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양"(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꽉 막힌 배수구, 비켜!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보낼 방법을 고심하다가 물의 비중이 크다는 점에 주목했다”며 “빗물 양에 따라 모양이 바뀌는 탄성 있는 차단판을 개발했다”고 말했다. 그는 먼저 빗물 받이 뚜껑을 군데 군데 동그랗게 뚫린 형태로 바꿔 쓰레기 유입을 최소화했다. 그리고 메모리폼과 실리콘으로 된 말랑말랑한 차단판을 ... ...
- [knowledge] 야생담배의 매력에 빠지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그런데 이곳 그레이트 베이신 사막에서만큼은 생태학자, 분자생물학자, 분석화학자 등 다양한 전공의 과학자들이 매년 함께 어울리고 있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했던 걸까.필자는 자연 그 자체가 주는 매력에 답이 있다는 생각이 든다. 올해는 유독 밤샘 실험이 많아, 밤에 숙소에서 야생담배를 ... ...
- 어린이만큼 똑똑한 돌고래와 원숭이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레서스원숭이에게 0에서 25까지 적힌 숫자를 보여주었어요. 숫자에 따라 먹이의 양을 조절했지요. 그 결과 레서스원숭이들은 이 숫자들이 어떤 순서로 얼마나 큰 것인지 이해할 수 있었답니다. 연구팀을 이끈 하버드대학교의 매거릿 리빙스턴 박사는 원숭이에게 ‘더하기’와 ‘빼기’라는 부호를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공간의 대수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정할 필요도 없다는 것이다. 우리는 보통 직선을 수평으로 그린 후 0점의 오른쪽을 양수로 생각하는 습관이 있지만, 그것도 종이를 돌려서 보면 임의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이처럼 연습한 후에는 곱셈 AB를 어떻게 하는지도 생각해 보라. 그러면 0점만 가지고는 부족하다는 것을 금방 알게 된다. ... ...
- 알쏭달쏭 자연의 기준이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되고, 겨울은 겨우 79일이었단다.일기예보 볼 때마다 헷갈리는 것?일기예보에는 구름의 양도 기준이 있어. 하늘이 흐리고 맑은지는 4단계로 구분해서 사용하는데, ‘맑음’은 구름이 하늘을 0~20% 정도 가리는 상태를 말하는 거야. ‘구름 조금’은 21~50%, ‘구름 많음’은 51~80%, ‘흐림’은 81~100% ... ...
- 2014 가을 달이 빛나는 밤에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중력의 영향으로 아직 마그마 상태이던 달을 끌어당겨, 양끝이 튀어나오는 듯한 레몬 모양이 됐다는 것이다.이 밖에도 베일에 쌓인 달의 뒷면이나 고대 지구의 화석을 달에서 찾는 프로젝트 등 달의 탄생과 비밀을 밝히기 위한 과학자들의 연구가 활발하다. 올 가을 펼쳐지는 풍성한 달 현상을 ... ...
- PART 2. 한 달 만에 인공신장 만든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우주선 화물에 의존하고 있다. 이 방법은 필요한 것들을 바로 공급받기 어렵고, 화물의 양도 한정돼 있다. 즉 ISS에 3D 프린터를 설치한 뒤 우주선에 분말재료를 싣고 가는 게 더 경제적일 수 있다. 지난해 8월 NASA는 3D 프린터로 직접 부품을 만들어 15년 된 ISS를 보수하는 장면을 유튜브에 공개했다.6월 ... ...
- 100배 빠른 통신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전자는 기가헤르츠 이상 진동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었다.김 교수팀은 실리콘 반도체의 양 전극에 전자가 집단적으로 움직이도록 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집단으로 움직이는 전자는 개별 전자로 움직일 때보다 최대 100배까지 이동속도가 빨라졌다. 또 전자 집단의 밀도가 높아졌다 낮아졌다를 ... ...
- BRIDGE. 에볼라가 보내 온 편지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박쥐 무리는 바이러스가 살기 좋은 다섯 가지 환경 을 모두 갖추고 있다. ❶ 종이 다양하다. 포유류 4600종 중 박쥐가 925종이다(약 20%). ❷ 많은 무리가 모여 산다. 한 동굴에 수백만 마리가 모여 살아 바이러스가 퍼지기 쉽다 ❸ 수명이 길다. 약 25년을 사는데, 작은 포유동물치고는 매우 긴 편이라 ... ...
- ‘녹색 화성’에선 누에가 맛있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1년 남극세종과학기지 제24차 월동연구대로 참여했고, 현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극지연구소에서 극지생물분자공학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 ...
이전218219220221222223224225226 다음