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트랜스지방이 안 좋은 이유 밝혀졌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4호
살이 찌는 것보다 건강이 나빠질까봐 걱정을 많이 해요. 자연적으로 생긴 트랜스지방은
양
도 적고 위험성이 적은데다, 몸속에서 유익한 물질로 바뀌기도 하지요. 하지만 가공 과정에서 생긴 인공 트랜스지방은 먹으면 위험해요. 몸속에서 나쁜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이고 좋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 ...
아가미가 쭈글쭈글~ 주름 잡아야 숨 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3호
산소를 들이마시고 이산화탄소를 내보내면서 호흡하는 것처럼, 물고기는 입의
양
옆에 나 있는 아가미로 물을 빨아들여 산소를 얻고 이산화탄소와 함께 물을 다시 바깥으로 내보내면서 숨을 쉬어요. 물고기의 아가미는 여러 장이 촘촘하게 주름 잡혀 있지요.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김호영 교수 ... ...
동해안 모래 실종사건, 범인을 잡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3호
거지. 방파제를 중심으로 한 쪽으로 쏠리는 모래의 흐름을 순환시켜주는 방법이니까
양
빈보다 훨씬 효과적이란다. 대책 2 모래를 꽉 잡아라, 해빈해수공법!모래를 붙잡아 두는 방법도 있어. 바닷물이 해안가로 올라왔을 때 물을 모래 아래쪽으로 빨아들이는 거야. 보통 모래는 바닷물이 바다로 ... ...
PART6. 핵융합 선진국의 주역 케이스타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더구나 수십 년 뒤까지 연구할 수 있는 미래형 시설이기도 하다. 그 사실을 알았기에
양
부장은 4년이 넘는 시간을 잠 못 들며 지름 높이 10m의 거대한 기계를 조립했던 것이리라.▼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류최후 에너지 핵융합PART1. 에너지 비정상회담PART2. 핵융합의 원리PART3. 핵융합의 ... ...
동글동글 새콤달콤 블루베리의 3색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에서는 블루베리를 ‘세계 10대 슈퍼푸드’로 선정하기도 했답니다.블루베리로 아주 다
양
한 음식을 만들 수 있어요. 와플이나 빵에 곁들여 먹거나, 우유나 요거트와 함께 갈아서 마시기도 하지요. 명예기자 선재와 수민이는 블루베리와 설탕을 반씩 섞어 발효시킨 블루베리 효소를 ... ...
[수학뉴스] 달리기를 잘 하고 싶다면 수학에 주목하라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나타냈다. 이 세 미지수는 최대 산소 섭취량이나 사용 가능한 혐기성 에너지의
양
같은 생리학적인 변수의 영향을 받는다.두 수학자는 이 방정식에 여러 숫자를 대입하면서 최소한의 에너지로 최대 효과를 내는 방법을 찾았다. 그 결과, 동일한 속도로 달리는 것보다 10% 정도 속도를 바꿔 가면서 ... ...
PART3. 핵융합의 장점과 발전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이 방법은 핵융합이 일어날 확률이 너무 낮아 실용화될 수 없었다.이후 과학자들은
양
자역학적 터널링 효과를 통해 핵융합 반응이 쉽게 일어나도록 하는 방법, 즉 고온의 플라스마 상태로 중수소와 삼중수소를 가둬서 원자핵끼리 서로 만날 기회를 높이는 방법을 고안해 냈다. 이 아이디어는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카이퍼 벨트’에 위치. 포물선 궤도 주로 화성과 목성 사이에 위치. 원형 궤도 특징 태
양
에 접근하면 핵에서 가스가 분출하며 최대 100만km에 이르는 긴 꼬리가 생김 단단한 고체 표면을 가졌고 대기가 없음 소행성 하나는 5000조 원소행성궤도변경 임무는 사실 NASA의 다목적 포석이다. 가장 큰 ... ...
PART2. 핵융합의 원리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된다. 비록 변하는 질량은 매우 작지만, 여기에 빛의 속도의 제곱이라는 매우 큰
양
을 곱하기 때문에 상당히 큰 에너지를 얻게 된다.인류가 핵융합의 원리를 처음 이용한 것은 수소폭탄을 통해서였다. 2차 대전 이후 미국과 러시아는 핵분열을 이용하는 원자폭탄보다 더 강력한 무기를 개발하기 위해 ... ...
월드컵 유니폼의 충격 고백 “전 플라스틱 조각이었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비율은 겨우 26%에 불과해요. 재생유나 고형연료 형태로 에너지를 만드는 데 쓰이는
양
은 35.6%. 남은 38.1%는 그냥 쓰레기가 될 뿐이지요.미국의 대표 일간지인 는 바다에 떠다니는 거대한 플라스틱 쓰레기 더미를 ‘제8대륙’이라고 불렀어요. 그만큼 버려진 플라스틱 쓰레기가 많다는 ... ...
이전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