 mRNA를 번역이 일어나는 시험관이나
세포
안에 넣어준다. 리보솜이 변형 mRNA를 읽어나가다가 앰버 코돈 차례가 오면 거기에 짝을 이루는 변이 tRNA가 들어와 결국 새로운 아미노산이 사슬에 결합한다. 지금까지 이런 식으로 단백질에 도입된 ... ...
뇌신경 연결지도 커넥톰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커넥톰을 연구하기 위해 MRI를 이용한 뇌 네트워크 실험그룹, 미세부분의 신경
세포
활동을 연구하는 그룹, 뇌질환을 연구하는 의학자 그룹과 협력하고 있다. 국가수리과학연구소 김정한 소장은 “뇌과학계에서 응용수학을 폭넓게 사용하게 하는 것이 앞으로의 목적”이라고 설명했다.학회 마지막 날 ... ...
1971년 시모어 벤저 교수의 생체시계 돌연변이 초파리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발생율이 1.5배나 높았다. 연구자들은 사람들이 예상치 못한 시간대에 활동하면 인체 내
세포
분열주기에 교란이 생겨 암조직이 더 쉽게 생긴다고 해석했다.또 약을 복용할 때도 몸속 생체시계의 활동을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이 점차 설득력을 얻고 있다. 예를 들어 보통 혈압은 아침 6시 45분쯤 갑자기 ... ...
광집게로 DNA의 꼬인 나선 풀고
세포
특성 파악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계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세포
들 사이의 결합력과 DNA의 탄성을 측정할 수 있다.
세포
또는 분자의 특성을 이해하는 강력한 도구가 되는 셈이다.노벨상도 인정한 빛의 집게광집게는 원하는 모양의 마이크로 구조를 만드는 데도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크기가 수mm보다 작은 입자로 이뤄진 ... ...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이용해 김 박사팀은 기존 염색 현미경 진단법으로는 관찰하기 힘들었던 혈관 내 지방을
세포
수준에서부터 지방이 심하게 쌓인 고형물 형태까지 3차원 영상으로 얻을 수 있었다. 김 박사는 “동맥경화의 주요 원인인 혈관 내 지방 축적에 대해 더 정밀한 조직 분석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