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이용해 김 박사팀은 기존 염색 현미경 진단법으로는 관찰하기 힘들었던 혈관 내 지방을
세포
수준에서부터 지방이 심하게 쌓인 고형물 형태까지 3차원 영상으로 얻을 수 있었다. 김 박사는 “동맥경화의 주요 원인인 혈관 내 지방 축적에 대해 더 정밀한 조직 분석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 ...
자연이 빚어낸 서호주 아웃백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보면 만을 건너기 위한 징검다리처럼 보인다. 이 바위들이 지구상에 출현한 최초의 단
세포
생명체인 시아노박테리아가 기생하는 암석인 ‘스트로마톨라이트’다. 과학자들도 호주 내륙이나 캐나다 버제스 지역의 퇴적암층에서 발견된 시아노박테리아의 흔적에 대해서는 오래전부터 알고 있었다. ... ...
산소 없이도 살아가는 다
세포
생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산소가 반드시 필요한 반면, 이들 생명체는 혐기성 단
세포
생물처럼 산소가 없이도 에너지를 만들 수 있다”며 “산소가 부족한 심해 환경에 적응하면서 신체 구조가 바뀐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이 연구결과는 온라인 학술지 ‘BMC바이올로지’ 4월 6일자에 ... ...
광집게로 DNA의 꼬인 나선 풀고
세포
특성 파악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계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세포
들 사이의 결합력과 DNA의 탄성을 측정할 수 있다.
세포
또는 분자의 특성을 이해하는 강력한 도구가 되는 셈이다.노벨상도 인정한 빛의 집게광집게는 원하는 모양의 마이크로 구조를 만드는 데도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크기가 수mm보다 작은 입자로 이뤄진 ... ...
1971년 시모어 벤저 교수의 생체시계 돌연변이 초파리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발생율이 1.5배나 높았다. 연구자들은 사람들이 예상치 못한 시간대에 활동하면 인체 내
세포
분열주기에 교란이 생겨 암조직이 더 쉽게 생긴다고 해석했다.또 약을 복용할 때도 몸속 생체시계의 활동을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이 점차 설득력을 얻고 있다. 예를 들어 보통 혈압은 아침 6시 45분쯤 갑자기 ... ...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최초로 양성자빔을 발생시키고, 같은 해 7월에는 X선 레이저까지 성공했다. 양성자빔은 암
세포
를 효과적으로 파괴해 암 치료용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으며, X선 레이저는 기존의 X선과 달리 단일한 파장으로 이뤄져 있어 사진을 찍을 때 훨씬 더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APRI는 2008년 세계 최초로 ... ...
노벨상 석학 아다 요나트에게 듣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하다 불을 낸 적도 있다. 요나트 박사는 자신이 리보솜 구조 연구를 시작한 계기도 ‘
세포
의 일생에서 중요한 것은 뭘까’라는 호기심이었다고 말한다. 리보솜 연구 초기에 당시 바이츠만연구소 소장이었던 마이클 셀라는 요나트 박사가 대단한 잠재력을 가졌기 때문에 이 연구에 많은 돈을 ... ...
외유내강 검정파리와 외강내유 전갈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막에 있는 이온채널과 결합하는데, 나트륨과 칼륨 같은 이온들은 이온채널을 통해
세포
막 안팎을 이동하면서 신경자극을 만든다. 결국 전갈의 독은 몸속에서 신경신호가 전달되는 일을 방해해 근육을 마비시켜 먹이를 죽인다. 전갈은 잡은 먹이를 집게발처럼 생긴 위턱(구기)으로 잘게 찢은 뒤, ... ...
구석구석 내 몸이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뼈는 귓 속에 있는 등자뼈로, 3㎜밖에 안 된다.8 혈관을타고 이동하며 산소와 영양분을
세포
에 전달하는 혈액! 몸 속에 흐르는 혈액을 모두 합하면 약 4~6L로, 몸무게의 약 8%이다. 1.5L우유를 네 통 정도 채우는 양이다.150 재채기를 할 때 공기가 몸 밖으로 나가는 속도는 시속 150㎞이다.206 우리가 태어날 ... ...
그들은 왜 큰 몸집을 택했나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생명체는 계속 성장할 수 있을까. 그렇지는 않다. 생명체 스스로의 조절 능력을 벗어난
세포
분열은 일어나지 않는다. 설령 그렇다 하더라도 비정상적인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설‘걸리버 여행기’에 등장하는 거인국 사람은 실제 사람과 똑같은 모습을 할 수 없다.거인국 사람은 ... ...
이전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